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활쏘기구경꾼들이 운집하였다. 궁사들이 번갈아 활을 쏘면 기생들은 화려한 옷을 입고 활쏘는 한량들 뒤에 나란히 줄을 지어 서서 소리를 하며 격려하였다. 화살이 과녁을 맞히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여흥을 돋우었는데, 이때 주연을 베풀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활은 시대에 따라 형태의 변화와 제작기술에 있어 꾸준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도량형 관련 우리말, 화살 표적을 가리키는 말정곡(正鵠) 과녁의 한가운데가 되는 점. 정(正) 중국 후한의 학자 정현(鄭玄)의 주석에 따르면 천으로 만든 과녁을 말한다. 곡(鵠) 가죽으로 만든 과녁. 곡은 또한 과녁 중 사방 4척(尺) 이내의 자리다. 후(侯) 과녁 중 곡을 제외한 사방 10척 이내의 자리다.
-
-
-
정곡을 찌르다 正鵠을 찌르다본 뜻 정(正) - 정현(鄭玄)의 주석에 따르면 정(正)은 천으로 만든 과녁이다. 곡(鵠) - 과녁 중 사방 4척(尺) 이내의 자리이다. 정현의 주석에 따르면 곡(鵠)은 가죽으로 만든 과녁이다. 후(侯) - 과녁 중 곡을 제외한 사방 10척(尺) 이내의 자리. 바뀐 뜻 사물이나 문제의 핵심을 가리킨다. 보기글 ㆍ그의 말은 늘 정곡...
-
사격 국제 대회와 조직무릎받쳐쏘기)를 한다. 자유소총과 군용 소총 종목에서는 300m 거리에서 3자세 시합이 벌어진다. 자유권총은 표적거리가 50m, 센터파이어와 속사권총은 25m이다. 과녁은 종이로, 과녁의 한복판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린 유형이 대부분이지만, 속사권총, 러닝 보어, 러닝 디어 종목에서는 동물 모양을 과녁으로 이용한다...
-
대사례 大射禮개설 행사하려는 것이 제사일 경우 활을 쏘아 과녁을 맞힌 사람은 상으로 제사에 참례시키고 맞히지 못한 사람은 벌로 제사에 참례시키지 않았다. 활쏘기는 육예(六藝)의 하나로 남자의 덕행을 수양하는 방법이며 심신을 단련하고 국가의 비상시를 대비하는 훈련 방법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사례에는 대사례와...
- 시대 :
- 조선
- 성격 :
- 국가의례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활나부끼게 되는 것이다. 각 정 대표가 나와 활쏘기시합을 하게 되면 이를 정순(定巡)이라 하며 시합성적을 정시지(正試紙)에 적되 적는 이를 척관이라 한다. 과녁[貫革]에 화살이 명중하면 이를 관중(貫中)이라 하는데, 정시지에는 이를 ‘변(邊)’ 또는 ‘중(中)’이라고 적는다. 맞지 않으면 ‘실(失)’이라 기록한다...
- 유형 :
- 물품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