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학제거사

다른 표기 언어 儒學提擧司

요약 중국 원대(元代)에 로(路)·부(府)·주(州)·현(縣)의 학교를 맡아보던 관청.

원나라는 세조대에 학제를 정리하여 지방의 학교에 유학교수(儒學敎授) 이하의 관을 두었는데, 여러 로에 유학제거사를 설치해서 이들을 통솔하게 했다. 이밖에도 유학제거사는 노·부·주·현의 제사, 교양, 전량(錢糧) 등을 담당했다.

1287년 강남의 각 도에도 유학제거사를 설치했지만, 1295년 각 행성에 1사(司)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폐지했다. 관원으로는 장관직인 종5품의 유학제거 1명, 종7품의 유학부제거 1명, 이목(吏目) 2명이 있었다. 고려에는 원나라가 1280년(충렬왕 6) 개경에 설치한 정동행성(征東行省)이 있었는데, 원이 각 행성마다 유학제거사를 두게 됨에 따라 1298년 개경의 정동행성에도 유학제거사를 두었다.

그 속관인 유학제거로는 당시 좌부승지면서 정동행성낭중으로 있었던 안향(安珦)이 임명되었다. 그뒤에도 유학제거로 정해·최백론이 임명되고, 충숙왕대에 이르러 왕삼석이 임명되었다. 또한 경서에 정통한 고려유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원나라의 다른 행성에 속했던 유학제거들이 고려로 와서 문화적 교류를 갖기도 했다.

1356년(공민왕 5) 반원개혁 당시 정동행성이 혁파될 때 유학제거사도 없어졌다가 1361년에 정동행성이 다시 설치되면서 1363년에 이색을 유학제거사로 임명했다. 그뒤에도 폐지와 설치는 반복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학제거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