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영희 자중(子中), 高永喜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9년 한성에서 출생했다. 1867년(고종 4)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역과에 합격하였다. 1876년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수신사로 파견된 김기수를 수행하여 일본 물정을 시찰하고 돌아왔다. 이때부터 친일 개화파의 한 사람으로 대일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했다...
- 시대 :
- 근대/개항기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봉래초등학교 蓬萊初等學校, Bongrae Elementary School및 변천 그 전신은 1896년에 박기종(朴琪淙)이 설립한 개성학교(開成學校)이다. 1895년에 부산경무관으로 재직하고 있던 박기종은 1882년 김홍집(金弘集)이 수신사로 일본에 갔을 때 역관(譯官:통역을 맡은 관리)으로 수행한 것을 비롯하여 그 뒤 2차에 걸친 일본 시찰에서 일본의 신교육제도에 크게 느낀 바가 있어...
- 시대 :
- 현대
- 위치 :
- 부산광역시 중구 대영로 226번길 15호
- 설립 :
- 1896년 2월
- 성격 :
- 초등학교, 공립초등학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박기종
- 분야 :
- 교육/교육
-
-
『왜사 일기』 倭使 日記사건[雲楊號事件] 이후의 해방(海防) 및 일본과의 수교를 결정하기까지의 교섭 과정, 제2책[1876. 1. 26~3. 9]은 조일 수호 조규[강화도 조약]의 체결과 수신사 임명, 제3책[1876. 3. 10~6. 15]은 수신사 파견과 미야모토 쇼이치[宮本小一]의 내한, 수호 조규 부록, 무역 장정 체결 논의, 제4책[1876. 6. 16~6. 27]은...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도일사』 東渡日史광역시 금정구 오륜동]를 중심으로 거주해 온 부산 지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집안이다. [편찬/간행 경위] 『동도일사(東渡日史)』는 1880년에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의 수행원으로 향서기(鄕書記)를 맡았던 박상식이 귀국 후 수신사 일행의 동정과 자신의 일에 관하여 적은 일기와 수신 사행에 관한 공문서...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그 본질에 접근해보기로 한다. 시대 배경 1876년 이른바 개항 이래 한동안 중단되었던 일본과 공식적 교류가 시작되었다. 첫 공식 접촉은 두 차례에 걸친 수신사의 파견으로 이루어졌다. 곧 1876년 김기수(金綺秀), 1880년 김홍집(金弘集)을 수신사(修信使)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보냈던 것이다. 이는 일본의 줄기찬 권고...
-
『교린 등록』 交隣 謄錄강화영에서 문답한 내용[1876. 1. 19]‚ 13건의 병자 수호 조약 본문 내용‚ 이학년(李學年)의 상소문‚ 죄면신최익현소(罪免臣崔益鉉疏)‚ 김기수(金綺秀)를 수신사(修信使)로 파견하는 내용[1876. 2. 21]‚ 왜인 조약(倭人條約)‚ 함내 규칙(艦內規則)‚ 주위죄일(註違罪目)‚ 수신사 일기(修信使日記)‚ 일본에 보내는 서계를...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