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주 郡主, Kun-Ju상당하는 취락에 소급 추기(追記)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지증왕 6년 실직주를 두고 이사부를 군주로 삼았는데, 이 군주(軍主)는 주에 파견되어 민정과 군정 업무를 총괄한 최고위 지방관으로 주 예하의 군주(郡主)와 구별된다. 군주(郡主)의 출현은 군의 설치와 연계되는데, 236년(조분이사금 7) “골벌국주 아음부...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삼국시대
- 분야 :
- 역사/고대사
-
김승빈 김병주(金炳疇), 金承彬독립보병여단(일명 사특의용군)에 들어가 중견 간부의 직책을 맡았다. 같은 해 6월 독립군 부대들이 코민테른(국제공산당) 동양비서부에서 조직한 ‘고려혁명군정의회(高麗革命軍政議會)’ 산하 제3연대로 편제되자 이 부대의 장교로 활약하였다. 이 해 8월 고려혁명군정의회가 해산되고 한인 부대가 1개 독립연대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5년(고종 32)
- 사망 :
- 1981년
- 경력 :
- 신흥무관학교 교관, 대한의용군 소대장, 고려혁명군정의회 장교, 러시아국경부대 장교, 소련군 대좌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장고봉사건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급재 給災는 토지를 대상으로 재해의 정도에 따라 감면 혜택을 주는 제도였다. 그러나 각종 부세가 전결(田結)로 집중됨에 따라 급재는 전세뿐만 아니라 전정(田政), 군정(軍政), 환정(還政) 등 부세 수취 전반과 관련되었다. 연원 및 변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급재 원칙은 모든 토지를 대상으로 재해[災實]의 비율에 따라...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국방부 國防部, Ministry of National Defense남조선국방경비대는 뒤에 조선경비대로 개칭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헌법>이 제정, 공포되고 아울러 <정부조직법>이 제정되자, 이에 따라 육해군의 군정에 관한 사무를 분장하도록 하기 위해 국방부가 창설되었다. 그 해 12월 7일<국방부직제>가 마련되어 국방부에 다시 국방부본부와 육군본부 및 해군본부가...
- 시대 :
- 현대
- 성격 :
- 중앙행정관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8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만기요람 萬機要覽유물설명 조선 후기의 재정(財政), 군정(軍政)에 관한 사항을 모아놓은 책이다. 1808년(순조 8년) 호조판서 서영보(徐榮輔, 1759-1816년), 비변사 당상 심상규(沈象奎, 1766-1838년)가 왕명에 따라 편찬했으며, 「재용편(財用篇)」과 「군정편(軍政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용편」 권5의 송정조(松政條)에서 소나무...
- 분류 :
- 유물 > 전적
- 크기 :
- 세로: 31.1cm, 가로: 20.9cm
- 재질 :
- 종이에 먹
-
국민부 國民府둔(新安屯)에 집결, 3부의 통일을 위한 유일당을 형성하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그리하여 그 해 11월 15일 정의부의 김동삼·지청천(池靑天) 계열과 신민부의 군정위원회측, 그리고 참의부의 김승학(金承學) 계열이 모여 혁신의회를 구성하였다. 이에 대해 신민부의 민정위원회측과 참의부의 심용준(沈龍俊) 계열, 정의부...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9년 4월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정의부, 참의부, 신민부
- 분야 :
- 역사/근대사
-
주덕해 오기섭, 朱德海여름에 졸업하였다. 이후 1939년 9월 연안(延安)으로 가 연안 경비구(팔로군) 제359여단 제8연대 특무중대 지도원, 제8연대 공급처 지도원으로 활동했으며, 항일군정대학(抗日軍政大學) 동간대(東干隊)와 중앙해외연구반에서 학습하였다. 1943년 연안에서 조선혁명군정학교 건립에 참여해 교무위원과 총무처장으로 활동...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1년 3월 5일
- 사망 :
- 1972년 7월 3일
- 경력 :
- 중국 길림성 부성장, 연변조선족자치구 주석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하곡수매제도 夏穀收買制度내용 광복 후 미군정당국은 일제의 전시통제경제하의 가격체계를 자유시장화하기 위한 제도확립을 위하여 자유시장설치법안을 공포하였다. 이와 같은 자유시장화정책의 시행은 생산의 뒷받침 없는 수요를 확대시킴으로써 물가의 등귀를 초래하게 하였다. 이에 당황한 미군정당국은 미가통제기준을 마련하게 되었고...
- 시대 :
- 현대
- 성격 :
- 경제, 제도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동학란기인에관한연구 東學亂起因─關─硏究삼정의 문란과 동락농민군의 폐정개혁 요구조항과의 관련을 검토해 민란의 원인을 삼정의 문란에 있었다고 보았다. 동학농민군의 요구를 전정(전결·전세), 군정(양역), 환곡·고리대와 관련된 요구조항으로 나누어 분석·검토하였다. 이는 동학농민군의 생활과 직결된 경제젹 요구를 살펴본 것이다. 이 중 전정(전결...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한우근
- 창작/발표시기 :
- 1971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서울대학교 출판부
- 분야 :
- 역사/근대사
-
제언절목 堤堰節目없으면 개천물을 끌어들이고 개천에 물이 없으면 보(洑)를 막아 물을 끌어들이도록 하라는 것이다. 제5조는 작은 제언은 방죽 아래 농사짓는 농민이나 부근의 군정(軍丁)을 동원하고 좀 큰 것은 1, 2개 면민의 힘을 빌릴 것이며, 가장 큰 저수지는 1개군이나 인근군의 인력을 동원하도록 하라는 내용이다. 제6조는 노력...
- 시대 :
- 조선
- 창작/발표시기 :
- 1778년(정조 2)
- 성격 :
- 문서, 조목
- 유형 :
- 문헌
- 분야 :
- 경제·산업/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