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총융청등록 摠戎廳騰錄내용 3권 3책. 필사본. 총융청에서 편찬하였다. 수록내용은 주로 상번(上番) 시위, 조련(操鍊), 군정(軍丁)의 도피, 각종 징포(徵布)의 수납과 관련된 실태와 대책에 대한 논의가 실려 있으며, 장계(狀啓)·감결(甘結)·상소·관문(關文)·사목(事目)·전교(傳敎) 등의 문건들을 날짜순으로 기록하였다. 수록시기는 권...
- 시대 :
- 근대
- 성격 :
- 등록, 업무일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 간행/발행 :
- 총융청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
삼정이정청 三政釐整廳내용 1862년(철종 13) 5월에 설치한 관서이다. 조선 후기의 이정청(釐整廳)은 원래 군제(軍制)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한 일종의 양역(良役)의 변통(變通)을 위한 제도로서 1703년(숙종 29)에 설치하여 각 군문(軍門)의 군액(軍額)을 감하고, 일영오부제(一營五部制)로 개혁되었다. 그러나 경비의 부족...
- 시대 :
- 조선 후기
- 성격 :
- 관청, 임시기구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62년(철종 13) 5월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5 ・ 16쿠데타 발발주장하며 '반공을 국시로 한다' 등의 공약을 발표했다. 또한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키고,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 박정희)라는 새로운 최고 통치 기구를 만들어 군정을 실시했다. 쿠데타 세력은 4 ・ 19혁명 후 분출한 6 ・ 25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 운동, 통일 운동, 노동 운동 등을 철저히 탄압했다. 또한...
- 시대 :
- 1961년 5월 16일
- 국가/대륙 :
- 한국
-
양역변통절목 良役變通節目전개된 양역변통책의 전개과정에서 반포된 규정이다. 이 규정은 ‘이정법(里定法)’의 시행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는데, 이정법은 향촌 내에서의 군정(軍丁)의 궐액 파악과 충정(充定)을 최대한 리(里)자체의 기능에 맡기는 공동책납제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편찬/발간 경위 임진왜란 이후 17세기의 군역제는 조선...
- 시대 :
- 조선후기
- 창작/발표시기 :
- 1711년(숙종 37)
- 성격 :
- 문서, 조목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보필전서 輔弼全書미루어,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후 당시 정세에 대하여 상당한 식견을 가진 강원도의 유생이 올린 것을 모은 것으로 보인다. 내용은 내정편·외정편·군정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정편에서는 간리(奸吏)와 용관(冗官)을 물리치고 재능 있는 인사를 등용하라는 것, 주전(鑄錢)을 사용하게 하라는 것 등, 외정편에서는...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정책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9월 총파업 ・ 10월 항쟁 九月總罷業 十月抗爭25만 명이 넘었다. '정치범 석방' 구호도 있었지만 '일급제 폐지하고 월급제 실시', '점심 지급', '식량 배급'처럼 생활과 밀접한 요구 사항이 더 많았다. 미 군정의 정책 실패로 물가는 치솟는데 임금은 그것을 못 쫓아가고, 가난한 사람들이 쌀을 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었다. 뒤이어 10월 항쟁이 터졌다. 10월 1일...
- 시대 :
- 1946년
- 국가/대륙 :
- 한국
-
고성군읍지 高城郡邑誌풍속(風俗)·능침(陵寢)·단묘(壇廟)·공해(公廨)·제언(堤堰)·창고(倉庫)·교량(橋梁)·봉름(俸廩)·세납(稅納)·진공(進貢)·전결(田結)·조적(糶糴)·군정(軍政)·장시(場市)·역참(驛站)·해진(海津)·인물(人物)·효행(孝行)·진보(鎭堡)·고적(古蹟)·사찰(寺刹)·누정(樓亭) 등으로 되어 있다. 책 끝에 사례대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871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34장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중앙신문 中央新聞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좌익계의 논조를 띠어, 1946년 5월 14일 이후 3차에 걸쳐 우익청년들의 습격을 당하였다. 미군정 당국은 이 신문이 계속 군정을 비판하자, 1946년 9월 6일 신문사를 수색하여 이상호·황대벽(黃大闢)·유택규(柳澤奎)·오재동(吳在東)·진수동(陳壽東) 등을 구속하고 이 날짜로 무기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형수
- 창작/발표시기 :
- 1945년 11월 1일
- 성격 :
- 신문, 일간신문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김형수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