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문경 김룡사 동종 운봉사명 범종, 思印比..
    개설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김룡사동종은 현재 경상남도 김천시 대항면 황악산에 위치한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보물로 지정되기 전에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운달산 김룡사(운봉사)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종이다. 동종의 종신에 “강희 9년 세차 경술 2월 일기 경상도 상주목 북면 운달산...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옛 보신각 동종 서울 보신각종, 舊 普信閣 銅鍾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1m, 입지름 2.28m. 1985년까지 종로 보신각에 걸려 있어 제야(除夜)의 종으로 사용되었던 종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 보존 중이다. 원래는 1395년(태조 4) 종로 운종가(雲從街)에 종각을 짓고 권근(權近)이 찬문(撰文)을 쓴 대종(大鐘)을 매달아 조석(朝夕)을...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홍천 수타사 동종 수타사명 범종, 思印比..
    개설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동면 공작산에 위치한 수타사 종각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종이다. 동종 종신에 “강희 9년 경술 5월 일 원양도 홍천현 동면 공작산 수타사 주종기문 … 연화질 주종 화원 사인 태행 도겸 담연 기생 기임(康熙九年庚戌五月日 原讓道洪川縣東面孔雀山水墮寺鑄鍾...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거창 고견사 동종 居昌古見寺銅鍾
    개설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동종은 1630년(인조 8)에 승장계 주종장으로 활동한 천보(1595∼1634 활동)가 고견사의 사명(寺名)이 견암사일 때 제작한 것이다. 형태는 한국 종의 특징인 한 마리의 용으로 감싼 모양의 음통(音筒)이 없는 대신 쌍룡으로 된 종뉴와 띠장식을 두른 종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00호
    성격 :
    불구(佛具)
    유형 :
    유물
    크기 :
    전체 높이 97.2㎝, 구경 59.7㎝
    재질 :
    청동
    제작시기 :
    1630년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의상봉길 1049, 고견사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 청계사 동종 思印比丘 製作 銅鍾 -..
    있다. 한편, 명문에 의하면 숙종대에 경기도 ·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대표적인 승장 사인비구(思印比丘)의 노년기 작품으로서, 명간(明侃) · 계일(戒日) · 여석(餘釋)과 함께 주성하였다. 사인비구는 수타사종(壽陀寺鐘, 1670) · 통도사종 · 강화동종(江華銅鐘, 1711) 등 모두 8구의 종을 남기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안성 청룡사 동종 청룡사명 범종, 思印比..
    개설 200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서운산에 위치한 청룡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동종이다. 청룡사동종은 종신에 “강희 13년 갑인 4월 일 경기 안성군지 남면 서운산 청룡사 대종 800근 … 연화질 화원 사인 지준 태행 도겸 담연 청윤(康熙十三年 甲寅四月日 京畿安城郡地 南面 瑞雲山 靑龍...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영광 불갑사 동종 靈光 佛甲寺 銅鐘
    개설 원래는 전라도 전주 봉림사에 봉안된 동종이며, 1702년(숙종 28)에 조성되었다. 2011년 12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영광 불갑사 대웅전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종의 전체 외형은 윗부분이 좁고 아래로 가면서 약간 벌어진 모습이다. 다른 범종에 비해 검은 색조가 강하게...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갑사동종 보물 제478호, 甲寺銅鐘
    장식되었다. 유곽과 보살상 사이에 양각된 명문에는 종을 만들게 된 동기나 주조연대, 사용된 쇠의 무게, 시주자의 이름 등이 자세히 적혀 있어 당시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동종은 신라와 고려종의 기본적인 형태와 양식을 충실히 따른 것으로 조선 초기의 동종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상원사동종 上院寺銅鍾
    725년 작.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167cm, 입지름 91cm. 현재 우리나라에 전하고 있는 동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한국종의 형식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뛰어난 주조기술과 조각수법을 보여주는 우수한 종이다. 원래 어느 절에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경상북도 안동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조선 초기에...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포항 오어사 동종 浦項 吾魚寺 銅鍾
    13세기 후기 종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나 이 종으로 인해 1216년에 이미 범자문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조선시대에 제작된 남양주 봉선사 동종(南陽州 奉先寺 銅鍾, 1469년)에서 볼 수 있는 ‘육자광명진언’의 원류를 이 오어사 동종과 같은 고려 13세기 종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
    시대 :
    고려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가평 현등사 동종 가평현등사소장봉선사종, 加平懸燈寺銅鍾
    2중으로 섬세하게 구성되어 하대를 이루고 있다. 종복 3조 융기선 바로 아래에는 몸체를 한 바퀴 돌아 장문의 명문이 빼곡히 양주되어 있다. 특징 현등사 동종은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초반에 사찰에서 제작된 첫 범종으로서, 종의 외형이 중국 범종 양식을 모방하면서도 부분적으로 한국 종의 문양요소가 반영된 조선...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93호
    성격 :
    범종
    유형 :
    유물
    크기 :
    전체 높이 77㎝, 종신 높이 62.5㎝, 종구 지름 59㎝, 종구 두께 62~66㎝
    제작시기 :
    1619년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 산163
  • 선원사 동종 보현사명 동종, 禪院寺 銅鐘
    내용 1973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짙은 검은 빛이 감도는 선원사동종은 전체 높이가 66㎝이고, 입지름이 47㎝로, 18세기 중 · 후반에 제작된 동종 가운데 중간 정도의 크기에 속한다. 종의 형태는 상부에서 종구까지 완만하게 내려와 바깥으로 살짝...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14건

동종
동종
상원사동종
봉선사동종
탑산사동종
강화동종
내소사고려동종
전등사
봉은사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 화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통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강화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강화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안성 청룡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안성 청룡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 안성 청룡사 동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