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도 馬島서쪽 해상으로 0.8㎞ 지점에 있다. 면적은 0.15㎢이고, 해안선 길이 2.5㎞이다. 본래는 새섬이라고 불렀다. 동남쪽에 늑도가 있고 그 옆에 초양도가 있어, 굴레와 물이 있으니 옆에 말이 있어야 된다 하여 마도(馬島)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고도가 낮은 하나의 구릉(최고 높이 38m)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서부는...
- 성격 :
- 섬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0.15㎢, 해안선 길이 1.6㎞
- 소재지 :
- 경상남도 사천시 동서동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천등산화전가 天燈山花煎歌되어 있으며, 4·4조가 기조를 이루고 그 다음 3·4조가 많이 나타난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채집되었다. 화전가류는 대체로 여성들이 봄철을 맞아 시집살이의 굴레를 벗어나서 경치 좋은 곳을 찾아가 화전놀이를 하는 모습을 노래하는 것이 전통적인 유형이다. 그러나 시대가 내려오면서 여러 변형이 나타나는데, 이...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권기섭
- 창작/발표시기 :
- 1929년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이시대의아벨 이時代의아벨사회학자도 경제학자도 아니지만 개개인의 삶이 어떠한 경우에도 그것들의 규제 아래 놓여 있다는 것을 고통스럽게 생각해 왔다. 그러한 제도적 억압의 굴레를 극복하는 힘, 그것이 자유 의지라고 말할 수 있다면 나의 시는 항상 자유 의지에 속해 있는 하나의 에너지였다.”라고 시집 뒤표지글에 적고 있다. 1980년대...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고정희
- 창작/발표시기 :
- 1983년 10월 5일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문학과지성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침모 針母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었으므로 침선가에게 맡기는 일이 많았다. 침선가는 남성들의 웃옷뿐만 아니라, 혼수옷도 짓고 어린이들의 복건 · 동달이 · 굴레 같은 것도 지었다. 궁중의 침선을 맡은 부서는 침방이라 하였다. 일의 성격상 침방의 상궁나인들은 왕의 침전인 지밀나인(至密內人) 다음으로 대우를 받았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권력의 초상, 유대인 정치학자들하지만 그와는 반대로, 정치에 참여하고 정치의 주역이 되기 위해 애쓴 유대인들도 있었다. 헨리 모겐소(Henry Morgenthau)나 키신저처럼 유럽의 전통적 굴레에서 벗어난 미국 땅에서 관료가 되고, 정치인이 되고, 마침내 재무장관이나 국무장관의 자리에 올라 유럽을 포함한 세계의 운명을 쥐고 흔드는 사람도 있었으며...
-
돌옷색 속치마를 입고 다홍치마를 입었다. 저고리는 색동 소매를 단 노랑이나 연두색 길의 저고리이다. 여기에 더 갖추어 입자면 어린이 당의를 입고 머리에는 굴레를 쓰며, 길상문양(吉祥文樣)의 패물로 만든 애기노리개를 달았다. 버선은 타래버선 또는 오목버선이라 하여 누비버선에 장생문(長生文)을 수놓아 신는데...
- 시대 :
- 조선
- 성격 :
- 일생의례복식, 의복
- 유형 :
- 물품
- 재질 :
- 직물
- 용도 :
- 의례용
- 관련 의례 :
- 돌
- 분야 :
- 생활/의생활
-
하처난망주 하처난망주효백낙천, 何處難忘酒나그네의 회포는 더욱 망망하리.”라고 읊고 있다. 제2수에서는 “나이 많아 벼슬을 두고 돌아오노라니 상한 기러기는 날개 접기를 생각하고 늙은 말은 굴레를 감당 못한다. 숲 골짜기에는 지나가는 사람 없고 구름 길에는 날아가는 꿈이 있다. 만일 이러한 때에 한 잔 술이 없으면 어떻게 이 해질녘을 보낼 것인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유호인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전기
- 성격 :
- 한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8 화엄경 진본, 大方廣佛華嚴經晋本卷三十八표지가 일부 결손이 되어있고, 본문은 누습으로 얼룩이 있으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내용 진본 화엄경 34품 가운데 이세간품의 세 번째 내용이다. 세간의 굴레에서 벗어난다는 이세간품의 내용으로 보광법당에서 보혜보살이 구름처럼 모인 대중 앞에서 보현보살에게 어떤 것이 선지식이라 하는가 등 196개의 질문에...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불타발타라(번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192호
- 성격 :
- 불교경전, 사찰본, 첩장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첩
- 간행/발행 :
- 해인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오크밸리2길 260(월송리) 뮤지엄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