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지 지숙, 南智
    호조판서 등을 지냈다. 1446년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가 죽자 수릉관이 되었다. 1449년 우의정, 1451년(문종 1) 좌의정이 되었다.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와 함께 단종을 잘 보필해 달라는 문종의 고명을 받았으나, 그해 풍질로 벙어리가 되어 정사를 볼 수 없게 되었다. 딸이 안평대군의 아들 이우직(李友直...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 원호 元昊
    헌(憲)이다. 1423년(세종 5)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청환직(淸宦職) 등을 거치고 문종 때 집현전직제학이 되었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이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자, 고향인 원주로 돌아가 은거했다. 그뒤 1456년(세조 2) 성삼문(成三問) 등의 세조 제거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고...
    출생 :
    ?, 강원 원주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 홍윤성 洪允成
    즉위하고 재상들의 권력이 커지자 수양대군에게 왕권의 확립·강화를 건의하면서 권람을 모사로 추천했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해, 정난공신 2등에 올랐다. 1455년(세조 1) 예조참의에 임명되었으며, 좌익공신 3등으로 인산군에 봉해졌다. 1460년 모련위 야인(여진)의...
    출생 :
    1425(세종 7)
    사망 :
    1475(성종 6)
    국적 :
    조선, 한국
  • 함경도 관북지방, 咸鏡道
    강등하여 화주목(和州牧)이라 하고 함주를 승격하여 함흥부(咸興府)라 하였다. 관찰사 본영(本營)을 함흥에 두고 함길도(咸吉道)로 고쳤다. 세종 때에는 김종서(金宗瑞)에게 명하여 육진을 설치하였다. 1470년(성종 1)에 함흥을 강등하고 본영을 영흥으로 옮겨 영안도(永安道)로 고쳤다가 1509년(중종 4)에 함흥부 및...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한명회 자준(子濬), 韓明澮
    소년시절을 보냈다. 글을 읽어서 성취한 바 있었으나 과거에는 늘 실패하였다. 1452년(문종 2) 문음으로 경덕궁직(景德宮直)이 되었다. 이어 어린 단종이 즉위해 김종서(金宗瑞) 등 대신이 집권하자, 친구인 교리(校理) 권람(權擥)의 주선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접근하였다. 그리고 무사 홍달손(洪達孫) 등 30...
    시대 :
    조선
    출생 :
    1415년(태종 15)
    사망 :
    1487년(성종 18)
    경력 :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갑자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청주(淸州)
  • 이선 李選
    서인이 집권하자, 함경도관찰사·대사성·대사간 등을 거쳐 강화유수로 재직할 때 백골징포(白骨徵布)와 아약충군(兒蒻充軍)의 폐해 및 사육신·황보인·김종서의 억울함을 논의했다. 1682년 이후 실록청당상·도승지·경기감사·공조참판·개성유수 등을 거쳐 1689년 호군으로 있을 때, 기사환국으로 정권을 장악한...
    출생 :
    1632(인조 10)
    사망 :
    1692(숙종 18)
    국적 :
    조선, 한국
  • 경원도호부 慶源都護府
    태종 17)에는 부가참(부령군 부거)에 읍치를 두고 도호부로 승격시켰으나, 이 지역 일대를 우리 영토로 편입하여 두만강 하류까지 확보한 것은 세종대였다. 김종서의 지휘로 육진 개척이 이루어져 경원도호부를 회복, 1434년(세종 16)에 읍의 중심지[邑治]를 북쪽으로 옮겼으며 남방 여러 도에서 백성들을 이주시켜 정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계유정난 癸酉靖難, 癸酉靖難
    계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인, 최지호 등을 제거하고 반대파들을 숙청하여 정권을 장악한 정변이다. 세종의 뒤를 이은 문종은 자신의 단명(短命)을 예견하고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남지, 우의정 김종서 등에게 자신의 사후, 어린 왕세자가 등극하였을...
    도서 위키백과
  • 윤사로 尹師路
    문종이 죽자 다시 문종 능의 수릉관, 빈전도감제조를 지냈다. 이어 숭덕대부에 가자되고, 다시 종1품 광덕대부가 되었다. 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을 죽이고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유배, 사사시켜 집권하는 것을 도왔다. 1455년(세조 1)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 1등에 봉해졌다...
    출생 :
    1423(세종 5)
    사망 :
    1463(세조 9)
    국적 :
    조선, 한국
  • 김조 자화, 金銚
    기여했다. 1447년 한성부윤으로 정조사, 1451년(문종 1) 동지중추부사로 사은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51년 편찬된 〈고려사절요〉의 교열에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참여했고, 1453년 10월 지춘추관사로서 〈문종실록〉의 찬수에 참여했다. 1455년 지중추원사로 있다가 죽었다. 그해 원종공신 2등에 추록...
    출생 :
    미상
    사망 :
    1455(세조 1)
    국적 :
    조선, 한국
  • 경흥도호부 慶興都護府
    경성군에 병합시켜 이 지역은 다시 여진족의 할거지가 되었다. 이 지역 일대를 우리 영토로 편입하여 두만강 하류까지 확보한 것은 세종대였다. 세종대에 김종서의 지휘로 육진 개척이 이루어져 경원의 읍치를 북쪽으로 옮기자, 1435년(세종 17)에 공주의 옛 땅이 멀어서 방어하기 어렵다 하여 경원도호부에서 분리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건주여진 建州女眞
    대비해서 세종 때 압록강 상류에 최윤덕(崔潤德)·이천(李蕆) 등을 보내어 토벌하고 그곳에 여연·자성·무창·우예 등 4군(郡)을 설치, 두만강 유역에는 김종서(金宗瑞) 등을 보내 정벌하게 한 후 경원·종성·회령·경흥·온성·부녕 등 6진을 설치했다. 여진인들의 경제생활은 반농반수렵의 상태였으므로 식량·의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멀티미디어17건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金宗瑞)
김종서 장군의 묘
북관유적도첩-야연사준도
〈야연사준도〉
김종서 생가터
김종서 유묵
김종서유허지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김종서 vs 세조
김종서장군묘
김종서장군묘
김종서 장군의 묘역
비해당소상팔경시첩 김종서 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