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팔미도등대 八尾島燈臺
    남해에서 인천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자리하여 해상 교통의 중심으로 기능하였고, 1950년 9월 15일의 인천상륙작전에도 활용되었다. 역사적 변천 1876년의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조선 정부는 1885년 3월에 농상공부 통신국 관선과가 항로표지(航路標識)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도록 법제화하였다. 하지만 예산의 어려움...
    시대 :
    근대/개항기
    문화재 지정 :
    사적 제557호
    건립시기 :
    1903년 6월
    성격 :
    등대, 해양시설
    유형 :
    유적
    면적 :
    397㎡
    소재지 :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산375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강화산성
    많이 없어졌으나, 남쪽과 북쪽, 서쪽 산자락 부분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다. 수차례의 개축과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화산성은 병인양요, 신미양요와 강화도조약 체결 등 구한말 수많은 외세 침략의 현장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 참고문헌 http://www.cha.go.kr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3번지 국화리, 신문리, 관청리, 남산리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32호(1964.06.10 지정)
  • 제언사 堤堰司
    있었으나 그 뒤에는 별다른 변화 없이 지속되었다. 이윽고 고종 때에 이르러 또다시 수리행정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즉, 대원군의 제도개혁으로 1865년(고종 2) 비변사가 의정부에 예속하게 되자 제언사도 의정부에 편입되었다. 그 뒤 강화도조약·갑오경장 등을 겪은 뒤 근대화과정에서 제언사도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료조사편찬회 史料調査編纂會
    夏)·강현석(姜賢錫)·김항신(金恒信)·정혜선(鄭惠善)·조숙경(趙淑景)·이(李)매리·이봉순(李奉順) 등이었다. 『한일관계사료집』은 제1부는 고대로부터 강화도조약까지의 한일관계를, 제2부는 국치까지, 제3부는 1919년 2월까지의 일제의 대한(對韓)정책, 제4부는 3·1운동 이후의 관계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국사...
    시대 :
    근대
    설립 :
    1919년 7월 2일
    성격 :
    학술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조병필 성필(聖必), 趙秉弼
    성균관전적·지평·정언 등을 거쳐 다음해에 청송부사가 되었다. 1874년 병조정랑이 되고 3월에는 황해도 암행어사의 임무도 맡았다. 1876년 동부승지로서 강화도조약 체결을 전후하여 왕의 근신으로 국정을 보필하였으며 이듬해 병조참의가 되었다. 1883년 김옥균(金玉均)·변원규(卞元圭) 등과 함께 참의교섭통상사무...
    시대 :
    근대/개항기
    출생 :
    1835년(헌종 1)
    사망 :
    1908년
    경력 :
    진주관찰사, 중추원찬의, 병조정랑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풍양(豊壤)
  • 이용희 공습(公習), 李容熙
    舟師大將)을 거쳐 이듬해 진무사(鎭撫使)가 되었고, 1871년 다시 어영대장에 임명되었다가 1873년 훈련대장, 1875년 한성부판윤을 지냈다.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당시에는 김병학(金炳學)·홍순목(洪淳穆)·양헌수 등과 함께 조정에서 개국을 반대하는 보수적 쇄국척화론을 고수하였다. 시호는 정의(靖毅)이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출생 :
    1811년(순조 11)
    사망 :
    1878년(고종 15)
    경력 :
    형조판서, 어영대장, 훈련대장, 한성부판윤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덕수(德水, 지금의 황해북도 개풍)
  • 병자일기 丙子日記
    내용 1책 240쪽. 강화도조약의 체결과정이나 이후의 수호조규부록, 무역규칙, 수신사 파견 등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목적에서 어떠한 기준에 의해 발췌한 것인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옮겨 쓴 내용도 들쭉날쭉하고, 너무 많은 내용이 수시로 탈락되었으며, 일기의 날자에 해당되지 않는 다른 일자의...
    시대 :
    근대
    저작자 :
    의정부
    창작/발표시기 :
    조선말기
    성격 :
    외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청우일록 靑又日錄
    잘 보여주며 시정(市井)의 동향에 관한 기록은 조선 말기의 사회사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큰 정치적 사건으로는 1876년의 강화도조약, 1882년의 임오군란, 이재선사건(李載先事件) 등인데 당시 직접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것들이다. 이 책을 통하여 개항 전후 정치세력의 동향을 통하여 격동...
    시대 :
    근대/개항기
    저작자 :
    김형규
    창작/발표시기 :
    1873년(고종 10) 10월∼1884년(고종 21) 8월
    성격 :
    일기, 역사기록물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책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 전세 傳貰, Jeonse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으로, 월세를 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월세와 차별화된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 전세 제도의 기원은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부산, 인천, 원산 등 3개 항구 개항과 일본인 거류지 조성, 농촌인구의 이동 등으로 서울의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주택...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권치문 權致文
    위한 재원인 마제은(馬蹄銀)을 비밀리에 들여왔다. 그 뒤 그 사실이 알려져 위험이 닥치자 평안도·강원도·경기도의 산간 벽지에서 지내다가,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조선이 개항하자 다시 상경해 교회를 재건하는 데 헌신하였다. 그 해 다시 만주 차구(岔溝)로 들어가 성직자 파견을 요청하였고, 리델의 청에 의해 4년...
    시대 :
    근대
    출생 :
    1833년(순조 33)
    사망 :
    1892년(고종 29)
    유형 :
    인물
    직업 :
    천주교인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별기군 왜별기, 別技軍
    개설 1876년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이래 제국주의 세력의 침투는 이전보다 심해졌다. 조선 정부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부국강병책을 모색하면서 신문명과 근대적인 기술을 받아들이는 개화정치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계획의 일환으로 일본에는 수신사(修信使), 청나라에는 영선사를 파견하여 문물제도의 시찰과 근대적...
    시대 :
    근대
    성격 :
    군사제도, 군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1881년(고종 18)
    폐지일 :
    1882년(임오군란)
    분야 :
    역사/근대사
  • 회와집 悔窩集
    주제를 다루고 있다. 「양란시(洋亂時)」에서는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어지러운 현실을 바라보며 국운의 쇠약을 한탄하는 심회를 노래하였다. 소는 1876년 강화도조약의 체결에 반대하여 지은 것으로, 병으로 미처 올리지는 못하였다. 「삼정책(三政策)」은 1862년(철종 13) 국정의 기반이 되는 전정(田政)·군정(軍政...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민태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1책
    간행/발행 :
    김수용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변시연가(邊時淵家) 산암문고(汕巖文庫)

멀티미디어8건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약)
강화도조약 묘사
▲ {강화도 조약 체결 장면}
강화도조약 관련 보고서
강화도 조약 체결 모습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
1876년 1월 강화도 수호조약 강요 무력 시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