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제주방언

다른 표기 언어 濟州方言 동의어 제주어, 濟州語

요약 제주방언은 방언 구획상 서남 방언에 속하는 추자군도를 제외한 제주도와 인근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제주방언의 어휘는 조수간만에 관한 명칭, 바람의 명칭, 농기구의 명칭, 우마의 명칭에서 특이성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랜 해양생활에서 바람과 조수 등이 그들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그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명칭을 붙인 데서 비롯되었고, 육지와 격리된 상태에서 독자적인 어휘들을 개발해온 것으로 여겨진다. 곡용체계상으로는 근래에는 별로 쓰이지 않는 주격조사 '-레',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처격조사 '-테레, -데레, -레'가 독특하며, 존대법의 특징으로는 어미에 접미되는 첨사 '마씀·예' 등을 들 수 있다.

제주방언은 9개의 단모음(i, e, ε, ɨ, ə, a, u, o)을 가지나 젊은 층에서는 [e]와 [ε]를 [E]로, [ɔ]를 [a] 또는 [o]로 발음함으로써 7개의 단모음체계를 가진다.

장년층에서 아직 상당한 세력으로 남아 있는 '이미지'음은 'ㅏ의 후고음'으로 규정될 수 있는데 이미지레(맷돌), 이미지을(가을)·이미지믈다(가물다) 등의 단어에 사용되고 있다. 또 '이미지'는 모음체계에서 특이한 이중모음으로 장년층에서 아직 사용되지만 어의구분의 기능은 별로 없다. 곡용체계상으로는 근래에는 별로 쓰이지 않는 주격조사 '-레',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처격조사 '-테레, -데레, -레'가 독특하며, 존대법의 특징으로는 어미에 접미되는 첨사 '마씀·예' 등을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혼저 옵서예/어서 오십시오).

제주방언의 어휘는 조수간만에 관한 명칭, 바람의 명칭, 농기구의 명칭, 우마의 명칭에서 특이성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오랜 해양생활에서 바람과 조수 등이 그들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그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명칭을 붙인 데서 비롯된 듯하며, 육지와 격리된 상태에서 독자적인 어휘들을 개발해온 것으로 생각된다. 형용사는 '-ŋ-'를 첨가시킨 경우가 많고(예를 들면 퍼렁이미지다[靑], 벌겅이미지다[赤]), 부사는 '-jəŋ, '-njəŋ 등의 접사를 붙인 것들이 많다(예를 들면 이영/이렇게, 하영/많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제주방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