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곡서원
    봉곡서원은 논산시 남부에 위치한 서원이다. 이 서원은 1712년(숙종 38) 현재 논산시에 속한 여산 공촌면 장항리에 창건하였으며,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었다. 그 후 1899년 돈암서원 유림의 주도하에 여산향교 유림과 여산부사 윤기진 및 후손의 협력으로 봉곡서원지에 제단을 설치하여 봉곡단소로 ...
    위치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황화로 290 (연무읍)
  • 봉곡서원 鳳谷書院
    남포시 강서구역 동진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이회두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내용 1838년(헌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회두(李晦斗)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0년(고종 7)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
    시대 :
    조선 후기
    건립시기 :
    1838년(헌종 4)
    성격 :
    서원
    유형 :
    유적
    소재지 :
    남포직할시 강서구역 동진면 심정리
    분야 :
    교육/교육
  • 봉곡서원
    문화재 정보 봉곡서원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에 있는 문화재이다. 1992년 10월 29일 논산시의 향토문화유산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숙종 37년(1711) 우암 송시열과 오봉 이호민의 발의로 1712년 여산 공촌면 장항리에 서원을 창건하였다. 제향 인물은 이계맹, 이순인, 남명한, 진효극, 남두건 등 5인이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서원 목록
    봉강서원 (鳳岡書院)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만리 529 1754년(영조 30) 봉계서원 (鳳溪書院)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 160번지 1701년(숙종27) 봉곡서원 (鳳谷書院)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1087-35번지 1712년(숙종 38) 봉덕서원 (奉德書院)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방산리 300 1959 봉람서원...
    도서 위키백과
  • 논산시의 향토문화유산
    28일 지정 13호 서익선생 유품 논산시 가야곡면 육곡리 394 서승영 1992년 10월 28일 지정 14호 논산시 지정일자 미상, 해제일자 미상 15호 봉곡서원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1087-35 봉곡서원 1992년 10월 29일 지정 16호 논산시 지정일자 미상, 해제일자 미상 17호 논산시 지정일자 미상, 해제일자 미상 18호 선충사...
    도서 위키백과
  • 이순인
    교류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조판서를 추증받고, 전릉군에 봉해졌다. 1613년(광해군 5년) 위성공신(衛聖功臣) 3등에 봉해졌다. 임진왜란 때 세자 광해군을 이천, 전주로 호종하고 광해군 분조(分朝)의 항일 활동을 보좌한 공로였다. 숙종대에 송시열의 발의로 봉곡서원이 창건되면서 배향되었다. 《고담집》(孤潭集) 5권
    도서 위키백과
  • 은렬사
    있고, 광해군 13년에는 사액이 되어 나라에서 정식으로 액호를 내렸으며, 숙종 30년에는 진주목사 홍경렴이 중수하였고, 헌종 12년에 봉곡으로 옮겼다가 1871년 고종 8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그 후 1941년 악강지인 개경 땅에 다시 세운 사당이 은렬사다. 은렬사의 뒤편 화강암 벽에 새겨진 강은열공유지(姜殷...
    도서 위키백과
  • 임오동
    소금배가 드나 들 때 수풀에 가리어 잘 보이지 않아 숲속에 숨어 있는 곳이라 해서 임은(林隱) 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오태동은 오산(烏山), 묘곡(妙谷), 구봉곡(龜峰谷)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오산은 금오산의 가장 주된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산서원의 이름도 여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1977...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