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리위원부 巴里委員部파리위원부는 1919년부터 1923년까지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중심으로 외교 및 선전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유럽 각국에 한국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하여, 한국이 일제의 압제에 억압받고 있는 실상을 널리 알리는 한편, 유럽에서 한국의 외교적 지위를 인정받도록 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
-
노산취필 蘆山醉筆한 예가 될 것이다. 『노산취필』 제26항에서 효종이 죽기 두 달 전에 송시열(宋時烈)과 나눈 단독대화에서, 당시의 수많은 포로문제와 국방의 나약함으로 압제를 받게 된 사정을 소상히 알 수 있다. 이밖에도 제42항에는 노론과 소론의 나누어짐과 그 의미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정쟁(政爭)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춘택(金春澤)
- 창작/발표시기 :
- 1715년(숙종 41)
- 성격 :
- 평론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서울시립도서관
-
음악의 민족자결주의, 국민음악파보헤미아에서는 스메타나와 드보르자크가 민족적인 소재를 가진 음악을 만들었다. 보헤미아는 수세기 동안 오스트리아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압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해방 운동이 일어났는데, 스메타나가 여기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보헤미아는 지역적으로는...
-
-
대동체육구락부 大同體育俱樂部신분은 천년도 영형(永亨)키 불능할지라 분내본무(分內本務)를 감당역량(堪當力量)이 개유(豈有)하리오 ……. 지금 우리의 형세는 기백년 이래로 무리한 압제를 받아 사기가 떨어지고 정신은 오리무중에 방황하므로 삼천리삼천의 생식이 불번(不繁)하고 오백년 종묘사직이 유지가 어려우니 어찌하면 우리의 대권을 만회...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08년 8월
- 성격 :
- 체육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권성연(權性淵), 조상호(趙相鎬), 이기환(李基煥), 이제민(李濟敏), 이종만(李宗萬), 이용사(李用史), 안종건(安鍾健), 박주영(朴疇泳)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화성돈전 華盛頓傳제일장(第一章) 학교생도급측량기수(學校生徒及測量技手) 제이장(第二章) 영법식민지전쟁급육군대좌(英法植民地戰爭及陸軍大佐) 제삼장(第三章) 영국왕의 압제급주회의원(英國王의 壓制及州會議員) 제사장(第四章) 독립전쟁급미군총독(獨立戰爭及美軍總督) 제오장(第五章) 북미합중국의 독립급대통령(北美合衆國의 獨立...
- 시대 :
- 근대/대한제국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희암문집 羲菴文集주희(朱熹)의 서원인 운곡서원을 중수하면서 쓴 글로, 독립 쟁취에 힘을 합칠 것을 권하고 있다. 잡저 중 「권학(勸學)」과 「격물(格物)」에서는 일본의 압제를 받는 것은 국민이 우매한 탓이라고 지적하며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생지태시(人生之太始)」·「형기지시(形氣之始)」·「사대성형론(四大成形論...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권영동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0권 5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권오창(개인소장)
-
호질 虎叱그러자 그는 농부에게, 자신의 행동이 하늘을 공경하고 땅을 조심하는 것이라고 변명하였다. 「호질」은 작품 글 뒤에 붙인 박지원의 논평을 통하여 만주족의 압제에 곡학아세(曲學阿世)하는 중국 인사들의 비열상을 풍자한 것으로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원래 중국의 어느 무명작가의 글을 연암이 약간 가필한 것이라...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민주혁신당 민혁당(民革黨), 民主革新黨선전의 3국과 15부서를 설치하고, 그 밖에 통제·재정·정책·국회대책·선거대책 등 5개 위원회와 고문회의 등을 두었다. 그리고 강령은 공산독재·관료압제·자본전제·기타 일체의 부패세력의 배격과 내각책임제 실시, 민족자본의 육성으로 복지사회의 실현, 방위태세의 확립과 민주방식에 의한 조국통일의 완수...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7년 10월 15일
- 성격 :
- 정당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60년 2월 2일
- 설립자 :
- 서상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조계원감국사어록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曹溪圓鑑國師語錄한중잡영(閑中雜詠)」 등이 그것인데, 산골의 한가로운 정경을 노래한 것이다. 한편 충지가 살았던 13세기의 고려 말은 원에 복속된 시기로서, 원나라의 압제와 수탈로 민중들의 삶이 극도로 피폐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민농흑양사월단일우중작(憫農黑羊四月旦日雨中作)」은 1272년에 지은 시로서, 원의 일본동정(日本...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