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다우르의 기원과 사회발전
    한 부분으로부터 전해 내려왔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다우르연구』에 기재된 많은 문장은 모두 거란설을 주장하고 있다. 주요 논거로는 거란의 역사 변천과 다우르의 역사 전설이 일치한다는 점과 거란어와 다우르족어의 많은 부분이 비슷하고 생활방식도 비교적 근접하다는 점, 즉 거란과 다우르이 정주...
    분류 :
    만-퉁구스어족 민족 > 다우르족
  • 거란의 침략과 격퇴
    보내어 거란과 협상을 시작했다. 서희는 고려가 진정한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강조하며, 양국간의 교류가 적은 것은 양국 사이에 있는 여진 때문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거란으로부터 압록강 동쪽 280리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았다. 고려는 여진을 몰아내고 이곳에 강동 6주라고 불리는 6개의 성을 쌓아 영토를 넓혔다...
    시대 :
    993년~1018년
  • 탕구트 고유 문자를 발명한 송나라의 숙적
    전쟁 포로들로 구성된 특수 부대인 ‘금생(擒生)’도 있었는데, 이들의 총 인원수는 10만이었다. 대개는 송과의 전투에서 생포한 한족 포로였고, 간혹 거란이나 토번족도 있었다. 서하군에는 사람과 말이 모두 갑옷을 입은 중무장 기병, 즉 철기(鐵騎) 부대도 있었다. 서하인들은 이를 철요자(鐵鷂子)라 불렀는데...
  • 고려-거란 전쟁 Goryeo–Khitan War, 契丹の高麗侵攻
    흥화진 내침 까지를 통틀어 말한다. 궁예가 901년 후고구려를 건국할때 지금의 몽골과 만주지방에는 거란과 여진이 유목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 중 거란은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907년 통일한 뒤, 916년 요나라(遼)를 건국하였다. 922년(태조 5년) 야율아보기는 고려에 낙타와 말을 보내기도 하였다. 발해...
    도서 위키백과
  • 여진의 금 Jin, Chin Dynasty
    여진은 원래 쑹화 강, 무단 강, 헤이룽 강 유역과 동만주 해안 일대에 살던 종족으로, 10세기 초 발해가 거란에게 망하자 말갈의 중심 세력이던 흑수말갈이 거란에 속하면서 여진이라 불렸다. 여진은 크게 만주의 지린 성 동북 지방에 흩어져 사는 생여진과 그 남서쪽의 숙여진으로 나뉜다. 전자는 대개 거란의...
    도서 다음백과
  • 요나라 Liao dynasty, 遼
    대요(大遼, 916년 ~ 1125년)는 거란이 중국 화북지역을 정복하고 세운 왕조이다. 생활은 주로 정주 농경과 목축을 하였다. 야율아보기가 거란과 기타 이민족들을 모아 화북을 점령하고 칭제하였다. 916년 건국 당시에는 국호가 거란(契丹)이었는데, 947년에 대요로 바꾸고, 1125년에 금나라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다...
    도서 위키백과
  • 말갈 靺鞨族
    건국의 주체세력 중 하나가 되었다(→ 대조영). 발해 멸망 이후에는 고구려·발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의 세력을 유지했던 흑수부를 포함한 모든 말갈거란의 지배 아래 들어갔다. 이들의 후신이 고려와 요의 변경을 침입하면서 그 문화적 영향을 받다가 뒤에 금을 세우고 만주와 북중국을 지배한 여진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강동6주 江東六州
    동쪽)·용주(龍州:龍川)·통주(通州:宣川 서북쪽)·철주(鐵州:鐵山)·구주(龜州:龜城)·곽주(곽산)를 말한다. 고려시대 서북면(西北面) 해안지대에 여진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태조 이래 추진해온 북진정책에 큰 장애가 되었다. 그런데 993년(성종 12) 거란(契丹)의 제1차 침입 때 서희(徐熙)가 거란 장군 소손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카자흐의 기원과 사회발전
    고사(乌古斯) 등의 부락과 오손의 부락은 한층 더 융합되었다. 12세기에 7하 유역은 서요 정권(1128~1192년)에 의해 통치되었다. 지금까지도 카자흐 가운데는 여전히 거란이라 부르는 부족이 남아 있다. 13세기에 몽골인이 중앙아시아를 정복하였고, 중앙아시아에 들어간 몽골인들은 후일 점차 돌궐화되었다. 몽골인...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카자흐족
  • 다우르 Daur people, ダウール族
    있다.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 푸이의 부인인 효각민황후 고불로씨, 즉 완룽이 다우르 출신이다. 거란의 후예라는 학설이 있다. 문화적으로나 유전적으로 거란과 가장 가깝다고 한다. 다우르이 과거 거란의 후예라는 주장은 건륭제의 흠정 요금원삼사어해(欽定 遼金元三史語解)에서도 언급된 역사깊은 가설...
    도서 위키백과
  • 여진 여직(女直), 女眞
    로 불렸으며, 10세기 초의 송나라 때 처음으로 여진이라 했고, 청나라 때에는 만주이라 칭하였다. 연원 및 변천 1) 고려시대 여진은 발해 멸망 이후 그 터에...말갈의 흑수부(黑水部)를 여진으로 불렀던 것이다. 흑수말갈은 거란의 통치 아래 두만강 유역에서 함경남북도 지역으로 이동해 살면서 고려에 조공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윤관과 9성
    되었다. 고려는 이곳을 직접 통치하기로 결정하고 약 7만 호를 이주시켰다. 하지만 농민이 대부분이었던 이주민들은 새로운 지역에 쉽게 정착하지 못했다. 게다가 여진의 침입이 계속되자 정착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고려는 거란의 위협이 상존한 상태에서 9성 방어에 과도한 힘을 기울일 수 없었다. 결국 매년 조공...
    시대 :
    1107년~1125년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7건

거란족의 변발 모습
장막을 치고 잔치를 벌이는 거란족의 모습
서기 700년 무렵, 거란족의 영토를 표기한 지도
매사냥에 나선 거란의 귀족을 묘사한 그림
1025년, 요나라의 위세가 최고에 달했을 때의 영토
요나라 태조 황제 야율아보기
중앙아시아에 들어선 서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