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국유학제거사 高麗國儒學提擧司아니라, 사상·학문 등 문화의 교류도 활발하여 원나라의 고려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그리하여 원나라의 세조는 1289년(충렬왕 15) 고려국유학제거사를 설치하고 고려의 유학을 연구하게 하였는데 품질(品秩)은 종5품으로 하였다. 여기에 임명된 예로는 안향(安珦)에게 정동행성(征東行省)의 낭중(郎中)을 제수하여...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289년(충렬왕 15)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 고려국(高麗國), 高麗연구를 진작시켰다. 이러한 경전 강독과 토론의 전통은 인종~의종 때까지 계속되어 유학의 진흥과 발달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이로 인해 고려의 유학 수준은 크게 향상되어, 유학은 국가의 주요한 통치이념의 하나로 뿌리를 내렸다. 성리학 수용과 개혁정치 성리학은 원나라를 통해 수용되었다. 원나라를 방문한 고려...
- 시대 :
- 고려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조기유학을 보내야 할까요? 초등학교 4~5학년의 재능과 유학초등학교 4~5학년 정도가 되면 어느 정도 가능해지는데, 이 역시 아이마다 편차가 큽니다. 4~5학년이라고 해도 부모를 떠나 생활할 능력이 없다면 유학을 고려하기에 앞서 자립심부터 키워줘야 합니다. 그다음 살펴보아야 할 것이 '아이 자신이 유학을 원하는가?'입니다. 성격이 활발하고 학습에 적극적인 아이들을...
- 시기 :
- 초등학교 4~5학년
-
의천의 송나라 유학후 문종으로부터 승통(僧統)이라는 직위를 받고 불교 강론을 시작했다. 문종이 승하한 뒤 송나라 유학을 추진했으나 많은 신하들이 거란과의 외교 관계를 고려해 송나라 유학을 거세게 반대했다. 그러나 의천은 이러한 반대에도 어머니 인예왕후와 형인 선종에게 편지를 남겨 놓은 채 1085년 송나라 행을 감행했다...
- 시대 :
- 1085년~1086년
- 국가/대륙 :
- 한국
-
유학 儒學지고 있다. 조선시대 성리학사인 배종호(裵宗鎬)의 『한국유학사』(1978)와 고려시대 유학사인 김충렬(金忠烈)의 『고려유학사』(1984)는 시대사 연구의 중요한...1976)는 삼국시대사를 중심으로 한 통사이며, 윤사순(尹絲淳)의 『한국유학논구』(1980)는 조선시대 유학사에 대한 문제 중심의 접근이다. 유명종(劉明鍾...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유학 留學4년제 대학 졸업자라야 허용되었다. 또한, 매년 실시되는 해외유학자격고시에 자연계 대 인문계의 비율을 7:3 정도로 조절하는 방침이 상당 기간 적용되어 왔다...과학이 외국어가 적게 요구된다는 이유 외에 자연계 인력 확보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취해진 조처로 해석된다. ② 유학생의 질을 보장하여 유학의 효율성을...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교육
-
공양왕 왕요(王瑤), 恭讓王상소문이 이어졌다. 이러한 논쟁은 정치적 · 경제적 · 군사적으로 권력이 이성계 세력에 집중된 상황에서 공양왕의 숭불이 태조 대의 정치를 지향하며 고려의 중흥을 표방하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정치적 의미를 갖는다. 7월, 정몽주 등이 김저 사건, 윤이 · 이초 사건 등 5가지 사건과 관련해 그 죄의 판결을 다시 할...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