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종 왕소(王昭), 光宗
    거둔 이었다. 광종의 치세는 즉위~7년, 7~11년, 11~26년 등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시기에는 왕권강화와 관련된 정책은 시행하지 않았다. 그 대신 내치에 힘썼다. 그는 즉위 직후 국초에 공로를 세운 사람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었고 지방에서 해마다 중앙에 바치는 공물의 액수를 정하였다. 또 『정관정요(貞觀...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김인문 인수(仁壽), 金仁問
    개설 자는 인수(仁壽). 무열의 둘째 아들로, 문무의 친동생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유가서(儒家書)를 많이 읽었고, 장자·노자·부도(浮屠: 불교)의 책도 섭렵하였다. 특히 예서를 잘 썼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했으며, 향악(鄕樂)을 잘했다. 넓은 식견과 훌륭한 기예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629년
    사망 :
    694년
    경력 :
    대당총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평양성 함락
    직업 :
    장수, 외교관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창왕 왕창(王昌), 昌王
    복구해 문무(文武)의 인사 행정은 이부와 병부에서 행하게 했다. 대간과 6조로 하여금 수령(守令)의 직책을 감당할 만한 자들을 천거(薦擧)하게 하고, 사인(士人)으로 현령(縣令)과 감무(監務)를 삼았다. 여러 도의 안렴사(按廉使)를 고쳐서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로 삼았는데, 도관찰출척사는 모두 대간의 천거를...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예원 禮元
    내용 671년(문무 11) 정월에 지경(智鏡)의 뒤를 이어 집사부(執事部) 중시(中侍)가 되었다. 이때에 그의 관등은 이찬(伊飡)이었다. 당시는 신라가 백제의 옛 땅을 차지하고 고구려 부흥세력을 지원하여 당나라에 대항함으로써 삼국통일을 달성해 나가던 격동기였다. 예원은 이러한 격동기에 집사부의 장관인 중시로서...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중시(中侍)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부석사 浮石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역사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신라 문무의 뜻을 받들어 676년에 창건하고 화엄종을 널리 전했다고 한다. 〈송고승전(宋高僧傳)〉 의상전에는 의상과 선묘, 부석사 창건에 관한 설화가 자세히 적혀 있다. 고려시대에는 선달사 또는 흥교사...
    문화재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01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사찰
  • 김수미산 金須彌山
    내용 670년(문무 10) 사찬(沙飡)의 관등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안승(安勝)을 고구려에 책봉하였다. 670년 6월 고구려 수림성(水臨城) 대형(大兄) 검모잠(劍牟岑)이 고구려 유민을 모아 당나라의 관리를 죽이고, 보장의 서자 안승을 맞아 임금으로 삼고, 소형(小兄) 다식(多式) 등을 신라로 파견하여 번병(藩屛)이...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사찬(沙飡)
    유형 :
    인물
    직업 :
    귀족
    분야 :
    역사/고대사
  • 웅진도독부 熊津都督府
    고립되어 사실상 유명무실했다. 신라도 당군과 함께 백제저항군을 진압하는 한편, 직접 백제 땅을 점령하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663년(문무 3)에 백제 저항군의 중요한 거점이었던 임존성(任存城)이 함락되고 흑치상지(黑齒常之)가 투항하여 저항군의 세력은 현저히 약화되었다. 당나라는 66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백제
  • 김부대왕설화 짐부대왕설화, 金傅大王說話
    통해, 의 내력이 오래되었고 경상도 경주라는 특정 지역을 통치한 인물로 무속에서 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설화에서도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김부대왕에 관한 문헌 기록은 이규경(李圭景, 1788∼?)의 『오주연문장전산고』 〈김부대왕변증설(金傅大王辨證說)〉이 대표적이다. 이 변증에서는 강원도 인제...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오주서 五州誓
    하는 방어선을 따라 청주, 완산주, 한산주, 우수주, 하서주 등 5개 주에 설치되었다. 내용 『삼국사기』 직관지 무관조에 따르면 오주서 군단이 모두 672년(문무 12)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한산주, 하서주가 672년(문무 12)에, 우수주가 673년(문무 13)에, 청주와 완산주가 685년(신문왕 5)에 설치...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진순 진순(眞純), 陳純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출신지 미상. 일명 진순(眞純)이라고도 한다. 당나라 황제가 고구려를 침공하고자 신라에 응원군을 요청하자 진순은 661년(문무 1) 7월 17일문훈(文訓)과 함께 하서주(河西州, 지금의 강릉시 일대) 총관(摠管)이 되어 군영을 정비하였다. 그해 8월에 문무, 대장군 김유신(金庾信)과 함께 시...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하서주총관, 재상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경종 왕주(王伷), 景宗
    해에 문무양반의 묘제(墓制)를 정하기도 하였다. 977년(경종 2)에는 과거 시험을 재개하였다. 이때 경종은 지공거(知貢擧)를 독권관(讀卷官)이란 명칭으로 바꾸고 진사시(進士試)를 주관하여 고응(高凝) 등 여섯 사람의 급제자를 뽑았다. 금석문(金石文)에 의하면, 이 무렵 ‘태평(太平)’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것으로...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봉정사 鳳停寺
    6.25 전쟁 때 사찰에 있던 경전과 사지(寺誌) 등이 소실되어, 몇 가지 설화 외에는 그 역사의 근거가 되는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신라 문무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대덕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에 의하면, 신라 문무 12년(672)에 능인대덕이 수도를 한 후 도력으로...
    문화재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201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문무왕
문무왕
경북 경주 문무대왕 수중왕릉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경주 신라 문무대왕릉 중 내부와 인공수로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후측 전경
경주 동궁과 월지 중 임해정 전경
경주 감포 만파정 전경
경주 이견대 정측면
경주 감은사
문무왕의 수중릉(대왕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