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린 등록』 交隣 謄錄간행 경위] 『교린 등록(交隣謄錄)』은 1875년(고종 12) 12월 26일부터 1876년 7월 6일까지 조선과 일본 사이의 조일 수호 조규(朝日修好條規)[일명 강화도 조약], 병자 수호 조약(丙子修好條約)이 조인되는 과정을 서술한 책이다. 단순히 문답기(問答記)만을 포함한 것이 아니라 일본인의 수록(手錄)과 서계(書契...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청나라에 무릎 꿇은 굴욕의 역사, 병자호란 丙子胡亂중 강화도가 이미 함락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마침내 인조는 청 태종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결심했다. 이때 청군에 넘겨진 윤집과 오달제는 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심양에 끌려가서도 청에 항복하기를 거부해 죽음을 맞는다. 이 세 사람을 일러 삼학사(三學士)라고 한다. 피신한 지 48일째인 1월 30일, 인조는 소현...
- 시대 :
- 1636년
-
조일 수호 조규 朝日 守護 條規조선 전권대신(全權大臣) 신헌(申櫶)과 일본 특명전권판리대신(特命全權辦理大臣) 구로다 기요다카[黑田淸隆] 사이에 12개조로 된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게 되었다. [조약/회담 내용] 조약은 1876년 2월 27일 체결한 ‘조일 수호 조규(朝日修好條規)’와 같은 해 8월 24일 후속 조처로 체결한 ‘조일 수호 조규 부록(朝日...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홍우창 洪祐昌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 부수찬, 사간원 헌납을 지내고 1875년(고종 12) 8월 황정연(黃正淵)의 뒤를 이어 동래 부사가 되었다. 1876년 맺은 강화도 조약에 따라, 1877년 부산 주재 일본 관리관 곤도 마스키[近藤眞鋤][1840~1892]와 ‘부산항 일인 거류지 조계 조약(釜山港日人居留地租界條約)’을 체결...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강화 중성도읍을 옮기며 내성, 외성과 함께 고종 37년(1250)에 강화 중성이 축조되었다. 고려 원종 11년(1270)에 개경으로 수도를 다시 옮기면서 몽골과 강화조약의 조건으로 강화도의 성을 헐게 되는데 내성과 외성의 폐기관련 기사는 당시의 상황까지 명확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중성에 대한 폐기와 관련된 기록은 확인되지...
- 시대 :
- 고려
- 소재지 :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일원
- 종류 :
- 토성
-
병자호란 병정노란(丙丁虜亂), 丙子胡亂반대 자결을 꾀하려다 실패했다. 이 때 청군은 강화도에서 포로가 된 대군의 수서(手書)와 재신(宰臣) 윤방과 한흥일 등의 장계를 보이면서 독촉했다. 강화도의...마부태 등의 사신이 우리 성안에 들어와서 조건을 제시한 끝에 다음과 같은 조약에 합의했다. 첫째, 조선은 청에 대해 신의 예를 행할 것. 둘째, 명에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프랑스 함대의 침입과 쇄국 정책, 병인양요 丙寅洋擾8,000여 명에 이르렀다. 이를 병인박해(丙寅迫害)라고 한다. 같은 해에 일어난 병인양요(丙寅洋擾)는 바로 이 사건에 항의해 프랑스 함대가 조선의 강화도를 침공한 것을 이른다. 그해 조선은 서양 세력과 두 차례의 무력 충돌을 겪었다. 첫 번째가 프랑스 함대가 몰려오기 2개월 전, 평양에서 일어난 제너럴 셔먼...
- 시대 :
- 1866년
-
병인박해 병인사옥(丙寅邪獄), 丙寅迫害에게 구원을 요청하게 되었다. 이에 로즈 사령관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는 9~11월에 걸쳐 정찰의 임무를 띤 1차 원정과 프랑스 선교사제 살해의 책임을 묻고 조약 체결을 이끌어 낼 목적의 2차 원정을 시행했다(병인양요(丙寅洋擾)). 2차 원정 때 프랑스 함대는 강화도를 점령하면서 조선 정부의 굴복을 기대했으나 조선...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사건/사건·사고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