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부경 구분교(九分敎), 九部經는 부처의 불가사의한 신통력을 설한 부분이다. 여섯째, 인연(因緣, nidāna)은 부처를 만나 설법을 듣게 된 인연을 설한 부분이다. 일곱째, 비유(譬喩, avadāna)는 비유로 가르침을 설한 부분이다. 여덟째, 기야(祇夜, geya)는 산문체로 된 내용을 다시 운문체로 설한 것으로, 응송(應頌)·중송(重頌)이라 번역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소총유고 篠叢遺稿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지주부(砥柱賦)」는 격류 속에서도 조금도 흔들리지 않는다는 지주라는 산을 찬미하여 세속에 의연한 사군자(士君子)의 기상을 비유한 것이고, 「정중자설(正中字說)」은 정과 중이 균형을 이루어야만 매사가 순리대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한 것이다. 「증김상사서(贈金上舍書)」에서는 정치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유손(洪礻+谷孫)
- 창작/발표시기 :
- 1810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홍술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개암집 介庵集경서에 대해 문답한 서신이다. 국문으로 되어 있는 3편의 단가는 국문시가로는 비교적 초기작품으로 심성(心性)의 수양 등에 관한 유학자의 덕목을 훌륭한 비유와 세련된 기교에 담고 있어 국문시가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심성을 지란(芝蘭)에 비유하고 물욕을 형극(荊棘)에 비유하여 읊은 두 번째 작품...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강익(姜翼)
- 창작/발표시기 :
- 1686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양천익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원자 原子, atom약 10-15m, 원자의 지름은 약 10-10m 정도다. 원자의 크기는 원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큰 원자라 해도 매우 작다. 이해하기 쉽도록 주변의 사물을 비유해보자. 흔히 원자의 크기를 운동장 크기로 비교하는데, 원자의 크기를 야구를 할 수 있는 대형 운동장이라고 하면 원자핵은 그 안의 모래알 또는 개미 크기...
-
FM방송과 AM방송 FM broadcast & AM broadcast이게 바로 FM방송의 음질이 더 좋은 이유 중 하나이다. 두 번째는 채널 선택 폭의 차이이다. FM방송이 AM방송보다 설정 범위가 더 넓다. 방송 정보를 물에 비유한다면 채널은 그 물을 보내는 파이프이다. 이 비유로 말하면, FM방송이 AM방송보다 파이프가 더 두껍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FM방송이 AM 방송보다 원음을...
-
황보경 黃寶經박종호(朴宗鎬)와 이종탁(李鍾鐸)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인구(趙麟九)와 변영의(邊榮義)의 발문이 있다. 고사를 인용한 부분이 많고, 직접 제자에게 비유나 은유를 통하여 도가 무엇이라는 것을 교육시킨 것이다. 충신(忠信) · 누생(累生) · 속미구사(粟米九思) · 종삭위이(從朔爲二) · 한순유시(寒脣有時...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도교
-
두루미 학품계에 따라 다르게 붙였다. 학은 고고한 학자를 상징하여 문관이, 호랑이는 용맹을 상징하여 무관이 사용한 것이다. 이처럼 학문을 숭상하는 문인을 학으로 비유하는 상징적인 표현이 관직의 품계를 나타내는 의관제도로 정착되었기에, 학을 수놓은 흉배를 다는 문관을 일명 학반(鶴班)이라고도 하였다. 이 밖에 예복...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