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옹기장 甕器匠
    모양을 빚어 건조시킨 후 불에 구운 그릇이다. 800~900℃ 정도의 저온에서 유약을 바르지 않고 구운 질그릇, 1200℃ 정도의 고온에서 유약을 발라 구운 오지그릇으로 크게 나뉜다. 조선시대 옹기장(甕器匠)은 중앙 관청에 속한 경공장(京工匠), 지방 관아에 소속된 외공장(外工匠), 그리고 소속 없이 여러 지역에 산재해...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자주 煮酒
    역주방문(曆酒方文)』에는 “좋은 소주 10선(鐥 : 그릇이름)에 황랍(黃蠟) 5돈쭝, 계피 5돈쭝, 후춧가루 3홉을 섞어 사기로 된 소줏고리(소주를 내리는 오지그릇)에 넣고 다리는데, 물을 자주 갈아주며, 소주 5선을 내어서 다시 이것을 사기항아리에 담아 숯불에 은근히 끓이며 중탕을 하여서 쓰면 한 숟가락을 먹어도...
    성격 :
    음식, 술
    유형 :
    물품
    재질 :
    소주, 황랍, 계피, 후춧가루
    용도 :
    음료용, 약용
    분야 :
    생활/식생활
  • 한국의 식생활
    각종 약재를 섞어서 빚는 약주의 제조가 행해졌으며, 몽골로부터 새로이 소주법(燒酒法)이 전래되었다. 이 시대에 많이 쓰인 그릇으로는 놋그릇과 무쇠솥·목기·오지그릇이 있었고 고급그릇으로는 금·은기, 청동기, 칠기 및 자기가 있었다. 조선시대 고려시대에 이어 권농정책이 추진되고 왕권중심의 중앙집권제도가...
  • 악의 딸 悪ノ娘, 惡之系列
    미카엘라를 죽였다는걸 안다.그러고 나서 바다에 소원을 담은 유리병(사실은 악마와의 계약임)을 흘려보내고 울고 있을 때 클라리스가 그림 디 엔드(분노의 그릇)를 들고 린을 죽이려한다. 린은 경악하나 곧 안정하고 자신을 죽여도 좋다고 말하지만 클라리스는 그녀의 머리카락만 자르고 용서해 준다. 그리고 둘이 묘목...
    도서 위키백과
  • 시가라키 信樂, Shigaraki
    항아리·병 등 일용품이 생산되었다. 여기서 생산된 그릇과 단지는 1520년부터 다도에 사용되었다. 현대식 공장에서는 푸른 반점이 있는 중국 광둥[廣東]산 오지그릇의 모조품을 생산한다. 이 지역의 농산품은 쌀·귤·차·목재 등이다. 자연과학연구소가 하나 있고 철도 및 고속도로로 나라와 연결된다. 시가라키는...
    위치 :
    일본 시가 현 남부
    면적 :
    163.5㎢
    대륙 :
    아시아
    국가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당의 예술
    침체기였던 육조시대(六朝時代)를 지나 큰 발전을 이루었다. 백자의 광택, 삼채(三彩) 도자기, 3색의 작은 입상(立像), 검은 유약을 충분히 써서 만든 오지그릇 및 청자 등이 모두 이 시대에 개발되었다. 외국 것에 관한 일반의 관심이 높아지자, 이국적인 형태와 제재로 만들어진 도자기가 많이 만들어졌다. 묘지 소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식기 食器
    졌다. 재료는 앞시대에서 전승된 토기류와 칠기류 외에도 상류층의 기호에 따라 등장한 금은기·도금기(鍍金器) 등이 있었다. 또한 종류는 오지 합(盒)과 같은 주식용 그릇을 비롯하여 반찬을 담는 고배, 각종 조미료를 담는 기명 등이 있었다. 또한 항아리·쌀독·변두·보(簠) 등도 있었다. 이 중 변두와 고배는 그...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막걸리 탁주, Korean rice wine
    적당히 말려서 누룩과 물을 섞는다.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다음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예전에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자 모양의 징그레를 걸고 올려놓아 체에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된다. 이 때 술통에 용수를 박아 맑은 술을 걸러 내면 청주가 된다. 전통적...
    분류 :
    농가공식품 > 주류 > 탁주
    용도 :
    음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레시피 , 술/음료
  • 카메룬의 문화예술
    상당히 다양하게 발달했다. 대표적인 수공예품으로는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풀라니족의 가죽 세공품, 서부의 산지에 거주하는 키르디족과 마타카니족의 특색 있는 오지그릇, 티카르족의 놋쇠 파이프 등이 있다. 서구의 문학과 영화 예술도 역사는 짧지만 성행하고 있으며, 소설가 몽고 베티는 국제적으로 알려진 작가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동작구 銅雀區
    지역은 노량진을 중심으로 일찍부터 계선장(繫船場)·선구상(船具商)·주막과 같은 상업시설이 들어섰다. 또한 도자기를 만드는 흙의 질이 좋아 예로부터 오지그릇과 질그릇을 구워내던 독막과 기와공장이 입지했다. 도시화의 물결에 따라 동작동 국립묘지와 그 주변의 공원지대 및 노량진동의 사육신묘(死六臣墓)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옹기장 甕器匠
    있었던 것은 옹기장의 기술적 쓰임새가 그만큼 넓고 요긴했음을 뒷받침해 주는 것이다. 조선시대까지 질그릇 위주로 발전해온 옹기가 근대 이후에는 유약을 바른 오지그릇이 성행하게 되면서 전래의 제작기술이 많이 달라졌다. 국가무형문화재 제9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기·예능보유자로는 김일만과 정윤석이 있다...
    문화재 지정 :
    1990.05.08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96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아도에키티 Ado-Ekiti
    중심세력의 하나였다. 1967년에는 대규모 직물공장이 들어섰는데, 그것은 이 도시의 주민들이 예로부터 면방직을 해왔기 때문이었다. 이 도시는 신발과 오지그릇도 생산하며 담배·코코아·야자유·야자열매·목화 등 상업작물의 집산지이다. 시장에서는 주위에서 산출되는 마, 카사바, 옥수수, 고지대 쌀, 과일, 호박...
    위치 :
    나이지리아 남서부 에키티 주
    인구 :
    424,340명 (2024년 추계)
    면적 :
    293㎢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