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감 자헌(子獻), 金勘
    되고,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가 되어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편찬하는 데 참여하였다. 그러나 1507년(중종 2) 박경(朴耕) 등이 박원종(朴元宗) 등을 도모하려는 모의에 연좌되어 금산에 유배되었다. 그 뒤 혐의가 풀려 연창부원군으로서 영경연사(領經筵事)를 담당...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
    명하여 대자(大字)로 쓰게 하고 판각하게 하여 널리 전하도록 한 것, 세종년간에 성달생((成達生, 1376∼1444)에게 쓰게 하여 간행한 것, 1488년(성종 19) 박경(朴耕)이 필서하여 판각한 것 등이 있다. 보물1603호『능엄경』은 성달생이 필서하여 판각한 책으로 1428년(세종 10)에 모친상을 당하여 여막에 있었던 성달생...
    저작자 :
    반자밀제(한역), 계환(주해)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603호
    창작/발표시기 :
    1433년(세종 15)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2책
    간행/발행 :
    세종, 성달생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역사박물관
  • 조광보 방은(方隱), 趙光輔
    호군 심정(沈貞), 전 승지 남곤(南袞) 등에 의하여 박원종(朴元宗)·노공필(盧公弼) 등을 해치려 하였다는 죄목으로 의관(醫官) 김공저(金公著), 서얼(庶蘖) 박경(朴耕) 등과 함께 잡혀 국문을 당하였다. 대궐마당에서 국문을 당하면서 옛 글을 소리내어 외우다가 입회한 유자광(柳子光)에게 무오년에 현량(賢良)을 모함...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지사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목우자수심결·법어 수심결, 牧牛子修心訣·法語
    본(刊經都監本)을 바탕으로 가야산 봉서사에서 번각(飜刻)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간경도감본의 본문과 역해(譯解)는 당대의 명필가인 안혜(安惠), 유환(柳晥), 박경(朴耕) 등이 정성스럽게 필사하여 새겼기 때문에 번각본(飜刻本) 또한 글자가 정교한 편이다. 이때 새긴 목판이 현재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편찬 및...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조광좌 계량(季良), 趙廣佐
    도총제 조모(趙慕)의 증손으로, 군수 조훈(趙勳)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7년(중종 2)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 해 성균관유생으로서 박경(朴耕)·김공저(金公著)의 옥사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 1518년 형조좌랑, 1519년 지평(持平)이 되어 “중종반정시 공신으로 책봉된 자 중에 공이 없이 책봉...
    시대 :
    조선
    출생 :
    1484년(성종 15)
    사망 :
    1521년(중종 16)
    경력 :
    형조좌랑, 지평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사무옥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양(漢陽)
  • 정미수 鄭眉壽
    장령·충청도관찰사·도승지·공조참판·한성부판윤 등을 지냈다. 1504년(연산군 10) 의정부참찬 겸 판의금부사를 지냈다. 1506년(중종 1) 우찬성으로 중종반정에 공을 세워 정국공신 3등에 책록되고 해평부원군에 봉해졌다. 1507년 박경(朴耕)의 옥사에 연루되어 경상도 울진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시호는 소평...
    출생 :
    1456년(세조 2)
    사망 :
    1512년(중종 7)
    국적 :
    조선, 한국
  • 허후 일영(一寧), 許詡
    개설 본관은 하양(河陽). 허윤창(許允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허귀룡(許貴龍)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허조(許稠)이며, 어머니는 대사헌 박경(朴經)의 딸이다. 그의 가문은 대대로 충효(忠孝)로 명성이 높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26년(세종 8) 식년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 1428년 병조...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53년(단종 1)
    경력 :
    좌부승지, 우참찬, 예조판서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하양(河陽)
  • 김공저·박경의 사건 金公著·朴耕의 事件
    전하여 유숭조와 함께 고발을 하였다. 이에 관련자를 모두 잡아들이고, 대궐뜰에서 국문을 하여 대신을 모해하고 조정을 변란하게 하였다는 자백을 얻어 박경 · 김공저는 참형에 처하고, 처자를 노비로 삼고 재산을 몰수하였다. 그리고 연루자로서 이장길을 제주에 안치하고, 유숭조는 음모를 알면서도 고하지 않고...
    시대 :
    조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목우자수심결(언해) 牧牛子修心訣(諺解)
    경복궁의 비현각(丕顯閣)에서 구결(口訣)하고 신미(信眉)가 국역한 것을,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이 책은 당대의 명필가 안혜(安惠) · 유환(柳睆) · 박경(朴耕) 등이 정성껏 써서 새겨낸 정각본(精刻本)이다. 여기에 합철된 법어는 신미가 구결하고 국역한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皖山正凝禪師示蒙...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갑진자 甲辰字
    正字) 김석정(金石靖) 등을 배치하고, 내장(內藏)의 『구양문충공집(歐陽文忠公集)』과 『열녀전(烈女傳)』을 자본으로 하고, 부족한 글자는 행사맹(行司猛) 박경(朴耕)에게 닮게 쓰도록 하여 만든 것이다. 1484년(성종 15) 8월 24일에 시작되어 1485년 3월에 마쳤다. 글자 수는 대소 30여 만자로, 다른 활자보다 작고...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윤회 청경(淸卿), 尹淮
    윤택(尹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 윤구생(尹龜生)이다. 아버지는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윤소종(尹紹宗)이며, 어머니는 박경(朴瓊)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윤회의 아버지 윤소종은 고려 말에 조준(趙浚) 등과 더불어,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왕조를 창건하는 데 깊이 관여...
    시대 :
    조선
    출생 :
    1380년(우왕 6)
    사망 :
    1436년(세종 18)
    경력 :
    병조참의, 예문관제학, 대제학, 병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청경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무송(茂松: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
  •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牧牛子修心訣 및 四法語(諺解)
    법어(蒙山和尙示衆法語)」·「고담화상법어(古潭和尙法語)」 등 4법어가 합철(合綴)되어 있다. 판하본(板下本)의 글씨는 당시의 명필가 안혜(安惠)·유환(柳睆)·박경(朴耕) 등이 썼다. 1984년 보물로 지정된 규장각도서 소장의 목우자수심결(언해)와 동일본이나 4법어가 뒤쪽에 붙어 있고 인쇄가 보다 정교하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