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리 상승 · 하락 금리가 오르락내리락주요 개념 : 돈의 수요, 돈의 공급, 금리 상승, 금리 하락 이제 금리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볼까? 앞에서 말했듯이 금리는 돈을 빌리는 측의 신용, 만기, 금액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인 금리 수준은 돈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받아. 금융시장에서 돈은 그냥 텔레비전이나 자동차, 아파트 같은 상품이라고 생각하...
-
금리선물 interest rate futures있으므로 향후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는 금리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국채선물을 매도(시장 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채권의 가격 하락이 국채선물 매도에 따른 이익으로 상쇄)하게 되는데 이를 헤지거래라고 한다. 반면 보유채권 없이 국채선물가격의 방향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
-
금리스왑 IRS, Interest Rate Swaps있다. 앞서 제시한 예시는 헤지거래에 해당한다. 자신의 자산 ・ 부채 포지션과 관계없이 금리 하락을 예상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금리스왑 receive거래를, 금리 상승을 예상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경우에는 금리스왑 pay거래를 하게 되는데 전형적인 투기적 거래에 해당한다. 금리스왑시장에서는 금리스왑...
-
고정금리약정 3개월후 3.7%, 6개월후 4.0%, 9개월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변동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 양적완화 축소 등...
-
변동금리약정 3개월후 3.7%, 6개월후 4.0%, 9개월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고정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는 변동금리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동일 만기에서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 보다 높은데...
-
6개월 익혀 60년 써먹는 경제경기 상승/하락의 경제주기를 더 여러 번 주의깊게 체험하게 된다. 그래서 이후 나이들어 목돈을 들고 있을 때 더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다. 경제흐름은 단순히 경제개념, 그래프, 두꺼운 경제학 원론, 꽉 짜여진 원서로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경제공부와 함께 몸으로 경제주기를 겪어내어야 진짜 내 삶에 필요한...
-
-
-
통화정책 파급경로파급되는 경로에는 금리경로, 자산가격경로, 환율경로, 기대경로, 신용경로, 위험선호경로 등이 있다. 금리경로는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인하하면 단기시장금리와 함께 장기시장금리, 은행 여수신금리도 하락하여 기업투자와 가계소비가 늘어나고 이는 생산 증대 및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자산가격경로의 경우 중앙...
-
피셔효과 fisher effect수도 있는 것이다. 피셔효과(fisher effect)가 통화정책에서 나타나는 사례를 살펴보자.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면 즉각적으로 시중의 명목금리가 상승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명목금리가 하락할 수 있다. 이는 중앙은행이 통화 긴축을 실시할 경우 물가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