항목
-
무의식 상상이 시작되는 곳근원적 욕구를 해소시켜주지 못한다. 인간들의 욕망은 시장의 논리와 사회적 규제에 의하여 코드화되었으며 그럴수록 '진짜 자기'로부터 멀어져갔고, 그 결과 모든 현대인들은 신경증에 시달리게 되었다. 신경증은 사회적 규제가 개인의 욕망을 과도하게 억압할 때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때 개인의 욕망은 사회가 허용...
-
상품 商品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성능을 사용가치라고 한다. 그런데 재화가 시장에서 판매하기 위해 생산된 경우, 이 재화를 특히 상품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상품은 교환가치를 목표로 하여 생산되고 판매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은 좁은 의미에서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함께 가지는 실질재만을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199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한길 이야기와 욕망 그리고 소설상승 욕구가 단단히 자리잡고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대다수 한국 사람들의 미국 이민 역시 이런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흔히 지난 시절 한국 이민자들의 의식 속에는 한국 / 미국은 곧 고통 · 불행 / 쾌락 · 행복이라는 식의 이분법이 일종의 신념처럼 도사리고 있던 게 사실이다. 그들의 미국 이민은 경제...
- 출생 :
- 1952년
-
아퀴나스의 윤리철학 중세 신학의 상식화, 합리화마찬가지로 요구된다. 이는 목적을 위한 모든 방법에 대해 조언하고 판단하고 명령하는 사려의 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선을 위한 의지로서 사려는 하나의 능력으로, 선택과 방법에 직결된다. 특히 선택이 중요한데, 선택은 본질적으로 의지 행위다. “사람은 이것 또는 저것을 선택할 수 있다는 면에서 자기...
-
-
성악설 性惡說감정이나 욕망과는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 개념이다. 바로 인간의 능동적인 작위(作爲)를 의미한다. 선천적 인간의 본성을 후천적으로 개조할 수 있는 능력이 사람 누구에게나 갖추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완전히 다 발휘할 수만 있다면 범인(凡人)도 역시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밖으로부터 작용을 가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철학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의 신학육체적 욕구 충족이므로 물질의 사랑으로서 부정된다. 또한 결혼한 사이라고 하더라도 자녀를 두려는 목적에만 육체적 관계가 정당화된다. 덕은 영혼이 육체를 완전히 지배하고 신에게로 향할 때 이루어진다. 하지만 성은 영혼의 작용인 의지에서 독립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덕이 있는 생활과 부합하지 않는다. 이때...
-
-
-
정신분석학과 무의식의 발견 인간과 정신에 대한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의 전환정신이 욕망 · 충동에 연관된 무의식에 의해 상당 부분 규정받는다는 점을 규명했다. 이론적 설명을 넘어 꿈 해석과 신경증 임상 실험을 통해 실천적으로 증명하고자 했다. 현대 철학은 프로이트를 무시하고는 정신을 논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바로(Varo)의 〈마주침〉에서 보듯이, 무의식이 정신 내부에 존재한다면...
-
소비자보호를 위한 광고 규제필요·욕망 등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여기서 두 경우의 소비자들이 모두 광고에 의해 상품을 구매했다해도, 첫번째 경우의 소비자는 비록 다른 제품으로도 충족될 수 있는 것이긴 하지만 자유의사에 의한 욕구를 가지고 있었던 반면, 2번째 경우는 전혀 없었던 욕구가 전적으로 매체의 자극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