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몽골어 Mongol language
    족은 소그디아나인과 이란인으로부터 이 문자를 전해 받았다(소그디아나 문자는 셈어 문자와 아람어의 변용임). 몽골 문자는 26개의 글자, 즉 7개의 모음, 2개의 이중모음, 17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로로 쓴다. 이 글자들은 한 단어 안에서 그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음절 첫머리·중간·끝머리)를 갖는다. 1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국어음운체계의연구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이 9편의 논문은 4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다. 1장에는 국어의 모음체계를 다룬 “국어(國語) 모음체계(母音體系)의 신고찰(新考察), 중세국어(中世國語) 이중모음(二重母音)의 음운론적(音韻論的) 해석(解釋)”이 실려 있다. 2장은 상고어(上古語)의 음운 문제를 다룬 논문인 “원시국어(原始國語) 모음론(母音論)에 관계...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완진
    창작/발표시기 :
    1971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일조각(一潮閣)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로마자 표기법
    표준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원칙으로 한다.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②표기 일람 ㉠모음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단모음 ⓑ 이중모음 •‘ㅢ’는‘ㅣ’로 소리 나더라도‘u i’로 적는다(광희문 Gwanghuimun) .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 ㉡자음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파열음...
  • 재출자 再出字
    ㅣ’로 시작된다는 것을 제하면, ‘ㅗ, ㅏ, ㅜ, ㅓ’와 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설명을 바탕으로 ‘ㅛ, ㅑ, ㅠ, ㅕ’는 ‘ㅣ’로 시작하는 상향이중모음 [yo], [ya], [yu], [yə]로 추정해 오고 있다. 이상의 설명을 종합하면 재출자 ‘ㅛ, ㅑ, ㅠ, ㅕ’는 음운론적으로 [yo], [ya], [yu], [yə]로서 이중모음이고...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좡어 壯語, Chuang language
    있는데, 이것은 파열음 6개, 마찰음 6개, 비음 4개, 설측음 1개, 반모음 1개, 구개화음 3개의, 순화음 2개로 구분된다. 79개의 모음이 있는데 단모음 7개, 이중모음 12개, 자음꼬리가 붙은 모음 60개로 구분된다. 8가지 성조가 있다. 허사와 어순으로 문장성분을 표시한다. 명사 앞에는 항상 사물의 종류를 표시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이숭녕 심악(心岳), 李崇寧
    조화 수정론」(1946), 「조선어의 히아투스(Hiatus)와 자음발달에 대하여」(1947), 「모음조화연구」(1949), 「순음고(脣音攷)」(1954), 「15세기의 모음체계와 이중모음의 Kontraktion적 발달에 대하여」(1954), 「신라시대의 표기법체계에 관한 시론」(1955), 「'ㅿ'음고」(1956), 「' · '음고 재론」(1959), 「15...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서울사투리 경아리
    을 '삼춘'으로 발음했고, 'ㅏ' 발음이 뒤 음절 'ㅣ'의 영향으로 'ㅐ'로 바뀌어 '창피하다'를 '챙피하다'로, '아기'를 '애기'로 발음한다. 'ㅗ' 발음을 'ㅓ'로, 이중 모음을 단모음으로, 입을 벌려야 하는 발음을 적게 벌려도 되는 고모음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어, '보리밥'을 '버리밥'으로, '계집애'를 '기집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 일반
  • 운모 韻母
    V만으로 이루어진 것, M+V, V+Ec, V+Ev, M+V+Ec, M+V+Ev의 여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V만인 것은 단모음, M+V와 V+Ev는 이중모음, M+V+Ev는 삼중모음을 이룬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중국음운학(中國音韻學)의 지식을 원용하여 15세기 조선한자음(朝鮮漢字音)과 중국의 자음(字音)을 분석할 줄...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벙룽어 崩龍語, Penglung language
    있는데, 37개의 2합이중자음(mp·nt·ŋg·nl·pl·kl·pr·kr 등), 4개의 3합 이중자음(mpl·mpr·ŋkr·ŋgr)으로 구분된다. 11개의 단모음과 24개의 이중모음(je·ia·ei·εj·uε·ua·iau·uai 등)이 있다. 허사와 어순으로 문장성분을 표시한다. 인칭대명사에는 단수·쌍수·복수의 구별이 있다. 수사는 고유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음운 축약 音韻 縮約
    수 있다. [모음 축약] 모음 축약은 일반적으로 모음 형태소와 모음 형태소의 연결에서 두 개의 모음을 연속적으로 발음하는 어려움을 없애기 위해 하나의 이중 모음으로 만들거나, 하나의 단모음으로 만드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모음의 축약은 두 개의 연속되는 모음이중 모음으로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 제주방언 제주어, 濟州方言
    상당한 세력으로 남아 있는 ''음은 'ㅏ의 후고음'으로 규정될 수 있는데 레(맷돌), 을(가을)·믈다(가물다) 등의 단어에 사용되고 있다. 또 ''는 모음체계에서 특이한 이중모음으로 장년층에서 아직 사용되지만 어의구분의 기능은 별로 없다. 곡용체계상으로는 근래에는 별로 쓰이지 않는 주격조사 '-레', 동작의 방향을...
  • 부랑어 布朗語, Blang language
    마찰음, 8개의 비음, 1개의 설측음으로 세분되며, 35개의 이중자음은 29개의 이중자음과 6개의 삼중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또 9개의 단모음과 16개의 이중모음이 있으며 3가지의 성조가 있다. 허사와 어순으로 문장성분을 표시하며 약간의 어형변화가 있다. 동사에는 태(態:자동태·타동태·상호태)가 있고, 대명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이중모음 (diphthon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