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예해방령 奴隸解放令, Emancipation Proclamation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전 북부의 지도자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언젠가 주(州)의 자격을 얻어 연방으로 들어올 서부 준주(準州)들에서 노예제 확장을 막는 데에만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남부의 주들이 연방에서 탈퇴하고 이어 남북전쟁이 시작되자 북부인들은 남부에 노예제를 계속 허용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몽고메리 Montgomery
    시의 이름은 독립전쟁중에 죽은 리처드 몽고메리 장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시는 주의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고 1847년 주도로 지정되었다. 남북전쟁중인 1861년에는 최초의 남부연방 수도가 되었는데 1865년 북군이 이곳을 점령했다. 남북전쟁이 끝나고 복구가 이루어진 뒤에는 면화·가축·황색소나무·경재의...
    위치 :
    미국 남부 앨라배마 주, 앨라배마 강 중류 연변
    인구 :
    201,787명 (2022년 추계)
    면적 :
    404.5㎢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오설리번 Timothy H. O'Sullivan
    미국 남북전쟁을 주제로 한 사진들과 미국 서부의 풍경사진으로 잘 알려져 있다. 뉴욕 시 매슈 B. 브래디의 화랑에서 사진을 배웠고, 남북전쟁 동안 브래디가 파견한 촬영 팀의 일원으로 여러 곳의 전선에서 사진을 찍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사진 가운데 하나로 게티즈버그에서 죽은 남부군 병사들을 보여주는...
    출생 :
    1840경, 미국 뉴욕 시
    사망 :
    1882. 1. 14, 뉴욕 스테튼아일랜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햄프턴 Hampton
    때 공격당한 바 있다. 남북전쟁 당시 북군이 올드포인트컴퍼트와 먼로 요새를 점령하자 이곳마저 점령당할 것을 염려한 남군은 의도적으로 앞질러 시를 불살랐다. 남북전쟁 후 재건되었고, 어업과 해산물 가공업 중심지로 발달했다. 군사시설과 관광업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대륙군 사령...
    위치 :
    미국 버지니아 주 남동부
    인구 :
    136,097명 (2019 추계)
    면적 :
    352.8㎢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미국
  • 미거 Thomas Francis Meagher
    미국 남북전쟁(1861~65)중에는 북군 장교로 일한 웅변가였다. 1845년 청년 아일랜드 당의 당원이 되었고 1847년에는 아일랜드 독립운동단체인 아일랜드 연맹을 만든 사람 가운데 하나였다. 1848년 영국의 지배에 반기를 들어 체포되었고, 남북전쟁이 일어나자 뉴욕 의용군이 되어 제1차 불런 전투(1861. 7)에 참여했다.
    출생 :
    1823. 8. 23, 아일랜드 워터퍼드 워터퍼드
    사망 :
    1867. 7. 1, 미국 몬태나 포트벤턴 근처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브래디 매슈 비 브레디, Mathew B. Brady
    정치인들의 인물사진과 남북전쟁을 찍은 사진들로 19세기에 가장 잘 알려진 미국의 사진작가 중 한 사람이다. 화가이자 발명가인 새뮤얼 F.B.모스에게서 은판(銀板) 사진술을 배워 1844년 뉴욕 시에 자신의 첫 스튜디오를 열었고, 4년 뒤에는 수도 워싱턴 D. C.에, 1854년에는 다시 뉴욕 시에 3번째 스튜디오를 열었다...
    출생 :
    1823경, 미국 뉴욕 레이크조지 근처
    사망 :
    1896. 1. 15, 뉴욕 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미국 남부를 대표하는 작가, 윌리엄 포크너 William Cuthbert Faulkner
    주의 뉴 앨버니에서 태어났다. 남부의 유서 깊은 명문가 출신으로, 아버지 머리 포크너는 증조부 때부터 시작한 철도 사업을 이어받았다. 그의 이름은 남북전쟁에 참전했던 할아버지 윌리엄 클라크와 아버지 모드 커스버트의 이름에서 하나씩 따왔다. 원래 가문의 성은 'Falkner'였으나 후일 영국 공군에 입대하면서...
    출생 :
    1897년 09월 25일
    사망 :
    1962년 07월 06일
    국적 :
    미국
    대표작 :
    《음향과 분노》, 《성역》 등
  • 오거스타 Augusta
    그 기간은 매우 짧았다. 전후에는 1785~95년 조지아 주의 수도였다. 이 도시에서 조지아 주 의회가 개최되어 1788년 1월 2일 미국 헌법을 비준했다. 남북전쟁 때는 남군의 가장 큰 화약공장이 이곳에 있었는데, 높이 54m의 이 공장 굴뚝은 남북전쟁 희생자를 위한 기념물로 남아 있다. 조지아 양식과 고전부흥 양식으로...
    위치 :
    미국 조지아 주 동부, 서배너 강 중류 연안
    인구 :
    197,166명 (2017 추계)
    면적 :
    793㎢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월트 휘트먼 휘트먼, Walt Whitman
    아담의 어린시절 Enfans d'Adam〉·〈전령이 떠나다 Messenger Leaves〉·〈생각들 Thoughts〉은 좀더 이 시인의 초기 기질을 띠었다. 남북전쟁 시기 1861년 남북전쟁이 터진 뒤 40대가 된 휘트먼은 성격이 바뀌어 '선량한 회색빛 시인'이 되었다. 동생이 프레더릭스버그에서 부상을 당하자 휘트먼은 1862년 그곳 야영지...
    출생 :
    1819. 5. 31,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 웨스트힐스
    사망 :
    1892. 3. 26, 뉴저지 캠던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포프 John Pope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대의 지형도 작성기사로 복무했다. 멕시코 전쟁 동안 재커리 테일러 장군이 이끄는 회전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861년 남북전쟁이 일어나자 의용군 준장으로 임명되어 1862년 소장으로 진급했다. 그뒤 정규군 준장이 되었고 워싱턴 D. C.로 전속하여 버지니아군을 지휘했다. 그러나...
    출생 :
    1822. 3. 16, 미국 켄터키 루이빌
    사망 :
    1892. 9. 23, 오하이오 샌더스키
    국적 :
    미국
  • 낙스빌 Knoxville
    따서 1791년 낙스빌로 개칭되었다. 1792년부터 4년 동안 오하이오 강 남부 준주(準州)의 주도였으며, 1796~1812년과 1817~19년에는 테네시 주의 주도였다. 남북전쟁중에는 1863년 9월까지 남군의 점령지였다. 그러나 1863년 11월 제임스 롱스트리트 장군이 이끄는 남군은 이곳에서 있었던 유일한 전투에서 앰브로스 E...
    위치 :
    미국 테네시 주 동부, 테네시 강 상류 연안
    인구 :
    191,060명 (2020년 추계)
    면적 :
    269.8㎢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데이빗 딕슨 포터 포터, David Dixon Porter
    남북전쟁(1861~65) 때 북군의 주요사령관이었다. 해군 준장 데이비드 포터의 아들로 태어나 멕시코 전쟁(1846~48)에서 복무했다. 남북전쟁 초기에 사령관으로 진급하여 양아버지 밑에서 같이 자란 형제인 데이비드 패러것 사령관이 이끄는 북군의 뉴올리언스와 빅스버그 원정(1862. 4~6)에 참가했다. 1863년 1월 아칸소...
    출생 :
    1813. 6. 8, 미국 펜실베이니아 체스터
    사망 :
    1891. 2. 13,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남북전쟁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평화회담자(peacemakers)
남북전쟁(American Civil War)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끈 북부의 링컨 대통령
미국의 남북전쟁에서 사용된 암호원판
남북전쟁을 풍자한 만화
1861년 남북 전쟁
치열했던 남북 전쟁
미국의 남북전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