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관장도
    주요 조류 · 곤충 : 관찰된 조류는 가마우지 · 괭이갈매기 등 2종 ㆍ주요 식생 · 식물 : 섬의 대부분이 암반에 노출된 상태로 일부 좁은 지역에서 억새 군락 형성. 왕고들빼기 · 해국 · 무릇 · 댕댕이덩굴 · 찔레꽃 · 담쟁이덩굴 등 출현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관장도는 유인도인 외연도 봉화산 북쪽에 위치
    면적 :
    6,930m 2
    좌표 :
    36° 15′ 15″ N, 126° 06′ 27″ E
    지번 :
    오천면 외연도리 산540
    소유현황 :
    국유지(산림청)
    육지와의 거리 :
    약 49.0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충청남도 ,
  • 중청도 中靑島
    멧비둘기 등 4종 ㆍ주요 식생 · 식물 : 대부분 초지. 감국 · 사초과 식물이 우점. 일부 보리밥나무 · 팽나무 등이 우점하는 활엽수림이 좁은 면적으로 분포. 육지의 식물종과 유사하고 동백나무 · 산뽕나무 · 왕고들빼기 · 닥나무 등 출현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중청도는 특정도서인 대청도 동쪽에 위치
    면적 :
    25,388m 2
    좌표 :
    36° 14′ 10″ N, 126° 04′ 02″ E
    지번 :
    오천면 외연도리 산450
    소유현황 :
    공유지(보령시청)
    육지와의 거리 :
    약 52.0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충청남도 ,
  • 황죽도 黃竹島
    주요 식생 · 식물 : 공군사격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많은 교란이 가해진 것으로 보이며 칡 · 강아지풀 등이 섬 전체를 우점. 보리밥나무 등 목본식물은 능선부 · 정상부에 소규모 분포. 그 외 쑥 · 왕고들빼기 · 명아주 · 까마중 · 찔레꽃 · 억새 등이 출현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무인도서인 직언도 인근에 위치
    면적 :
    9,719m 2
    좌표 :
    36° 12′ 42″ N, 126° 30′ 10″ E
    지번 :
    웅천읍 독산리 산101
    소유현황 :
    국유지(국방부)
    육지와의 거리 :
    약 7.4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충청남도 ,
  • 호랑도
    고추좀잠자리, 독나방 등 3종임 ㆍ주요 식생 · 식물 : 제방으로 연륙되어 있는 섬으로 곰솔군락이 주요식생이다. 주요관찰종은 고사리, 개망초, 왕고들빼기, 갈참나무, 졸참나무, 참억새, 청미래덩굴, 뺑쑥, 코스모스, 팥배나무, 사스레피나무 등이다.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주변 해역에 넓게 갯벌이 분포하여 해상...
    면적 :
    5,950m 2
    좌표 :
    34° 59′ 21.3″ N, 126° 10′ 49.5″ E
    해도번호 :
    343
    지번 :
    증도면 대초리 산3
    소유현황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
    증도면사무소로부터 4.01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상추 천금채, lettuce
    개요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에 속하는 채소. 학명은 Lactuca sativa L.이다. 오랜 재배 역사를 가진 식물로 기원전 4500년경 고대 이집트 피라미드 벽화에 작물로 등장할 정도이다. 그리스로마 시대에도 중요한 채소로 재배되었고, 중국 역사에서 최초 문헌은 713년 당나라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럽에서 자라던 상추...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왕고들빼기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크기 :
    약 90cm ~ 1.2m
    학명 :
    Lactuca sativa L.
    꽃말 :
    나를 해치지 마세요
  • 두메고들빼기 Triangular Lettuce
    2갈래다. 열매는 수과, 납작한 타원형, 길이 4-5mm, 한 쪽에 주름이 1개 있다. 생태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해설 왕고들빼기(L. indica L. var. laciniata (Kumtze) H. Hara)와 산씀바귀(L. raddeana Maxim.)에 비해 잎이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고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므로 구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상치속
    서식지 :
    높은 산의 능선, 숲 속
    학명 :
    Lactuca triangulata Maxi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러시아(시베리아 동부), 일본, 중국(북동부)
  • 야생화 들꽃, 野生花
    있다. 가을에 개화하는 야생화 칼잎용담, 산국, 바디나물, 향유, 산박하, 섬쑥부쟁이, 흰그늘돌쩌귀, 미꾸리낚시, 흰고려엉겅퀴, 나비나물, 선이질풀, 왕고들빼기, 쇠무릎, 마타리, 개여뀌, 감국, 잔대, 개쑥부쟁이, 뚱딴지, 나도송이풀, 낙동구절초, 궁궁이, 미역취 등이 있다. 겨울에 개화하는 야생화 복수초, 머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크기에서 비롯된 식물 이름
    애기도라지, 애기똥풀, 애기마름, 애기메꽃, 애기부들, 애기수염, 애기우산나물, 애기원추리, 애기풀 : 꽃의 모양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 ㆍ 왕갈대, 왕고들빼기, 왕골, 왕과, 왕느릅나무, 왕대, 왕둥굴레, 왕머루, 왕바곳, 왕바랭이, 왕벚나무, 왕솜대, 왕원추리, 왕잔대, 왕제비꽃, 왕질경이, 왕호장근 : 식물체의...
    도서 익생양술대전 | 태그 식물
  • 산씀바귀 산고들빼기, Hairy-vein lettuce
    총포편은 3렬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 납작한 타원형, 한쪽에 4-5개의 능선이 있다. 관모는 흰색이다. 생태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7-10월에 핀다. 해설 왕고들빼기(L. indica L. var. laciniata (Kumtze) H. Hara)에 비해 갈래잎이 뒤로 젖혀지지 않으며, 줄기와 잎에 털이 있고, 총포는 보다 짧고 내총포편은 5개...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상치속
    서식지 :
    산기슭, 냇가 근처
    학명 :
    Lactuca raddeana Maxi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타이완, 러시아(시베리아), 일본, 중국(남부), 동남아시아
  • 식물에 붙은 어미 명칭 이야기
    이름도 있습니다. 키나 잎이 커서 “큰”이라는 단어를 붙여 큰까치수영, 큰앵초큰천남성 등으로 이름을 지었고, “왕”이라는 단어를 붙여 왕초피, 왕고들빼기, 왕원추리 등으로 이름을 지었습니다. 자라는 곳을 나타내는 이름 식물이 자라나는 곳에 따라서도 다양한 이름들이 지어졌습니다. 갯메꽃, 갯기름나물 등은...
  • 고들빼기 참꼬들빽이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란다. 식용을 목적으로 재배할 경우는 토양이 비옥한 곳에 심고 물은 2~3일 간격으로 주면 된다. 가까운 식물들 • 가는잎왕고들빼기 : 왕고들빼기와 비슷하나 잎이 갈라지지 않으며 잎의 형태는 바소꼴이다. • 용설채 : 왕고들빼기의 변종으로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주로 가축 등의 먹이로 재배...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양지 또는 반그늘
    꽃색 :
    연황색
    크기 :
    키는 약 20~80㎝ 정도
    학명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용도 :
    어린순과 뿌리는 식용, 약재로도 사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 중국
    생활사 :
    두해살이풀
    개화기 :
    7~9월
    결실기 :
    9~10월경
  • 지리고들빼기 지이산꼬들빽이
    버려야 한다. 돌 틈이나 경사지의 화단에 심는다.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잘 자라며, 물은 2~3일 간격으로 주면 된다. 가까운 식물들 • 가는잎왕고들빼기 : 왕고들빼기와 비슷하나 잎이 갈라지지 않고 잎의 형태는 바소꼴이다. • 용설채 : 왕고들빼기의 변종으로 잎이 갈라지지 않고 크며 주로 가축 등의 먹이로 재배...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습기가 많은 반그늘이나 양지
    꽃색 :
    노란색
    크기 :
    키는 약 40㎝ 정도
    학명 :
    Crepidiastrum koidzumianum (Kitam.) Pak & Kawano
    용도 :
    관상용,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
    지리산
    생활사 :
    두해살이풀
    개화기 :
    8~10월
    결실기 :
    11월경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9건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