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단논법의 연구
    이때 전제에 공통되는 명사를 매개명사, 결론의 술어로 기능하는 명사를 대(大)명사, 결론의 주어로 기능하는 명사를 소(小)명사, 대명사가 등장하는 전제를 대전제, 소명사가 등장하는 전제를 소전제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도 완전하지 않다 … E 모든 논리학자는 사람이다 … A 그러므로 어떤 논리학자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군수공업화정책 軍需工業化政策
    돌입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내용 이 시기의 군수공업화정책은 일체의 인간 생산이 군수 산업이요, 일체의 시장상품이 군수용품이라는 대전제 밑에서 강행된 것으로, 이러한 대전제 밑에서는 군수·민수의 품목 구별이 따로 있을 수 없었다. 전분야·전품목에서의 민수의 절약·억제와 소비대체 등이 내용으로 되었다...
    시대 :
    근대
    성격 :
    법제, 정책
    유형 :
    제도
    시행일 :
    1931년 만주사변 후
    시행처 :
    조선총독부
    분야 :
    역사/근대사
  • 삼단논법 Syllogism, 三段論法
    것이다. 결론에서 주어 '인간'을 소개념, 술어 '죽어야만 하는 것'을 대개념이라 하고, 소개념을 포함한 전제를 소전제(小前提), 대개념을 포함한 전제를 대전제(大前提)라 한다. 두 전제에는 대소개념과는 다른 제3의 개념 '동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두 전제를 결부시켜 결론으로 이끌기 위한 매개적 작용을...
    도서 위키백과
  • 진단학회 震檀學會
    震檀)은 동방 단군의 나라, 즉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말이다. 진단학회가 설립되던 당시 한국사 연구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것은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대전제로 하는 식민주의 사관에 입각한 일본인들의 연구였다. 이들은 주요 자료를 독점하고 연구성과를 일본어로 발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10년대말부터 전문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농산물수입개방 農産物輸入開放
    생산비가 수입국의 국내에서 두 상품의 생산비를 비교했을 때보다 싸다면 수출은 양국에 모두 유리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은 그후 비교생산비설의 대전제인 노동가치설이 사상된 채 한 국가에서 어느 상품이 비교우위에 있는가, 비교우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찾는 이론으로 변모했다. 리스트를 중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딜레마 양도논법, Dilemma
    상황을 말한다. 그리스어 ‘di’(두번)와 ‘lemma’(제안·명제)의 합성어가 어원이다. 논리학에서는 이를 삼단논법으로 설명한다. 빠져나올 수 없는 ‘대전제’ 두 개를 가정하고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소전제’가 주어지지만 그 어느 것을 선택해도 선택한 책임을 면할 수 없는 ‘결론’에 다다른다는...
  • 양도논법 兩刀論法, dilemma
    2개의 가설 형식의 대전제와 1개의 선언명제의 소전제로 이루어진 추론형식이다.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만일 우리가 가격을 올리면 판매량은 떨어질 것이다./만일 우리가 질을 낮추면 판매량은 떨어질 것이다./우리는 가격을 올리거나 질을 낮춘다./그러므로 판매량은 떨어질 것이다." 논리학에서 ⊃은 '만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논증하는 글과 논리 증명 방식
    글에서는 논리적 추론을 이용해 주장을 증명한다. 논리적 추론에는 연역추론, 귀납추론, 유비추론 등이 있다. 연역추론의 대표적인 것은 삼단논법이다. 대전제(모든 포유동물은 심장이 있다.)-소전제(모든 고래는 심장이 있다.)-결론(고래는 포유동물이다.)로 전개된다. 여기서 전제들이 참이면 결론도 반드시 참이라는...
    도서 다음백과
  • 式, mood
    위해서 기억하기 좋은 여러 가지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용어 속의 모음은 삼단논법을 구성하는 명제들의 형식을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Felapton'은 대전제(결론의 술어를 포함하고 있는 전제)가 E명제이고 소전제(결론의 주어를 포함하고 있는 전제)는 A명제이며 결론은 O명제인 삼단논법의 식을 표시하기 위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성진회 醒進會
    3의 토요일에 회합하여 연구와 아울러 비밀엄수와 동지포섭을 결의하였다. 또한 조선의 독립, 사회과학의 연구, 식민지교육체제의 반대 등 뚜렷한 민족적·사회적 방향을 대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성진회도 주요구성원의 졸업으로 인한 조직내용의 전환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독서회로 확대 개편되었다. →독서회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설립 :
    1926년 11월 3일
    성격 :
    독립운동단체, 학생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광용(金匡溶), 정우채(鄭瑀采), 임주홍(林周弘), 국순엽(鞠淳葉), 안종익(安鍾翊), 김창주(金昌柱), 최용호(崔鎔鎬), 정남균(鄭南均), 정동수(鄭東秀), 문승수(文升洙), 정종석(鄭鍾奭), 김한필(金漢苾), 박인생(朴仁生)
    분야 :
    역사/근대사
  • 미도트 middot
    엘리에제르 벤 요세(AD 150경)의 32가지 규칙이 나왔다. 이들 미도트는 1,000년 이상 유대교의 표준 역할을 했다. 보다 유명한 것으로는 해석자가 소전제에서 대전제로 논의를 이끌어가는 '콜 와호메르'(하물며)와 유비(類比)를 통해 추론을 하는 '게제라 샤와'(비슷한 표현이나 율법의 비교)가 있다. '콜 와호메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대한사민논설 大韓士民論說
    객관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각 조항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제1항에서 제4항까지는 강령 전체를 일관하는 정치이념인 왕도사상(王道思想)을 대전제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왕도정치의 지향을 전제로 하면서도 그들이 내걸었던 구체적인 요구는 당시 역사적 과제인 반침략적·반봉건적 성격으로 일관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