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자생손지지설화 고목생화설화(枯木生花說話), 死子生孫之地說話
    칼이나 족보 · 가락지 등으로 나타난다. 아무것도 모르는 처녀가 불쌍하다는 설명을 덧붙이는 각편들도 있고, 여인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신하여 과부가 된 상황에 분개하여 스님(죽은 자식의 무덤 자리를 소개해 준 스님)이나 시아버지(여인을 임신하게 만든 혼령의 아버지)에게 칼부림하는 각편들도 있다. 의의...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조선 제일의 책 장수, 조신선 曺神仙
    百家)의 서책에 대해 문목(門目)과 의례(義例)를 모르는 것이 없어, 술술 이야기하는 품이 마치 박아(博雅)한 군자와 같았다. 그러나 욕심이 많아, 고아나 과부의 집에 소장되어 있는 서책을 싼값에 사들여 팔 때는 배로 받았다. 그러므로 책을 판 사람들이 모두 그를 언짢게 생각하였다. 또 그는 주거를 숨겨서 어디에...
  • 신윤복, 〈미인도〉 진사와 등황
    하는 것을 바라보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한 여인은 양반집 여인, 옆 여인은 그 몸종일 것이다. 그런데 주인공 여인의 하얀 상복은 이 여인이 남편이 죽은 과부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여인이 그 장면을 보면서 살짝 웃고 있으니까 옆의 몸종이 주인 여자의 허벅지를 꼬집고 있다. 과부의 발이 한껏 양옆으로 벌려...
  • 연장체 聯章體, The format of connected to the chapter
    세시풍속 및 자연의 변화 양상과 결합시켜 작가의 개인적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또한 가사작품 중에는 소년들의 행락을 부러워하며, 죽은 임을 추모하는 청상과부의 외로운 정서를 정월부터 섣달까지의 절기 및 풍속과 결부시켜 노래한 〈월령상사가(月令相思歌)〉, 어버이에 대한 사모의 정서를 매 절기와 연관 지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유씨전 유씨록전, 劉氏傳
    않고 남녀 주인공의 선조와 출생, 과업, 종말, 후손이라는 요소를 두루 갖추어 제시하는 일대기적 구성을 보인다. 작품 속에서 유씨는 자기의 죽음을 담보로 과부의 삶에 대해 역설한다. 남편 없이 경제 활동 및 시부모 봉양, 후사 잇기 등 사회가 요구하는 삶을 살아갈 수 없는 과부의 현실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는...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도스토예프스키의 시베리아 유형
    벌충하기 위해 책과 정기간행물을 보내 달라고 형에게 거듭 간청하곤 했다. 이 무렵에 일어난 중요한 사건은 1857년에 아들 하나가 딸린 과부와 결혼한 일이다. 결핵 환자인 이 과부와의 결혼생활은 행복하지 못했다. 결혼으로 경제적 부담까지 짊어지게 되자, 지난 몇 년 동안 어쩔 수 없이 견뎌야 했던 침묵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여권통문 女權通文
    독립 협회는 가부장적 전제주의, 조혼 제도, 축첩 제도, 기생 제도, 과부 재가 금지제, 내외법의 폐지를 주장하면서 여성도 근대 교육을 받아야 함을 역설했고, 이에 따라 1898년 9월 여학교 설립을 위한 단체인 찬양회가 개화 여성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찬양회의 설립 취지문인 '여권통문'은 여성의 교육받을 권리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광재물보 廣才物譜
    노석부(鹵石部)에 8항목, 초부(草部)에 10항목, 곡부(穀部)에 4항목, 채부(菜部)에 6항목으로 나누었다. 권4에는 목부(木部)를 5항목, 죽부(竹部)를 1항목, 과부(果部)를 8항목, 인부(鱗部)를 4항목, 개부(介部)를 2항목, 금부(禽部)를 5항목, 수부(獸部)를 6항목, 충부(蟲部)를 4항목으로 나누었다. 전반적으로 세상의...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유서(類書), 어휘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4책
    간행/발행 :
    홍문각(영인, 1998)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 「갯마을」
    갯바람 속에서 자란 해순의 바다에 대한 향수, 어머니와 죽은 남편에 대한 사랑을 통해 깊은 정서의 세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해변에 앉아서 과부 아낙네들이 「과부 타령」을 부르는 장면 등은 지금까지 다른 영화에서는 보지 못한 수려한 영상이다. 휘황한 달빛이 파도를 비추고 어망을 기우면서 과부들이 노래하는...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고소설 관련 용어, 책쾌 · 책비 冊儈 · 冊婢
    이름을 드날렸는데, 정약용의 기록을 보면 이윤에 꽤 밝은 듯하니 좀 모질고 악착스럽다. 정약용의 〈조신선전〉에는 조신선이 “욕심이 많아 고아나 과부의 집에 소장되어 있는 책을 싼값에 사들여 팔 때는 배로 받았다. 그러므로 책을 판 사람들이 그를 언짢아했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책쾌가 책을 구입하는 경로는...
  • 부천 만불선원 십지경론 이구지·난승지 2책 富川 萬佛禪院 十地經論 離垢地·難勝地 二冊
    자체정(自體淨)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보살이 계율을 지키고 10선행(善行)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였다. 제3지 명지(明地)에서는 불도를 수행하는 효과가 밝게 드러나는 제 3단계를 기염행분(起厭行分), 염행분(厭行分), 염분(厭分), 염과분(厭果分) 넷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제...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고흥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
    봉래면 나로도에는 독특한 장례제도인 초분풍습이 있다. 구전되고 있는 설화로는 〈쇠섬이야기〉·〈용추와 용바위전설〉·〈송팔옹장군전설〉·〈홍총각과 임과부이야기〉, 두원면 용당리 구룔마을의 〈미륵불에 얽힌 이야기〉 등이 있다. 민요로는 〈닻올리는 노래〉·〈뱃노래〉·〈모내기노래〉 등이 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과부의 눈물
바르톨로메우스 브레인 베르흐, 〈엘리야와 과부〉(1630)
귀스타브 도레, 〈과부의 아들을 살린 엘리야〉(1866)
P. 페도토프, 〈어린 과부〉, 캔버스, 유화, 62×47, 1851∼1852
여섯 살짜리 어린아이의 눈을 통해 과부인 어머니와 사랑방 손님의 미묘한 애정 심리를 감칠맛 나게 펼쳐 보인 주요섭의 대표작 〈사랑 손님과 어머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