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이장 숙빈(叔彬), 朴而章
    校理) 등을 지내고 1591년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를 다녀왔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크게 활약하였다. 1593년 10월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지제교(知製敎)·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지내고 다음 해 이조좌랑, 이어서 세자시강원사서(世子侍講院司書)를 겸직하였다. 1595년 이조...
    시대 :
    조선
    출생 :
    1547년(명종 2)
    사망 :
    1622년(광해군 14)
    경력 :
    이조정랑, 홍문관부응교, 대사헌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용담집(龍潭集), 정서절요(程書節要), 육경여해(六經蠡海)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순천(順天)
  • 엄세영 윤익(允翼), 嚴世永
    그 해 10월부터 1867년 4월까지 동지사(冬至使) 이풍익(李豐翼)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부교리·교리·부수찬·부응교·사헌부집의·장악원정, 1868년에는 종친부정(宗親府正)·분승지(分承旨)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6년만에 발탁되어 전라우도암행어사로 임명되었고, 1875년과...
    시대 :
    근대
    출생 :
    1831년(순조 31)
    사망 :
    1900년(고종 37)
    경력 :
    신사유람단 수행원, 경기통리기무아문사 율례사당상, 삼남염찰사, 호남선무사, 중추원일등의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일본문견록, 일본문견별단초, 일본사법성시찰기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영월(寧越)
  • 국청 鞠廳
    참석해 친히 심문하는 친국은 급박한 위험에 대비, 왕궁을 호위하고 국청을 개설하였다. 친국시 참여 인원은 시 · 원임대신(時原任大臣), 의금부 당상관, 사헌부 · 사간원의 모든 관원, 좌·우포장, 육방 승지 등 20인 내지 30인의 관원과 문사낭청(問事郎廳) 8인, 별형방(別刑房) 2인, 문서색(文書色) 2인 등 이었다...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상의 이원(而遠), 李尙毅
    허씨로 허경(許坰)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정원주서 · 성균관전적을 거쳐 1591년 사헌부지평이 되고 이듬해 병조정랑이 되었다. 이 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피난갈 때 검찰사(檢察使)로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어 홍문관...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총마계회도 驄馬契會圖
    전해내려 온 것이어서 좌목에 있는 감찰 박지수(朴枝樹)가 소유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표제는 전서체(篆書體)로 ‘驄馬契會圖(총마계회도)’라 썼는데, 총마는 사헌부 감찰을 일컫는 별칭이다. 내용 전형적인 축(軸) 형식의 계회도로 표제, 그림, 시, 좌목의 4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림은 지금의 정부종합청사와 세종...
    시대 :
    조선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22호
    창작/발표시기 :
    조선, 1591년
    성격 :
    계회도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36.5㎝, 가로 69㎝
    권수/책수 :
    1점
    재질 :
    비단 위에 수묵담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밀양박씨문중종회
  • 허준 조선 중기의 의관
    등과 더불어 녹피(鹿皮) 1영(令)을 하사받았다. 1590년에는 허준이 왕자를 살린 공으로 당상관(정3품 통정대부 이상을 말함)의 가자(加資)를 받았다. 그러자 정원 사헌부 사간원에서 일제히 나서서 "왕자를 치료한 것은 의관으로서 의당 해야 할 일이고 비록 공이 있다 해도 의관에게 당상의 가자를 내린다는 것은 있을...
    출생 :
    1539, 서울
    사망 :
    1615(광해군 7)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양천(陽川, 지금의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자 :
    청원(淸源)
    호 :
    구암(龜巖)
  • 서지 수지(綏之), 徐祉
    堂)이다. 어머니는 김욱(金旭)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98년(연산군 4)에 생원이 되었고, 같은 해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사헌부와 사간원의 여러 관직을 거쳐 1508년(중종 3)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이 되었다. 이 때 이과(李顆)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
    시대 :
    조선
    출생 :
    1468년(세조 14)
    사망 :
    1537년(중종 32)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이천(利川)
  • 박지 원례(元禮), 朴贄
    사항 1662년(현종 3) 전생봉사(典牲奉事)로서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68년 나주목사(羅州牧使)를 거쳐, 1670년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고,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정언을 거쳐 이듬해 다시 장령이 되고, 이어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역임하였다. 언관으로서 동료인 사간(司諫...
    시대 :
    조선
    출생 :
    1616년(광해군 8)
    사망 :
    미상
    경력 :
    나주목사, 사간원헌납, 공산현령, 사헌부집의, 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밀양(密陽)
  • 숙종과 장희빈의 수표교 만남
    정권을 실각시켰다. 이듬해(숙종 14년)에는 장옥정이 왕자를 낳자 친정어머니 윤씨가 산모를 보살피러 옥교(덮개 있는 가마)를 타고 대궐에 들어오던 중 사헌부 지평 이익수와 이언기 등에게 발견돼 옥교를 빼앗기고 치죄(治罪)당한 사건이 일어났다. 사헌부에서는 천한 여인이 옥교를 타고 대궐을 들어오는 것도 법도에...
    관련 장소 :
    청계천
  • 홍종억 洪鍾檍
    1850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4년 3월 문과에 급제한 뒤, 1887년 홍문관 부교리·사간원 헌납, 1888년 홍문관 수찬, 1889년 사헌부 장령, 1890년 사헌부 집의·사간원 사간, 1891년 홍문관 응교, 1892년 성균관 사성, 1893년 사헌부 지평·형조 참의, 1894년 동부승지를 지냈다. 갑오개혁 이후...
    시대 :
    근대
    출생 :
    1850년 11월 12일
    사망 :
    1919년 10월 22일
    경력 :
    형조참의, 평리원 재판장, 통감부 검사, 중추원 찬의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법조인,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남양(南陽)
  • 하연 조선 초기의 문신
    많은 서적을 편찬하면서 성리학을 널리 펼쳤다. 하연 역시 신진사대부의 일원으로서 태조와 정종 대의 암중모색 단계를 거쳐 27세 때인 1402(태종 2년)에 사헌부 감찰이 되었고, 예조좌랑, 병조좌랑, 이조정랑 등의 요직을 섭렵했다. 39세 때인 1414년(태종 14년)에 사헌부 장령, 2년 뒤에는 사헌부 집의가 되었다...
  • 기대승 奇大升
    춘추관기사관이 되어 청직(淸職)에 들어섰다. 이듬해 10월에 병조좌랑을 지내면서 지제교를 겸임했다. 이어 1565년 이조정랑을 거쳐, 이듬해 사헌부지평·홍문관교리·사헌부헌납·의정부사인을 두루 지냈다. 1567년 선조가 즉위하자 사헌부 집의·전한(典翰)이 되어 기묘사화와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윤원형...
    출생 :
    1527(중종 22)
    사망 :
    1572(선조 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간의상소등록
간의상소등록
간의등록
경국대전
간의등록
서재집 / 사사헌부장령소
서재집 / 사사헌부장령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