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가공식품 > 주류 > 탁주 |
---|---|
용도 | 음용 |
요약 한국 전통 술의 하나. 탁주, 농주, 재주, 회주라고도 한다. 삼국시대 이후 전래된 전통 술로 쌀, 보리, 밀 등을 원료로 누룩을 넣어 발효시킨 후 체로 걸러 내어 만든다. 원료에 따라 찹쌀막걸리 등의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대개 뽀얀 빛깔을 띠고 있으며, 은근한 단맛과 감칠맛, 청량감이 있다.
개요
한국의 전통술. 막 걸러낸 술이라고 하여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었고, 색깔이 탁하여 탁주(濁酒)나 탁배기, 농사를 지을 때 먹는 술이라고 하여 농주(農酒), 거르는 과정에서 찌꺼기가 남은 술이라고 하여 재주(滓酒), 신맛을 없애기 위해 재를 섞는다고 하여 회주(灰酒)라고도 한다. 역사가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알코올 성분이 적은 6~7도의 술이다. 쌀이나 보리, 밀 등을 원료로 누룩으로 발효시킨 후 걸러내어 만든다. 흔히 농사를 지을 때 먹는 농주로 전래되어 왔다.
유래
막걸리가 언제부터 음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삼국시대에도 막걸리와 유사한 술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고려시대 송나라 사신의 글에 맛이 텁텁하고 색이 진한 서민용 술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고려시대에도 막걸리를 담가 먹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 때부터 잘 알려진 막걸리인 이화주(梨花酒)는 막걸리용 누룩을 배꽃이 필 무렵에 만든다고 하여 그렇게 불렀는데, 후에는 아무 때나 막걸리를 만들어서 그 이름도 사라졌다. 추모주(秋牟酒)도 막걸리의 일종이다.〈조선양조사〉에 "중국에서 전래된 막걸리는 처음 대동강 일대에서 빚기 시작해서 전 국토에 전파되어 민족고유주가 되었다"고 씌어 있는데 그 진위는 가리기 어려우나 토속성이 짙은 술임은 분명하다.
제조
찹쌀·보리·밀가루 등을 시루에 찐 지에밥을 적당히 말려서 누룩과 물을 섞는다.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다음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예전에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자 모양의 징그레를 걸고 올려놓아 체에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된다. 이 때 술통에 용수를 박아 맑은 술을 걸러 내면 청주가 된다. 전통적으로는 청주를 걸러 낸 나머지를 다시 체에 걸러 막걸리를 만들기도 했다. 이때 찹쌀이 원료이면 찹쌀막걸리, 거르지 않고 그대로 밥풀이 담긴 채 뜬 것은 동동주라 한다.
특징
좋은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떫은 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맑고 시원한 맛이 있으며, 땀을 흘리면서 일하는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는 농주로 애용되어왔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뽀얀 빛깔을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밤이나 꿀, 약재 등을 넣어 맛을 배가하기도 하는데, 막걸리 고유의 맛과 부가재료의 단맛이 좋은 궁합을 보여주어 젊은 층에게 인기가 많다.
대표 효능
유산균, 식이섬유
고르는 법
보관용기를 뒤집었을 때 막걸리가 밖으로 새어 나오지 않는 것을 고른다. 흔들었을 때 탄산이 금방 가라앉는 것은 피한다.
보관법
바로 만든 생막걸리는 0~5℃에서 냉장보관할 때 일주일간 보관이 가능하다. 살균 과정을 거친 살균막걸리는 상온보관할 때에는 1년, 냉장보관할 때에는 9개월간 보관이 가능하다. 냉동보관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음식 궁합
막걸리에는 탄산이 있기 때문에 기름에 지진 전 종류와 함께 먹으면 전의 느끼함을 탄산으로 상쇄시켜주고, 두부김치와 함께 먹으면 곡주인 막걸리에 단백질과 비타민 등의 영양을 보충해주어 궁합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