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건 마천룡(馬天龍), 마인룡(馬仁龍), 마천용(馬天容), 馬建李光), 고덕승(高德承) 등과 함께 노령(露領)에 파견되어 무기구입을 위해 노력하였다. 8월에는 홍범도(洪範圖) 부대의 일원으로 봉오동(鳳梧洞)·청산리(靑山里) 전투에 참여하였다. 이 때 일제의 간도출병으로 인해 시베리아로 이동했는데 1921년 6월 자유시 사변을 겪었다. 10월 연해주 이만으로 이동해 대한의용군...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4년(고종 31)
- 사망 :
- 1933년
- 경력 :
- 적기단 동만사령부장,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 만주부 검사위원, 연화혁명위원회 군사위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격동하는 근대1907년 헤이그 밀사 –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사살 – 1910년 강제 병합 – 1919년 3·1운동 –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1920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 1923년 암태도 소작 쟁의 – 1925년 제1차 공산당 사건 – 1926년 6·10만세운동 – 1929년 광주 학생운동 – 1932년 이봉창, 윤봉길 의거...
-
구춘선 具春先홍범도의 북로사령부 2개 단체가 찬동하지 않아 실현되지 않았다. 봉오동전투를 승전으로 이끌었던 3단 연합은 8월에 이르러 붕괴하고 말았다. 국민회는 1919년...대한국민군의 일부는 홍범도부대 등 여러 무장 단체와 연합하여 청산리대첩에 참전하였다. 북간도 독립군 단체들이 통일되지 못한 상태에서 일제의...
- 출생 :
- 1857년, 함북 온성(穩城)
- 사망 :
- 1944년 3월 20일
- 관련 사건 :
- 간도참변, 자유시참변
- 주요활동 :
- 1912년 간민교육회 참여, 1913년 간민회 창립, 1919년 조선독립기성회 회장, 대한국민회 회장으로 활동, 1920년 대한북로독군부 조직, 간북남부총판부 총판, 1921년 독립군총합부, 1925년 적기단 고문
- 포상훈격 :
- 1996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간민교육회, 간민회, 조선독립기성회, 대한국민회, 간북총판부, 총합부
-
주건 이성춘, 朱健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동만주 지방의 대표적인 무장단체였던 대한국민회 무장부대인 대한국민회군의 간부로 활동, 1920년 6월 봉오동(鳳梧洞)전투, 10월 청산리(靑山里)전투에 참전하였다. 이를 보복하기 위해 출동한 조선군 제19사단의 ‘간도출병’을 피해 소련 영내로 퇴각하였다. 1921년 6월 자유시사변을 겪은 후...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9년(고종 26)
- 사망 :
- 미상
- 경력 :
- 대한국민회군 간부, 고려공산당 만주지방위원회 책임비서, 만주공산주의자동맹 책임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목단강 牡丹江기념사업회가 공동으로 ‘한중우의공원’을 2005년에 건립했는데, 이곳은 한중 양국 항일 독립운동가들의 활약상과 우의를 위해 조성된 기념관으로 청산리·봉오동전투 관련 사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목단강시에 있는 빈강공원(濱江公園)에는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에 조선인이 적극 참여했음을 알 수 있는 부조물...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성격 :
- 항일투쟁지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중국 흑룡강성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북로군정서 대한군정서, 北路軍政署뒤였다. 군정서도 장백산(長白山)으로 향해 가던 중, 10월에 청산리(靑山里) 어귀인 화룡현 삼도구(三道溝)에 이르러 보병·기병·야포병·공병 등의 혼성 부대...되었다. 이것이 유명한 청산리대첩으로, 10월 20일에서 23일까지 10여 차례의 전투에서 수많은 일본군을 사살한 뒤 일군의 반격을 피하여 소만국경지대인...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19년 12월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