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궁도 弓道, kungdo
    등과 같은 인위적인 기계장치는 부착할 수 없다. 경기 방법 조를 편성하는 인원수는 경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명~7명을 1개조로 하여 대(같이 서서 한 과녁을 향해 쏘는 1개조)를 편성한다. 이어 각 대는 교대로 나와 1순(順), 즉 한 대에 편성된 각 선수가 1발씩 돌아가면서 쏘기 시작해 모두 3발 또는 5발씩을 쏘게...
  • 사격의 종류
    선 자세로 쏘는 것이다. 1920년대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수천 개에 이르는 사격 클럽과 사격협회에서는 소총 과녁 사격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높아졌다. 특히 22구경 림파이어(기부 주변에 도화선이 붙은 탄약통을 이용하는 총기)인 소구경 소총사격에 대한 관심이 가장...
  • 활쏘기
    구경꾼들이 운집하였다. 궁사들이 번갈아 활을 쏘면 기생들은 화려한 옷을 입고 활쏘는 한량들 뒤에 나란히 줄을 지어 서서 소리를 하며 격려하였다. 화살이 과녁을 맞히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여흥을 돋우었는데, 이때 주연을 베풀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활은 시대에 따라 형태의 변화와 제작기술에 있어 꾸준한...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체육
  • 도량형 관련 우리말, 화살 표적을 가리키는 말
    정곡(正鵠) 과녁의 한가운데가 되는 점. 정(正) 중국 후한의 학자 정현(鄭玄)의 주석에 따르면 천으로 만든 과녁을 말한다. 곡(鵠) 가죽으로 만든 과녁. 곡은 또한 과녁 중 사방 4척(尺) 이내의 자리다. 후(侯) 과녁 중 곡을 제외한 사방 10척 이내의 자리다.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양궁 archery
    양궁은 활과 화살을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과녁을 향해 쏘아 득점을 겨루는 타깃 종목이다. 전 세계적으로 옛부터 활은 사냥이나 전쟁의 도구로 존재해 왔으며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있다. 양궁은 지중해형에서 유래, 발전되었으며 ‘양궁’이라는 명칭은 우리나라의 전통 활쏘기인 국궁(國弓...
    올림픽 경기 종목 :
    Y
  • 양궁의 장비
    방법에 대해서는 '지중해식 궁술' 항목 참조)(→ 지중해식 궁술). 야외 활터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평평한 잔디밭에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과녁은 북쪽에 놓고, 남쪽에서 북쪽을 향해 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실내에서 열리는 경기도 있다. 과녁은 대개 밀짚으로 엮은 새끼를 단단히 꼰 다음 점수를...
  • 정곡을 찌르다 正鵠을 찌르다
    본 뜻 정(正) - 정현(鄭玄)의 주석에 따르면 정(正)은 천으로 만든 과녁이다. 곡(鵠) - 과녁 중 사방 4척(尺) 이내의 자리이다. 정현의 주석에 따르면 곡(鵠)은 가죽으로 만든 과녁이다. 후(侯) - 과녁 중 곡을 제외한 사방 10척(尺) 이내의 자리. 바뀐 뜻 사물이나 문제의 핵심을 가리킨다. 보기글 ㆍ그의 말은 늘 정곡...
  • 사격 국제 대회와 조직
    무릎받쳐쏘기)를 한다. 자유소총과 군용 소총 종목에서는 300m 거리에서 3자세 시합이 벌어진다. 자유권총은 표적거리가 50m, 센터파이어와 속사권총은 25m이다. 과녁은 종이로, 과녁의 한복판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린 유형이 대부분이지만, 속사권총, 러닝 보어, 러닝 디어 종목에서는 동물 모양을 과녁으로 이용한다...
  • 대사례 大射禮
    개설 행사하려는 것이 제사일 경우 활을 쏘아 과녁을 맞힌 사람은 상으로 제사에 참례시키고 맞히지 못한 사람은 벌로 제사에 참례시키지 않았다. 활쏘기는 육예(六藝)의 하나로 남자의 덕행을 수양하는 방법이며 심신을 단련하고 국가의 비상시를 대비하는 훈련 방법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사례에는 대사례와...
    시대 :
    조선
    성격 :
    국가의례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기사 騎射
    내삼청 남항·정병·문신·군관·영장 등의 취재와 교습 과목의 하나였다. 1433년(세종 15) 무예의 시험방법을 고쳤는데, 좌우 35보 거리에 홍색·백색의 과녁을 5보 간격으로 각기 5개씩 세우고 가운데로 2번 말을 달리면서 5발을 쏘게 했다. 이때 좌측에는 홍·백·홍의 순서로, 우측에는 반대로 표적을 세우는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나부끼게 되는 것이다. 각 정 대표가 나와 활쏘기시합을 하게 되면 이를 정순(定巡)이라 하며 시합성적을 정시지(正試紙)에 적되 적는 이를 척관이라 한다. 과녁[貫革]에 화살이 명중하면 이를 관중(貫中)이라 하는데, 정시지에는 이를 ‘변(邊)’ 또는 ‘중(中)’이라고 적는다. 맞지 않으면 ‘실(失)’이라 기록한다...
    유형 :
    물품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궁도 弓道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궁대는 활을 넣는 천주머니로, 화살을 쏠 때는 허리에 둘러매고 다른 살을 꽂아둔다. 궁도를 위한 시설로는 사대(射臺)와 과녁이 있어야 한다. 과녁은 대개 적당한 두께의 소나무로 만들며 탄피촉이라 할지라도 맞으면 표면이 상하기 때문에 지금은 고무를 입히고 페인트칠을 한다. 과녁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과녁
과녁
테니스공과 압력 : 한 개의 테니스공이 과녁에 부딪치면 과녁이 거의 움직이지 않지만, 여러 개의 테니스공이 과녁에 한꺼번에 부딪치면 과녁이 움직인다.
궁도의 과녁
FITA방식 양궁 과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