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건 마천룡(馬天龍), 마인룡(馬仁龍), 마천용(馬天容), 馬建
    李光), 고덕승(高德承) 등과 함께 노령(露領)에 파견되어 무기구입을 위해 노력하였다. 8월에는 홍범도(洪範圖) 부대의 일원으로 봉오동(鳳梧洞)·청산리(靑山里) 전투에 참여하였다. 이 때 일제의 간도출병으로 인해 시베리아로 이동했는데 1921년 6월 자유시 사변을 겪었다. 10월 연해주 이만으로 이동해 대한의용군...
    시대 :
    근대
    출생 :
    1894년(고종 31)
    사망 :
    1933년
    경력 :
    적기단 동만사령부장,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 만주부 검사위원, 연화혁명위원회 군사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중국 호로군 中國護路軍
    물산의 집산지로서 전략적 가치가 매우 큰 곳이었다. 1932년 8월 한중연합군은 쌍성보를 공격하여 격전 끝에 승리하였다. 1932년 6월 대전자령 전투의 승리는 독립군 사상 청산리 대첩에 버금가는 승리로 기록에 남았다. 그러나 막대한 전리품을 나누는 과정에서 한중연합군 사이에 갈등이 생겨 중국군이 독립군 지휘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격동하는 근대
    1907년 헤이그 밀사 –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사살 – 1910년 강제 병합 – 1919년 3·1운동 –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1920년 봉오동 전투청산리 대첩 – 1923년 암태도 소작 쟁의 – 1925년 제1차 공산당 사건 – 1926년 6·10만세운동 – 1929년 광주 학생운동 – 1932년 이봉창, 윤봉길 의거...
  • 일제강점기의 역사
    한편 만주지방을 중심으로 활약하던 독립군은 각처에서 일본군을 괴롭혔는데, 그중에서도 1920년 홍범도(洪範圖) 등의 봉오동(鳳梧洞) 전투와 김좌진(金佐鎭)의 청산리(靑山里) 전투가 유명하다. 큰 피해를 입은 일본군은 만주의 한국인 부락들을 습격하여 많은 인명을 학살하기도 했다(庚申慘變). 그후 독립군부대는...
  • 간도 참변 경신참변, 間島慘變
    중국 마적을 사주해 간도 훈춘 현[琿春縣]의 일본영사관을 고의로 습격하게 하고, 이를 빌미로 일본군을 대거 만주로 출병시켰다. 특히 독립군이 청산리와 봉오동전투에서 추격하던 일본군을 대파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무차별적인 한인학살 작전을 전개했다. 3~4개월에 걸쳐 수많은 한인 마을을 불태우고 재산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구춘선 具春先
    홍범도의 북로사령부 2개 단체가 찬동하지 않아 실현되지 않았다. 봉오동전투를 승전으로 이끌었던 3단 연합은 8월에 이르러 붕괴하고 말았다. 국민회는 1919년...대한국민군의 일부는 홍범도부대 등 여러 무장 단체와 연합하여 청산리대첩에 참전하였다. 북간도 독립군 단체들이 통일되지 못한 상태에서 일제의...
    출생 :
    1857년, 함북 온성(穩城)
    사망 :
    1944년 3월 20일
    관련 사건 :
    간도참변, 자유시참변
    주요활동 :
    1912년 간민교육회 참여, 1913년 간민회 창립, 1919년 조선독립기성회 회장, 대한국민회 회장으로 활동, 1920년 대한북로독군부 조직, 간북남부총판부 총판, 1921년 독립군총합부, 1925년 적기단 고문
    포상훈격 :
    1996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간민교육회, 간민회, 조선독립기성회, 대한국민회, 간북총판부, 총합부
  • 주건 이성춘, 朱健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동만주 지방의 대표적인 무장단체였던 대한국민회 무장부대인 대한국민회군의 간부로 활동, 1920년 6월 봉오동(鳳梧洞)전투, 10월 청산리(靑山里)전투에 참전하였다. 이를 보복하기 위해 출동한 조선군 제19사단의 ‘간도출병’을 피해 소련 영내로 퇴각하였다. 1921년 6월 자유시사변을 겪은 후...
    시대 :
    근대
    출생 :
    1889년(고종 26)
    사망 :
    미상
    경력 :
    대한국민회군 간부, 고려공산당 만주지방위원회 책임비서, 만주공산주의자동맹 책임자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목단강 牡丹江
    기념사업회가 공동으로 ‘한중우의공원’을 2005년에 건립했는데, 이곳은 한중 양국 항일 독립운동가들의 활약상과 우의를 위해 조성된 기념관으로 청산리·봉오동전투 관련 사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목단강시에 있는 빈강공원(濱江公園)에는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에 조선인이 적극 참여했음을 알 수 있는 부조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성격 :
    항일투쟁지
    유형 :
    지명
    소재지 :
    중국 흑룡강성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북로군정서 대한군정서, 北路軍政署
    뒤였다. 군정서도 장백산(長白山)으로 향해 가던 중, 10월에 청산리(靑山里) 어귀인 화룡현 삼도구(三道溝)에 이르러 보병·기병·야포병·공병 등의 혼성 부대...되었다. 이것이 유명한 청산리대첩으로, 10월 20일에서 23일까지 10여 차례의 전투에서 수많은 일본군을 사살한 뒤 일군의 반격을 피하여 소만국경지대인...
    시대 :
    근대
    설립 :
    1919년 12월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북로군정서 Northern Military Administration Office
    조 6되, 짚신 1켤레 등이었다. 왕칭에 사관 양성소를 설립하는 한편 교포 교육에도 힘썼으며, 1920년 10월 21일~26일까지 청산리 전투에서는 일본군을 상대로 크게 승리하였다. 봉오동, 청산리 전투에서 패배한 일제는 간도 참변을 일으켜 간도의 양민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하였다. 이때 북로군정서는 다른 만주의 항일...
    도서 위키백과
  • 경신참변 간도참변, 庚申慘變
    지대로 이동함에 따라 일본군의 독립군 섬멸계획에 차질이 생기자, 일본군은 독립군의 근거지를 초토화시키는 작전을 감행했다. 특히 독립군이 청산리와 봉오동전투에서 추격하던 일본군을 대파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무차별적인 한인학살작전을 전개했다. 3~4개월에 걸쳐 수많은 한인 마을을 불태우고 재산과 식량을...
  • 강근호
    뒤, 같은 해 만주군정서 무관학교를 졸업한 뒤 신흥무관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20년 북로군정서 사관연성소의 제1학도대 제3구대장을 지냈고 제1중대장으로 청산리전투에 참전하였다. 1921년 군정서 사관으로 있다가 시베리아로 건너가 자유시 참변을 겪은 뒤 이르쿠츠크 고려혁명군관학교 교관으로 근무하였다. 1922년...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20건

청산리 전투
김좌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디자인 -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도
청산리전투 현장 입구에 세워진 청산리항일대첩기념비
청산리 전투 전승 100주년 - 전지
청산리전투 / 부상당한 일본인 후송
1920년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
청산리 전투에서 대패한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한 대한 독립군
청산리 전투에 패해 후퇴하는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사용한 무기류(1920.7.28)
청산리 전투에서 패하고 철수하는 일본군 사진
청산리전투에서 사용한 독립군 탄약과 탄띠
북로군정서 청산리전투 승전자축 기념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