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서 윤백(倫伯), 윤중(倫中), 李序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윤백(倫伯) 또는 윤중(倫中). 이자하(李自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지(李致)이다. 아버지는 이사성(李師聖)이며, 어머니는 한유(韓維)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3년(선조 6) 진사에 합격하고, 1579년(선조 1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공주목사로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7년(명종 2)
- 사망 :
- 1592년(선조 25)
- 경력 :
- 공주목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덕수(德水)
-
추사 秋史라는 책명으로 그곳의 명사들에게 보여 기수유(紀樹蕤) 등 5, 6명에게서 서문을 비롯한 감상 소감을 받은 것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기수유는 서문에서, “한유(韓愈)를 종지로 삼고 두보(杜甫)를 스승으로 삼지 않은 것이 없다.”고 극찬하였다. 또한, 「겸산루팔영」은 25수의 칠언율시인데, 특히 사운(四韻) 중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경모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퇴어당유고 退漁堂遺稿권5∼7에 소(疏) 41편, 달사(達辭) 6편 등이 수록어 있다. 시 중에는 저자가 1721년(경종 1) 무산(茂山)으로 귀양살이를 떠나면서 철령에 이르러, 옛 당나라의 한유(韓愈)가 조주(潮州)로 귀양가면서 읊은 시와 이항복(李恒福)이 광해군 때 북청으로 귀양가면서 철령에 이르러 읊었던 시 등에서 차운(次韻)한 것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진상(金鎭商)
- 창작/발표시기 :
- 180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3책
- 간행/발행 :
- 김상정(편집), 김상목(간행)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표은문집 瓢隱文集祖)와 왕복한 서신은 임고서원(臨皐書院)의 봉향문제에 관한 일을 거론하고 있다. 제문의 「제종질겸가문(祭從姪謙可文)」은 12면에 달하는 장문으로 중국 한유(韓愈)의 「제십이랑문(祭十二郎文)」에 견줄 만한 작품이다. 사연의 애절함과 간절한 정곡은 일품이라 할 만하다. 부록의 분황문은 1734년(영조 10) 조현명...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시온(金是榲)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김태중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강해집 江海集강해기(江海記)·묘갈명·발·만사·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에는 운강(雲岡) 정선생(鄭先生)에게 보내는 것이 9편으로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주로 한유(韓愈)나 주희(朱熹) 등 옛 사람들이 문장에 대하여 말한 부분이 많다. 유후조(柳厚祚)에게 보낸 4편의 편지에서도 심상한 안부에 그치지 않고, 경서와 시문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좌영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서비문집 西扉文集각기 주석을 붙였다. 한말에 일제의 침략으로 인해 충분강개한 뜻을 품고 순국했던 안중근(安重根)·민영환(閔泳煥) 등 우국지사들에 대한 만시가 많이 실려 있다. 한유(韓愈)의 「설시(雪詩)」, 이황(李滉)의 시, 윤증(尹拯)의 「사칠시(四七詩)」 등을 차운하기도 하였다. 악부는 한문으로 된 악장가사로서 「설(雪...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최우순
- 창작/발표시기 :
- 1920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하겸진(산정), 최환모(편집 및 간행)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서재야회록 書齋夜會錄이야기하고 못 다한 사실들을 시로써 읊어가는 구성법은 마치 진현(陳玄: 먹)·도홍(陶泓: 벼루)·모영(毛穎: 붓)·저선생(楮先生: 종이)으로 의인화된 한유(韓愈)의 「모영전(毛穎傳)」, 또는 조선 후기 남유용(南有容)의 「모영전보(毛穎傳補)」와도 흡사하다. 그러나 선비인 주인이 사용하던 문방구가 주인과 대화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신광한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가전체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만송문고, 일본 덴리대학 이마니시문고
-
애사 애사(哀辭), 哀詞시발로, 위문제(魏文帝)가 어린 아들을 잃고 서간(徐幹)에게 명하여 애사를 지었으며, 반악(潘岳)이 왕후나 귀비(貴妃)의 죽음에 애사를 썼으며, 당대(唐代) 한유(韓愈)의 「구양생애사(歐陽生哀辭)」는 그의 요절을 애도한 것이며, 증공(曾鞏)의 「소명윤애사(蘇明允哀辭)」는 58세의 노성인이었지만 재덕을 펴지 못함...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
-
우현재시초 又玄齋詩抄過玉溪)」·「벽원정소하(碧遠亭消夏)」·「풍암소하(風巖消夏)」는 명승지를 두루 찾아다니면서 무성한 여름의 경치를 찬미한 시로, 극심한 더위를 피하여 한유(閑遊)하는 선비의 의취를 느낄 수 있다. 「흔연관모춘(欣涓館暮春)」 9수는 흔연관 주위의 절경과 더불어 작자의 기발한 시상이 엮어낸 시정을 묘사하여 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안진석
- 창작/발표시기 :
- 1871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안홍술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단국대학교 도서관
-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大成至聖文宣王殿坐圖10명을 배열했다. 한대(漢代)에 정립된 공자의 72제자가 등장해야 하지만, 실수로 맨 왼편 열에 1명이 추가되었고 이름은 72명만 적었다. 여기에 당대의 한유(韓愈)부터 원대의 오징(吳澄)까지 후대의 유학자 10명을 덧붙였다. 공자는 다른 인물보다 크게 그려 강조했으며, 다른 초상화에서 나타나는 공자 얼굴의 특징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