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과 식물16건
현재 페이지
1
/
총 페이지
2
항목
-
일본목련 일본후박, 日本木蓮12-20cm, 폭 6cm이다. 생태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이용 껍질은 후박이라 하여 약용으로 쓰며, 목재는 조각재, 가구재로 이용한다. 해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속(Magnolia) 식물 가운데 잎이 가장 크며, 가지 위쪽에 모여 달리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 서식지 :
- 공원, 유원지
- 학명 :
- Magnolia obovata Thunb.
- 국내분포 :
- 중부 이남(식재)
- 해외분포 :
- 일본
-
자주목련있는 담녹색으로 잎맥에 털이 약간 있다. 꽃 꽃은 4~5월에 가지 끝에서 큰 꽃으로(지름 12-15㎝) 핀다. 꽃잎의 겉은 홍자색이고 안쪽이 백색이다. 다른 목련류처럼 꽃잎이 6장이나 바깥 꽃받침 3장이 흡사 꽃잎 같아 9장으로 보인다. 꽃잎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며 거꿀달걀모양에 가깝고 약간 육질이다. 열매 열매는...
- 분류 :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 꽃색 :
- 백색, 자주색
- 학명 :
-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 E.H.Wilson
- 개화기 :
- 5월, 4월
-
홍골황목련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47호. 일본목련을 북한에서는 황목련이라고 부른다. 일본목련은 홍골사적지 표식비 앞에 있다. 주변에는 소나무·참나무·자작나무·밤나무·아까시나무 등이 섞여 자라고 있다. 일본목련이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편마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토양수분과 거름기는 보통...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147호
- 서식지 :
- 황해남도 은률군 율리
- 성격 :
- 식물, 나무, 일본목련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9m, 뿌리목 둘레 2.2m, 가슴높이둘레 1.8m, 수관 지름 12m
- 분야 :
- 과학/식물
- 수명 :
- 90년
- 개화기 :
- 5월 중순∼6월 초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목련 木蓮내용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한다. 학명은 Magnolia kobus A.P. DC. 이다. 높이 20m, 지름 1m이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고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5∼15㎝, 너비 3∼6㎝이다. 꽃은 4...
- 분류 :
- 목련과
- 성격 :
- 식물, 나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20m, 지름 1m
- 학명 :
- Magnolia kobus A.P. DC.
- 분야 :
- 과학/식물
-
신계황목련군락 新溪黃木蓮群落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85호. 황목련은 일본목련을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이 군락은 어룡산 골짜기에 퍼져 있으며, 분포구역 안에는 25그루의 황목련이 있다. 황목련군락이 분포하고 있는 토양은 편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대의 연평균 기온은 9.5℃이고...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185호
- 서식지 :
- 황해북도 신계군 은점리
- 성격 :
- 식물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뿌리목 둘레 2.00m, 가슴높이 둘레 1.73m, 나무 높이 19.00m, 수관직경 7.20m
- 분야 :
- 과학/식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목련경언해 目蓮經諺解내용 1권. 본문 20장, 시주기 2장. 목판본. 간기에 ‘셰무오뉵월염일(歲在戊午六月念三日)’이라는 내용이 있어 1918년(戊午)의 간행으로 추정된다. ㄱ구개음화가 나타나는 예인 ‘부르기를 지려’(3a), 모음 ㅓ가 ㅡ로 표기된 ‘병을 으더’(4b), ‘불셜목건녕경은’(20b)가 본문에 보이므로, 같은해 같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918년
- 성격 :
- 언해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삭주황목련군락 朔州黃木蓮群落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96호. 황목련은 일본목련을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일본목련 군락은 온천휴양소 주변의 해발높이 500m의 북쪽 비탈면에 퍼져있다. 주변에는 참나무·가래나무·자작나무·소나무들과 관목류·덩굴나무들이 무성한 숲을 이루고 있다. 일본목련 군락이 퍼져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산림...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96호
- 서식지 :
- 평안북도 삭주군 온천노동자구
- 성격 :
- 군락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23m, 뿌리목 둘레 85㎝, 가슴높이둘레 74㎝
- 분야 :
- 과학/식물
- 수명 :
- 80년
-
목련 목연, 신이, magnolia• 성분 : citral, eugenol, 1,8,-cineol, magnoflorine, peonidin •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잎 : 엽아(葉芽)에는 털이 없으나 화아(花芽)의 포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은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5~15cm, 나비 3~6cm로서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 분류 :
- 목련과
- 서식지 :
- 산중턱 숲 속, 정원, 해발 1,800m 이하 지역 한라산 산복 수림 속에 자생
- 학명 :
- Magnolia kobus A.P. DC. Magnolia kobus A.P. De. Candolle
- 분포지역 :
- 한국(제주도). 중국. 일본
- 번식 :
- 꺾꽂이, 접목, 종자, 실생, 취목, 삽목, 분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
-
목련 Kobus magnolia생물학적 특징 낙엽활엽교목, 키는 5-10m, 가지는 굵음, 꺽으면 향기가 남, 엽아와 화아의 구별이 뚜렷함 잎은 호생배열, 단엽, 도란형, 길이는 5-15cm, 폭은 3-6cm, 엽연은 전연 꽃은 양성화, 3-4월 개화, 백색 꽃받침은 3장 꽃잎은 나선상 배열 수술은 다수, 나선상 배열 암술은 다수, 나선상 배열, 골돌, 9-10월 성숙...
- 분류 :
- 목련과(Magnoliaceae)
- 서식지 :
- 산기슭 숲속
- 학명 :
- Magnolia kobus DC.
- 본초명 :
- 신이(辛夷)
- 분포지역 :
- 한국(제주도), 일본
- 근연식물 :
- 백목련
-
일본목련생물학적 특징 낙엽활엽 교목, 높이 20m 잎은 호생, 도란상 장타원형, 길이 20~40㎝, 폭 13~25㎝, 첨두, 둔저, 전연, 표면은 무모, 이면은 흰빛, 털이 있음 꽃은 5월 잎이 나온후 백색 개화, 하늘을 향해 핌 꽃받침은 3개, 꽃잎은 6~9개, 도란형, 길이 6㎝, 암술과 수술은 다수, 수술대는 밝은 홍색, 꽃밥은 황백색 열매...
- 분류 :
- 목련과(Magnoliaceae)
- 학명 :
- Magnolia obovata Thunb.
- 본초명 :
- 후박(厚朴)
- 분포지역 :
- 외래식물(일본 원산), 중부이남 식재
-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개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 학명은 Magnolia sieboldii K.Koch이다. 산에서 피는 목련이라 하여 산목련이라고도 하고, 지방에 따라서는 함백이라고도 한다. 혹은 조금 격을 낮추어 개목련이라고도 부른다. 한자이름으로는 천녀화(天女化)라고 하여 ‘천상의 여인’에 비유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목란(木蘭...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 원산지 :
- 아시아
- 서식지 :
- 숲속
- 크기 :
- 약 7m
- 학명 :
- Magnolia sieboldii K.Koch
- 꽃말 :
- 수줍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