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리에 더욱 민감해진다, 임신 24주이상 되며, 호흡을 위한 준비로 폐 속의 혈관이 발달한다. 입을 자주 벌려 양수를 마셨다가 뱉고, 탯줄이나 손가락이 입 근처에 있으면 반사적으로 얼굴을 그쪽으로 돌린다. 이런 과정을 통해 태어난 뒤 배가 고프면 엄마의 젖꼭지를 찾는 먹이 반사를 익힌다. 바깥 소리에 더욱 민감해진다 이제 태아는 바깥에서 들리는...
-
키 키〔簸〕아침에 그 자리를 살펴본다. 쌀알이 있으면 쌀이, 조가 있으면 조가 그해에 풍년이 들 것이라고 한다. 또, 윤달에 주부가 마루에서 마당 쪽으로 키질을 하면 집안이 망한다고 믿는다. 이는 대문에 그 집을 지켜주는 문전신(門前神)이 있어 그쪽으로 키질을 하면 그 신을 내쫓는 격이 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성격 :
- 농기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고리버들, 대
- 용도 :
- 곡식의 쭉정이·티끌·검부러기 등의 불순물 걸러내기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우주 탐험, 익스플로러 1호 인공위성 1958 알파, Explorer-1다른 우주선은 우주를 여행하는 동안 현 위치와 발견한 것 등 모든 정보를 지구로 보낸다. 정보는 무선 신호의 형태로 보내진다. 지상에 있는 거대한 안테나가 약한 신호를 감지하고 그쪽으로 회전한 다음 해당 우주선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지구는 24시간 자전하기 때문에 전 세계 여러 곳의 관측소가 돌아가며 탐지...
-
-
-
-
귀명삼보 歸命三寶내용 신라의 원효(元曉)에 의해 독창적으로 주창·유포되었다. 귀는 ‘경외하며 따라간다.’, ‘방향을 그쪽으로 돌린다.’는 의미이고, 명은 ‘목숨의 근원’을 뜻한다. 이 명은 인간의 감각적·심리적 기능을 통제하는 가장 중요한 것이다. 원효는 가장 귀중한 목숨을 들어서 삼보에 귀의하는 것이야말로 신심(信心)의...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맞장구치다맞출 수 있다. 바뀐 뜻 남의 말에 호응하거나 동의하는 말을 하는 것을 말한다. 보기글 ㆍ시어머니가 야단을 치는데 옆에서 시누이가 맞장구를 치니까 잘못했다는 생각이 들기는커녕 더 화가 나는 거야. ㆍ아까 내가 그 대리점에서 항의할 때 언니가 옆에서 맞장구를 쳐줬으니까 그쪽에서 그만큼이라도 수그러든 거라고.
- 유형 :
- 관용구
-
레코드 스타는 단연 평양기생들등장한 이름이 바로 기생가수였다. 음반이 도입되면서 전통음악이 새로운 오락거리로 각광을 받던 시절, 한편에서는 유행가 가수가 대중을 사로잡고 있을 때 그쪽으로 진출하여 재능을 인정받은 기생들이 등장한 것이다. 평양출신 왕수복은 그중 대표적인 기생이었다. 왕수복의 뒤를 이어 등장한 선우일선 역시 평양출신...
-
구두에 쓸리는 부분이 있다! 구두 응급처치대각 방향에까지 도포할 것을 권한다. 단순히 발이 꽉 끼는 부분이 쓸리는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은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부분의 공간이 부족해 가죽이 그쪽으로 당겨져 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방법으로 늘인 구두를 벗어놓고 그대로 장기간 방치하면 점차 원상태로 돌아가기고 하므로 슈 스트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