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풍차 風車, windmill
    탑형 풍차의 덮개에 장착되어 틀 위의 기어가 달린 래크를 움직일 수도 있다. 풍차 날개는 대개 수평에서 5~15° 정도 위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축 또는 굴대에 장착된다. 최초의 풍차 날개는 나무틀에 범포(帆布)를 펼쳐서 만들었으며, 각 날개는 풍차에 개별적으로 고정시켜 달았다. 초기의 날개는 평면으로 회전 방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과학 일반
  • 뜸부기, 진창이 미끄러워
    진창이 미끄러워 진창이 미끄러워 泥滑滑泥滑滑 진창 미끄러우니 삼가 나아가지 말라. 泥滑滑愼無前 어제 성남에선 큰 군대 무너져서 昨日城南大軍陷 바퀴 굴대 부서지고 수레는 전복됐지. 輪摧軸絕車仍顚 진창이 미끄러워 진창이 미끄러워 泥滑滑泥滑滑 엎어진 수레 앞에 있으니 그대 못 돌아가리. 覆轍在前君莫歸 물에...
    도서 새 문화사전 | 태그 고전문학
  • 물레방아
    바퀴가 돌아가게 되어 있다. 드물게는 물이 바퀴 밑으로 흐르는 힘을 이용하는 것도 있는데 특별히 '밀방아'라 부른다. 작동원리는 바퀴를 가로지른 방아굴대 양쪽에 달린 눌림대가 바퀴가 돌아감에 따라 집안에 장치된 방아의 한쪽 끝인 살개목을 지그시 눌러 방아공이를 들어올린다. 따라서 1바퀴 돌 때 방앗간의 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바퀴 wheel
    목재로 된 축으로 꿰뚫어 연결한 것이다. BC 2000년경의 살바퀴(spoked wheel)는 소아시아에서 전차 바퀴로 사용되었다. 그뒤에 개발된 바퀴는 윤활유를 친 굴대에서 도는 쇠바퀴통(중심부)이 포함되었다. BC 35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도자기를 만들 때 바퀴(회전반)를 사용했다. 초기의 수차는 흐르는 물이나 발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자동차
  • 물레 도차, spinning wheel
    혁명의 한 부분이 되었다. 한국에서도 물레가 오래전부터 쓰였는데 나무로 된 여러 개의 살을 끈으로 얽어매어 보통 6각 또는 8각의 둘레를 만들고 가운데에 굴대를 박아 손잡이로 돌리게 되어 있다. 물레의 모양과 부분명칭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대략 다음과 같다. ① 꼭지마리:물레의 손잡이, ② 동줄:물레의 바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랭킨 William John Macquorn Rankine
    마련했다. J. B. 맥닐의 지도를 받아 토목공학을 공부하고, 1855년 글래스고대학교의 퀸 빅토리아 좌(座) 토목공학 및 역학교수로 임명되었다. 1843년 철도 굴대로 쓰이는 금속의 피로 현상에 관한 그의 첫 논문에서 새로운 철도 건설법을 제시했다. 1858년 발행한 〈응용 역학 편람 Manual of Applied Mechanics〉은...
    출생 :
    1820. 7. 5,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사망 :
    1872. 12. 24, 글래스고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수레바퀴 wheel
    바퀴가 튼튼하긴 하지만 무거워 움직이는데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좀 더 가볍고 빠르게 굴러가도록 하기 위해 바퀴살이 있는 바퀴가 고안된 것이다. 그 뒤에 개발된 바퀴는 윤활유를 친 굴대에서 도는 쇠바퀴통(중심부)이 포함되었다. 바퀴는 제어 가능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어서 기계 설계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에키클레마 ekkyklema
    바퀴나 굴대를 이용해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켰으며 활인화와 같은 무대 안이나 무대 밖의 장면을 나타내기 위해 밀어 움직일 수 있는 낮은 플랫폼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에키클레마는 5세기에 연출가들에게 연기를 명료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을 제공하고자 아테네 무대에 도입되었다. 그리스 무대에서는 폭력이 금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물레 물네
    설주 등으로 구성되는데, 바퀴에는 다음의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나무를 깎아 만든 여러 개의 살을 끈으로 얽어매어 보통 6각의 둘레를 만들고, 가운데 굴대를 박아 손잡이를 붙인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여러 개의 살을 붙여서 만든 두 개의 바퀴를 나란히 놓고 바퀴테 사이사이를 대나무 쪽으로 연결해 하나의 몸을...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덕수리 불미공예 德修里 불미工藝
    는 풀무의 제주도 방언이다. 제주도 주물공예의 형태는 그 규모나 방법에 따라 손풀무와 골풀무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땅바닥에 장방형으로 골을 파서 중간에 굴대를 가로 박고, 그 위에 골에 맞는 판자를 걸쳐서 한쪽에 세 사람씩 서서 판자의 두 끝을 디뎌가며 바람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를 청탁불미 · 디딤불미...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황주금석리유적 黃州金石里遺蹟
    7점, 말띠부속구[馬帶金具] 1점, 솥[銅釜] 2점이 있고, 철기류로 긴칼[鐵刀] 1점, 단검[鐵劍] 1점, 창끝[鐵鉾] 1점, 끌[鐵鑿] 1점, 도끼[鍛斧] 1점, 수레굴대끝[車軸頭] 1쌍, 쇠고리[車軸環] 3점, 말재갈[銜] 1점 등이 있으며, 토기류로는 화분형토기(花盆形土器) 1점, 단지[短頸壺] 1점이 있다. 출토유물의 성격으로...
    시대 :
    선사/철기
    건립시기 :
    초기 철기시대(서기전 2세기 말∼1세기 초)
    성격 :
    고분, 덧널무덤
    유형 :
    유적
    소재지 :
    황해도 황주군 금석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왕준 王綧
    왕창이 직접 맞아 호의를 베풀어 침해를 모면하라는 계책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최항(崔沆)이 듣지 않아 결국 몽고군이 쳐들어오게 되었다. 그 해 몽고의 야굴대왕(也窟大王)을 따라와 충주를 포위, 공격하였다. 이듬해에는 차라대(車羅大) · 홍복원(洪福源) 등과 함께 보현원에 진을 치고 머물렀다. 1255년에 다시...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평양 토성동 고분 4호분 출토 수레굴대끝
평양 토성리 고분군 4호분 출토 수레굴대끝씌우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