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강원도 태백시,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일대를 관할하였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홍천군·횡성군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에 미달하게 됨에 따라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도서 위키백과
  • 정선 필 경교명승첩 鄭敾 筆 京郊名勝帖
    제작 배경 정선(鄭敾, 1676~1759)은 65세 때인 1740년 말부터 1745년 초까지 양천현령으로 근무하였다. 현령 근무 초기 친구 이병연(李秉淵, 1671~1751)과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즉 이병연은 시를 짓고 정선은 그림을 그려 서로 바꾸어 보기로 약속하였다. 이에 따라 1740년 세밑부터 1741년 동짓달까지 만 1년간...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제작 배경 정선(鄭敾, 1676~1759)은 37세 때인 1712년(숙종 38) 친구인 이병연(李秉淵, 1671~1751)과 함께 금강산을 여행하며 『해악전신첩』을 그렸는데 이것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그런데 정선은 72세가 되는 1747년(영조 23) 다시 30여 년 전 그렸던 장소들을 그렸고, 여기에 이병연이 쓴 제화시와 함께 스승 김창흡...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정선 필 청풍계지각 鄭敾 筆 淸風溪池閣
    내용 정선(鄭敾)이 인왕산 서쪽 기슭에 있던 늠연사(凜然詞)를 중심으로 태고정(太古亭), 청풍지각(靑風池閣) 등을 청풍계의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묘사한 그림이다. 늠연사는 1637년(인조 15) 병자호란 때 순절한 김상용(金尙容)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김상용의 충절을 기리면서 18세기 한양 문사들의 은일과 탈속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정선 필 여산초당도 鄭敾 筆 廬山草堂圖
    제작 배경 조선시대 전 기간 동안 회화의 중요 소재의 하나로 중국고사도(中國故事圖)가 꾸준히 그려졌다. 정선(鄭敾, 1676~1759)은 진경산수화로 유명하지만, 중국고사도나 도석인물화, 심지어는 화훼초충화도 즐겨 그렸다. 「여산초당도」는 정선이 중국의 여산(廬山)과 관련된 고사(故事)를 그린 관념산수화이다. 내용...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남면 (정선군) Nam-myeon, Jeongseon County
    대한민국 읍면동 정보 남면(南面)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의 면이다. 면적은 130.99 km2,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3,450명이다. 남면은 면소재지인 문곡리를 중심으로 5개의 법정리와 15개의 행정리 79개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의 87%가 임야로 형성되어 있으며, 표고 400M 이상의...
    도서 위키백과
  • 맥아 정선 및 저장 맥아 및 맥즙 제조
    맥아를 생산하는 것이 품종 순도를 높이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이를 위해 맥아를 만들기 전에 잡초 종자, 깨진 보리, 돌 등 이물질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정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물질들은 수분 함량을 높이고 깨진 부위에서 곰팡이가 피는 등 맥아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침맥 중에 작은 종실은...
    도서 맥주보리 | 태그 산업
  • 정선조선어문법 精選朝鮮語文法
    에 수록된 문장론에 해당하는 ‘열한재 장 글’ 부분과 부록에 해당하는 ‘붙어적음’이 이 책에서는 제외되었다. 이와 함께 1932년 박문서관에서 강매의 『정선조선어문법(精選朝鮮語文法)』이 다시 간행된 것으로 보아 이 책 또한 강매의 저술일 가능성이 크다. 1932년의 『정선조선어문법』에서는 이 책의 권두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
    창작/발표시기 :
    1930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박문서관(博文書館)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정선 필 인왕제색도 鄭敾 筆 仁王霽色圖
    지정). 종이 바탕에 수묵담채. 세로 79.2㎝, 가로 138.2㎝. 리움미술관 소장. 화면 오른쪽 상단에 씌어 있는 화제와 관지(款識)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정선이 75세인 1751년(영조 27) 윤 5월 하순에 비온 뒤의 인왕산 정경을 그린 것이다. 인왕산 아래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 부근에서 살았던 정선이 비온 뒤 개고 있는 산...
    문화재 지정 :
    국보(1984.08.06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국보 , 한국화
  •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강원도 태백시,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지역을 관할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태백시·정선군 선거구와 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횡성군을 편입하여...
    도서 위키백과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선군의회
    다음은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정선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정선군의회는 지역구의원 6명과 비례대표의원 1명을 선출했다.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정선군 가선거구 정선읍, 동면, 북면, 북평면, 임계면 3 정선군 나선거구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남면 3 당선 선거결과...
    도서 위키백과
  • 정선사가록 精選四家錄
    발간 경위 휴정은 생전에 『사가어록』 가운데서 중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강서마조사가록초(江西馬祖四家錄草)』를 편찬하였다. 이 『강서마조사가록초』를 다시 정선(精選)하여 간행한 것이 본서이다. 휴정이 사망한 후인 1607년(선조 40)에 전라도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여러 간본이...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서산 휴정(西山休靜, 1520∼1604)
    창작/발표시기 :
    1607년(선조 40)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전라도 순천 송광사(松廣寺)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건

정선군
정선군읍지
정선군읍지
정선군읍지
대동여지도 중 강원도 정선 부분
정선향교 전경
강원도 정선군
정선군 문화지도
정선군 행정지도
정선군 내 고개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골지천
레일 바이크. 강원도 정선군 구절리에서는 폐철로를 이용해 만든 레일 바이크 체험을 운영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