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말갈족은 각기 부족별로 나뉘어 산과 계곡 사이에 거주하면서 수렵과 농경에 종사했다. 중국의 수당시대에는 수십 개의 부족 가운데 7개의 부족이 강성해 말갈사회를 주도했다. 고구려가 강성해지면서 흑수부를 제외한 6부는 고구려의 지배를 받거나 그 영향 아래에 들어갔다. 고구려가 멸망하자 고구려화되었던 일부 부족은 고구려인들과 함께 요동의 영주 일대로 강제 이주당했다. 대조영이 고구려의 재건을 시도하자 이에 적극 협조해 발해 건국의 주체세력 중 하나가 되었다.
발해 멸망 이후에는 모든 말갈족이 거란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들의 후신인 여진족은 고려와 요의 변경을 침입하면서 그 문화적 영향을 받다가 뒤에 금을 세우고 만주와 북중국을 지배했다. 그뒤 이들은 중국 최후의 왕조인 청을 세운 만주족의 원류가 되었다.
중국 주대의 역사서에 나오는 숙신 또는 식신, 한대(漢代)의 읍루, 위진남북조시대의 물길은 모두 말갈과 같은 계통의 종족에 대한 이칭으로 추정된다.
말갈이라는 종족명은 중국 수당시대의 문헌에 나오는 호칭으로 각기 부족별로 나뉘어 산과 계곡 사이에 거주하면서 수렵과 농경에 종사했다. 각 부족에는 대인으로 불리는 우두머리가 있어 부족 내의 크고 작은 일들을 주관하고 처리했다. 하천유역의 저습지에 살던 부족은 밭농사를 주로 했으며, 산악지대의 부족은 수렵을 주로 하고 농경을 부수적인 산업으로 삼았다. 곰·호랑이·이리 등의 동물을 토템으로 삼았으며 기후관계로 소 대신 말을 사용해 밭을 갈았다. 남만주 및 한반도 중북부 일대를 근거로 했던 예맥계 민족에 비해 사회발전단계 및 문화수준이 떨어져, 이들이 세운 고조선·부여·고구려 등의 지배를 받거나 영향을 받았다.
숙신으로 불리던 시기의 역사는 분명하지 않으나, 읍루로 불리던 시기에는 부여의 지배를 받다가 남만주를 근거지로 발흥한 고구려가 강성해지면서 부여와 같이 고구려에 복속해 그 영향을 받았다. 숙신으로 불리던 시기부터 고시·석노·각궁 등이 특산물로 알려진 데서 알 수 있듯이, 활쏘기에 능하고 몸이 날래어 이들로 구성된 군사가 고구려의 대중국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구려의 대중국전쟁).
중국의 수당시대에는 수십 개의 부족 가운데 7개의 부족이 강성해 말갈사회를 주도했다. 고구려가 강성해지면서 오늘날의 헤이룽 강[黑龍江]과 쑹화 강[松花江] 일대를 근거로 하여 세력을 떨치던 흑수부를 제외한 백똘[伯咄]·불열·호실·안거골·속말·백산 등의 6부는 고구려의 직접 지배를 받거나 그 영향 아래에 들어갔다.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하자 이들의 일부가 본래의 부족적 자치생활로 돌아간 반면, 고구려화되었던 일부 부족은 이들이 고구려의 부흥에 협력할 것을 우려한 당에 의해 상당수의 고구려인들과 함께 요동의 영주 일대로 강제 이주당했다.
대조영이 고구려의 유민을 이끌고 고구려의 재건을 시도하자 이에 적극 협조해 발해 건국의 주체세력 중 하나가 되었다(→ 대조영). 발해 멸망 이후에는 고구려·발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의 세력을 유지했던 흑수부를 포함한 모든 말갈족이 거란의 지배 아래 들어갔다.
이들의 후신이 고려와 요의 변경을 침입하면서 그 문화적 영향을 받다가 뒤에 금을 세우고 만주와 북중국을 지배한 여진이다. 여진족 가운데 고려와 송의 영향을 받아 농경화된 갈래를 숙여진, 수렵 위주의 전통적 생활방식을 유지하던 부족을 생여진이라 불렀다. 금을 세운 주체세력은 생여진이었다. 그뒤 이들은 중국 최후의 왕조인 청을 세운 만주족의 원류가 되었다.→여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인종/민족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