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광욱 史光郁
    위원장을 지냈다. 1930년 신의주 고등보통학교, 1933년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했다. 1938년 조선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데 이어 1940년 다시 일본 고등시험 사법과에 합격함으로써 법조계에 입문했다. 1943년 경성지방법원 판사를 시작으로, 1957년 대구지방법원 판사, 1961년 대법원 판사 등을 역임하고, 1963년부터는...
    출생 :
    1909. 10. 7, 평북 철산
    사망 :
    1983. 1. 2,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국제거래법
    시험령 개정시 국제화 시대에 따라 사법시험 1차과목인 기존의 국제사법 과목에 국제계약법을 추가하여 국제거래법으로 변경하였다. 1997년 시행된 제39회 사법시험부터 국제거래법과목이 추가되고 국제사법을 국제거래법에 포함되었다. 국제거래법의 범위가 매우 광범하고 모호하여 수험생들이 응시를 기피하여 2006년...
    도서 위키백과
  • 민복기 인재(仁齋), 閔復基
    서울 출생으로, 궁내부 대신, 중추원 부의장을 지낸 민병석의 아들이다. 1937년 3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1937년 11월에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해 1938년 4월 사법관시보(司法官試補)로 법조계에 입문했다. 1939년 12월 경성지법 판사, 1945년 1월 경성복심법원 판사가 되었고, 해방 후 1945...
    시대 :
    현대
    출생 :
    1913년 12월 12일
    사망 :
    2007년 7월 13일
    경력 :
    대법원장, 법무부장관, 검찰총장, 해무청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사법파동, 인혁당 재건위 사건
    직업 :
    법조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여흥(驪興)
  • 김선수
    녹화사업 대상자가 되어 1981년 강제징집되었다. 1983년 11월 육군 병장으로 만기 제대한 후 복학하여 서울법대 4학년 재학 중이던 1985년 제27회 사법시험에 수석 합격하였고 1986년에 서울법대 졸업 후 사법연수원에 입소하였다. 노동운동가 전태일의 삶을 생각하며 사법시험을 쳤기 때문에 1988년 사법연수원 수료 후...
    도서 위키백과
  • 김준태 金濬泰
    만주 국립 신경대동학원(新京大同學院)을 졸업한 후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 법률연구소를 수료했다. 1939년 7월 조선변호사 예비시험에 합격했으며, 1943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한 후 만주국 국무원 사무국에 근무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로 활동하다가, 1950년 5월 30...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종훈 (법조인)
    김종훈은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제13기 사법연수원과 육군 법무관을 마치고 판사에 임용되었다. 사법시험 동기인 강금실 전 법무장관, 양인석 노무현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실 사정비서관과 친분이 두텁다. 서울민사지방법원, 서울지방법원 서부지원, 인천지방법원...
    도서 위키백과
  • 이기문 (1953년)
    인물 정보 이기문(李基文, 1953년 음력 3월 30일 ~ ) 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사법연수원 14기, 사법시험 24회 합격), 정치인이다. 제1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그동안 이기문변호사는 1985. 1. 5. 이후 현재까지 수천건에 이르는 사건을 다루었으며, 대법원 판결로 남아 있는 사건들이 다수 있다. 한편 이기문 변호사는...
    도서 위키백과
  • 사광욱 史光郁
    1933년 경성지방법원 서기과 판임관 견습을 시작으로, 경성지방법원 개성지청 서기과 서기 겸 통역생 등을 거쳐, 1938년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하고, 1940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형 사경욱(史敬郁)과 함께 합격했다. 1941년 조선총독부 사법관시보에 지원하여 평양지방법원 및 동 검사국에서 1년 6개월 동안...
    시대 :
    현대
    출생 :
    1909년 10월 7일
    사망 :
    1983년 1월 2일
    경력 :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대법원 판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국회프락치 사건
    직업 :
    법조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경주
  • 서주연
    30일 제11대 전주지방검찰청 검사장 1963년 5월 9일 ~ 1964년 10월 16일 제13대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1963년 제2회 사법시험 위원 1964년 제3회 사법시험 위원 1964년 대검찰청 검사 1964년 제4회 사법시험 위원 1968년 6월 1일 ~ 1969년 1월 19일 제14대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1969년 대검찰청 검사 1969년 변호사 개업
    도서 위키백과
  • 세무사 稅務士
    업무를 수행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세무행정을 원활히 하고 납세의무의 적정한 여행을 기하기 위해 1961년 세무사법을 제정하여 세무사제도를 확립했다. 세무사법에 명시된 세무사의 자격은 세무사자격시험에 합격한 자, 관세를 제외한 국세 관련 행정사무 종사 경력이 10년 이상인 자로서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5급 이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사공영진
    대구고등법원장에 재직했던 법조인이다. 1958년에 대구광역시 군위에서 태어나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81년 6월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 13기를 수료했다. 1985년 3월에 대구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된 이후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원,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법원에서만 판사 생활을...
    도서 위키백과
  • 경찰관 警察官, police officers
    자는 시험에 의하여 경위로 채용된다. 또한, 일정한 계급에 일정한 기간 이상 근무하면 상위직급으로 승진할 수 있으며, 경위부터 치안감까지의 경찰관은 일정기간 이상 같은 계급에 재직할 수 없도록 계급정년제를 택하고 있다. 경찰관의 업무는 형사사건의 수사, 교통안전의 확보, 경비, 청소년의 지도, 총포·화약류...
    시대 :
    현대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2016년도 제58회 사법시험 제1차시험이 치러졌다.
2015년 12월 3일 법무부가 사법시험을 2021년까지 4년 더 유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