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영항 충무항, 統營港
    시작되었다. 1940년부터는 일본 군항으로 탈바꿈되었으며, 이후 충무항으로 불리다가 1995년 시·군통합으로 다시 통영항으로 바뀌었다. 1963년 9월 25일 개항장이 되었는데, 임진왜란 당시의 사적과 유물이 보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동쪽 중심지로서 관광항구의 기능도 하고 있다. 1962년 이후...
    성격 :
    항구
    유형 :
    지명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속초항
    기항지로서 선박 출입이 잦았다. 1945년 8 ·15 광복과 더불어 38선으로 국토가 남북으로 분단되어 북한 치하에 들어가기도 했으며, 1962년 지정항, 1964년 개항장(開港場)이 되었다. 속초항은 근해에 풍부한 수산자원이 부존되어 있어 어항으로 발전했으나, 인근에 양양철광이 개발되면서 철광석 적출항으로도 큰 몫을...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명동 속초항
  • 구 목포 일본영사관 舊 木浦 日本領事館
    개항되고 1897년 10월 16일 대한제국과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러시아의 각국 사이에 체결된 ‘목포각국공동조계장정’에 따라 같은 해 10월 26일 개항장인 목포에 일본영사관이 설치되었다. 이 건물은 목포에 외국인 거류지가 조성되면서 목포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영사관으로 지은 2층의...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왜사일기 倭使日記
    관련된 기록이 있다.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의 체결에 관한 내용, 조일수호조규부록(朝日修好條規附錄)과 조일무역규칙(朝日貿易規則)에 관한 기록, 개항장 결정문제와 사신주류문제(使臣駐留問題)에 관한 기록, 개항지편부지점(開港地便否指點)에 관한 기록 등이 수록되어 있어, 조선의 개항과 개항 후 일본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부하철도회사 釜下鐵道會社
    하단철도라고도 불렸다. 개항장 부산으로 오는 화물의 집결지인 하단포와 부산 간의 철도 부설을 목적으로 조직했다. 평민출신인 박기종은 일어통역관으로 일본을 시찰하고 근대화, 특히 철도건설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1890년대 중반부터 한국 정부는 철도 부설을 논의하면서 경인선의 부설권을 미국인 몰스에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
  • 일본외무성시찰기 日本外務省視察記
    ④ 권7에는 청국 관계의 조약과 규칙, 페루 관계, 우편·전신 관계와 그밖의 문서, ⑤ 권8에는 일본 국내의 거류지 관계, 외국인 묘지 관계, 지소 관계, 개항장 관계와 그밖의 합의서·기억서·포고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이 제도사적 자료이기에 메이지유신(明治維新) 당시 근대 일본의 외무성에 관계...
    시대 :
    근대
    저작자 :
    민종묵
    창작/발표시기 :
    1881년(고종 18) 이후
    성격 :
    보고서, 시찰보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권 4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세창양행 世昌洋行
    속에서 한국의 상업사회에 침투해 들어왔다. 설립목적 무역대행업체로서 소위 근대적 기기와 무기, 기술자 고빙 알선을 통하여 이득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개항장 일대를 거점으로 토지매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조계지(租界地) 확보에 주력하였다. 궁극적인 목표는 최혜국조관(最惠國條款)을 기본바탕으로 한 이권...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왜사일기 倭使日記
    사이에 오고간 문서들도 실려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조일수호 조규 관계 경위와 조일수호 조규 부록, 조일무역 규칙의 체결 과정, 부산 이외의 두 개의 개항장 결정 문제와 사신의 주류 문제(駐留問題) 관계, 개항지의 편부지점(便否指點)에 관한 일, 부산두모진(豆毛鎭)의 설관수세 문제(設關收稅問題), 인천·원산의...
    시대 :
    근대
    저작자 :
    의정부
    창작/발표시기 :
    1875년 12월 26일 ∼ 1880년 12월 29일
    성격 :
    일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왜사문답 倭使問答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일수호조규의 체결에 관한 것, 둘째, 조일수호조규부록과 조일무역규칙(통상장정)에 관한 것, 셋째, 부산 이외의 두개의 개항장 결정문제와 사신주류문제(使臣駐留問題)에 관한 것, 넷째, 개항지편부지점(開港地便否指點)의 건에 관한 것, 다섯째, 부산두모진(豆毛鎭)의 설관수세(設關...
    시대 :
    근대
    저작자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창작/발표시기 :
    1876년 1월 ∼ 1879년 7월
    성격 :
    외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책
    분야 :
    역사/근대사
  • 지사 知事
    주임관으로, 1896년 1월, 전에 있던 감리서가 폐지되고 지사서의 관제를 마련함에 따라 관찰부청이 없는 각 개항장과 통상구가 있는 곳에 지사서를 설치하고 지사를 두었다. 관할 지역은 대개 군수가 겸임하여 지방사무를 담당했으나, 통상업무는 상급자인 관찰사와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감리서의 감리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민용호 문현(文賢), 閔龍鎬
    규합하는 한편, 오랫동안 사냥을 직업으로 삼아 오던 포수들을 모집하여 자체의 실력을 충분히 한 다음 관북 방면으로 진출할 것을 계획하였다. 이후 3월 개항장이며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함경남도 원산(지금의 북한 강원도 원산시)을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기밀이 누설되어 실패하였다. 원산 공격에 실패한 그는 다시...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홍시중 洪時中
    조목을 만들어 대일본 관계를 규제하여야 한다는 게 상소문의 주 요지였다. 그는 상소문에서 첫째, 일본과의 사절 교환을 10년에 1회로 제한하였다. 둘째, 개항장인 인천은 요충지이므로 그 주변의 방위를 강화하자고 하였다. 셋째, 무역을 제한하되 그 방법으로 내왕하는 일본 선박의 수를 2, 3척으로, 교역일을 월 2회...
    시대 :
    근대/개항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분야 :
    역사/근대사

멀티미디어8건

부산항(개항 초기)
제물포 부두(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개항기 부산 부두
목포항(개항)
인천 제물포 개항장 찾아가는 길
인천 개항장의 현재 모습
요코하마 개항장의 외국 선박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