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4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한하운 삶에 대한 애착을 통곡과 피의 언어로 노래했던,..과 수필 「나의 소하(銷夏)」 등을 발표하며 문학 활동도 멈추지 않는다. 나병이 음성으로 판명된 지 10년도 채 안 되어 한하운은 간 경화증이라는 또다른 병마를 만나게 된다. 이런 지독한 불운 속에서도 그는 멈추지 않고 「귀향」 · 「춘일지지」 · 「낙엽」 · 「춘와」 · 「파고다공원」 · 「귀로」 · 「어떤...
- 출생 :
- 1919년
- 사망 :
- 1975년
-
은유법 隱喩法구름은 보랏빛 색지 위에/마구 칠한 한 다발 장미”에서는 ‘구름’을 ‘장미’로 은유하고 있으며, 피천득(皮千得)의 <수필 隨筆>에서 따온 “수필은 청자연적(靑瓷硯滴)이다./수필은 난(蘭)이요, 학(鶴)이요, 청초하고 몸맵시 날렵한 여인이다.”에서는 ‘수필’을 ‘청자연적·난·학·여인’에다가 은유하고 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모윤숙 영운(嶺雲), 毛允淑문화단체총연합회 최고위원을 맡았다. 1959년 일문서관에서 시집 『정경(情景)』과 소설집 『그 아내의 수기』를 출간했다. 1960년 국제펜클럽 한국위원장을 맡으며, 수필집 『포도원』을 발간했고, 1961년 이화여자대학교 문화공로상을 수상했다. 1962년 시집 『빛나는 지역』을 출간했으며, 1963년 7월 예술원상...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이상로 이오류(李午柳), 李相魯그리고 죽기 3년 전에 낸 『이상로 전시집』(1970)이 있다. 한편, 수필도 많이 발표, 수필집으로 『옥석혼효(玉石混淆)』(1956)와 『쑥꽃 사어록(私語錄)』(1959...것이다. 이 밖에도 『문장보감(文章寶鑑)』(1953)·『인생비어록(人生秘語錄)』(1964)·『피어린 4월의 증언』(1960)·『한국전래동화독본』(1963) 등이...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6년
- 사망 :
- 1973년
- 경력 :
- 민성(民聲) 편집장, 코메트 편집장, 신학원 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수필가, 언론인
- 대표작 :
- 귀로, 불온서정, 세월 속에서, 문장보감, 인생비어록, 피어린 4월의 증언, 한국전래동화독본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파한집 破閑集재임 중에 조속(趙涑)의 가장비본(家藏秘本)을 가지고 각판(刻板)한 중간본이 남아 있다. 『파한집』의 권 상은 시평(詩評) 12조(條), 서필담(書筆談) 1조, 수필 7조, 시화(詩話) 1조, 문담(文談) 2조, 기행문 1조, 권 중은 시평 13조, 수필 13조, 권하는 시평 15조, 수필 18조 등의 도합 83조가 수록되어 있다...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강우규 찬구, 姜宇奎기려수필(騎驢隨筆)』에는 그가 스무 살 되던 해 부친이 살아계신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1920년 강우규의 사형이 확정된 직후 장남 중건이 『동아일보』 기자와 가진 인터뷰에서는 어머니가 살아계신다고 하였다. “훤칠하고 당당한 체구에 큰 절의가 있었으며 집안 살림을 꾸려나가는 데 신경 쓰지 않았다. 그러므로...
- 출생 :
- 1855년 7월 14일, 평남 덕천
- 사망 :
- 1920년 11월 29일
- 관련 사건 :
- 남대문역 투탄의거
- 본관 :
- 진주(晋州)
- 주요활동 :
- 1908년 영명학교 설립, 1917년 광동학교 설립, 1919년 대한국민노인동맹단 라오허 현 지부장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국민노인동맹단, 영명학교, 광동학교
-
백두산 白頭山이후 한국 국적으로서는 최초로 민족의 성역 백두산을 등정한 감격을 ‘백두산’이라는 시로써 토로하였다. “민족도/ 국토도/ 분단된 슬픈 역사 속에/ 통일의 그 날을 기다려/ 하마하마 사십년/ 세월의 기만(欺瞞)에/ 분노는 열화처럼/ 이역(異域)길 돌아 돌아/ 아득한 신비의 빛을 따라/ 신들린 걸음으로/ 민족의 성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조지훈 조동탁(趙東卓), 趙芝薰1964)과 수상록 『창에 기대어』(1956), 시론집 『시의 원리』(1959), 수필집 『시와 인생』(1959), 번역서 『채근담(菜根譚)』(1959)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소재와 애상성, 더 나아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보여주는 서정성을 포착한 한국의 대표적인 서정시인이다. 이들 초기 시편에 담긴 불교적 인간 의식은...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제주풍토기 濟州風土記구성 및 형식 유배지인 제주도를 배경으로 창작한 한문수필. 유배한문수필로 다루기도 한다. 작자의 문집인 『규창집(葵窓集)』 권11(국립중앙도서관본)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대체로 15단락으로 구분된다. 「제주풍토기」 제1단은 제주도의 지리적 위치와 해풍(海風)과 조류를 이용한 제주도 내왕의 상황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서울에 고향 없다 서울에 故鄕 없다대학(大學)」 · 「교수(敎授)」 · 「학생(學生)」 · 「대학(大學)과 불안의식(不安意識)」 · 「학생(學生)과 이성관계(異性關係)」 · 「나의 수필(隨筆) 쓰는 법」이 있다. 1부는 ‘두고 온 오솔길’이라 하여 작가의 지난 체험과 추억들을 되살려 보고 있다. 아스라한 지난 날을 돌아보면서 변화되는 세상사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