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선

다른 표기 언어 李選
요약 테이블
출생 1632(인조 10)
사망 1692(숙종 18)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택지, 호는 지호(芝湖)·소백산인(小白山人). 아버지는 우의정 후원(厚源)이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57년(효종 8) 진사가 되고, 1664년 춘당대문과에 급제한 후 검열·정언·수찬·교리·집의 등을 거쳐 1674년 응교로서 노산군 부인의 무덤에 수묘군(守墓軍) 및 제전(祭田)을 지급하자고 요청해 현종의 허락을 얻었다.

1679년 민유중(閔維重)·이유(李濡) 등과 함께 송시열을 섬기면서 군신의 의리를 저버렸으니 귀양을 보내자는 남인계 대사헌 이원정(李元禎) 등의 탄핵을 받았지만 무사했다.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함경도관찰사·대사성·대사간 등을 거쳐 강화유수로 재직할 때 백골징포(白骨徵布)와 아약충군(兒蒻充軍)의 폐해 및 사육신·황보인·김종서의 억울함을 논의했다.

1682년 이후 실록청당상·도승지·경기감사·공조참판·개성유수 등을 거쳐 1689년 호군으로 있을 때, 기사환국으로 정권을 장악한 남인들에 의해 송시열의 당(黨)으로 지목되어 정언 송유룡(宋儒龍)의 탄핵을 받고 기장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죽은 뒤 1694년 갑술옥사로 서인이 집권하자 관작이 회복되었다. 국조(國朝)의 고사를 많이 알아 국자감으로 비유되었다.

저서로 노산군의 시제 요청 등을 수록한 〈지호집〉이 있다. 시호는 정간(正簡)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