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진달래꽃15편, 14부 ‘꽃 촉(燭)불 켜는 밤’에 「꽃 촉(燭)불 켜는 밤」 · 「무신(無信)」 ·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등 10편, 15부 ‘금(金)잔디’에, 「금잔디」 · 「강촌」 · 「달맞이」 · 「엄마야 누나야」 등 5편, 16부에 「닭은 꼬꾸요」 1편이 실려 있다. 수록된 대부분의 작품은 김소월이 그 이전에 개별...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소월 소월(素月), 金素月시작한 것은 1922년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면서부터인데, 주로 『개벽』을 무대로 활약하였다. 이 무렵 발표한 대표적 작품들로는, 1922년 『개벽』에 실린 「금잔디」 · 「첫치마」 · 「엄마야 누나야」 · 「진달래꽃」 · 「개여울」 · 「제비」 · 「강촌(江村)」 등이 있고, 1923년 같은 잡지에 실린 「예전엔...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고원의곡 故園의曲소재를 통하여 유토피아를 갈망하고 있다. 동심을 주제로 한 작품은「봄 ① - 햇빛과 아기」,「강(江) 건너 마을」,「잠자리」,「비온 뒷날」,「금잔디 지붕 ①」,「금잔디 지붕 ②」,「술래잡기 ①」,「달」등이 있다. 이들 작품들에 나타난 동심의 세계는 어린아이의 순수한 마음이 아니라 시인이 꿈꾸는 순수한 세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상옥
- 창작/발표시기 :
- 1949년 1월 10일
- 성격 :
- 시집
- 유형 :
- 작품
- 크기 :
- A5
- 권수/책수 :
- 1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발코니 정리 작업칠해줍니다. 6단계 붓으로 테두리나 모서리를 칠하고 넓은 면은 롤러로 칠하지요. 7단계 바닥에 깔기 위해 주문한 인조 잔디. 폭 1미터에 길이 4미터짜리 금잔디를 약 6만원에 주문. 타일이나 데크를 새로 깔기에는 저 역시 전셋집에 무리하는 것 같고 인조 잔디 정도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깔았다가 걷어내어 청소...
-
-
이연국 李演國강은교의 시에 곡을 붙인 가곡집 『애모』가 수문당에서 출판되었다. 가곡집 『애모』는 「예전엔」, 「달맞이」, 「애모」, 「윤사월」, 「산유화」, 「금잔디」, 「못잊어」, 「설움의 덩이」, 「편편화심」, 「노래를 불러도」, 「상여」, 「풀잎」, 「회귀」, 「성모송」 등의 14편의 가곡과 합창곡 「회귀」로 구성...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31년
- 사망 :
- 1993년
- 경력 :
-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작곡가
- 대표작 :
- 가곡집『애모』, 교향곡 1번, 세악 1, 5, 6번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금다래꿍서도민요의 하나로 전승되고 있고, “이옥녀라는 아가씨와 금다래라는 총각이 서로 사랑하였지만 부모님들의 반대로 결혼하지 못하였고, 그래서 부모님 몰래 금잔디가 닳도록 오가면서 사랑을 나누었다”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1. 금다래꿍 금다래꿍 금다래꿍 금다라졌네 보고지고 보고지고 이옥녀 아가씨가 보고지고 2...
- 성격 :
- 전래민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황해도
-
매창집 梅窓集은 간송문고(澗松文庫)에 2종이 있고,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에 필사본 1책이 있으며, 하버드대학 도서관 도서에도 있다. 『조선역대여류문집』에는 시 전부를 활자로 채록하였다. 『역대여류한시문선(歷代女流漢詩文選)』에는 시 전부를 번역하였다. 김억(金億)의 『금잔디』에는 38수를 번역, 게재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