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핀다로스풍 송시

다른 표기 언어 Pindaric ode

요약 BC 5세기의 전문 서정시인이었던 핀다로스가 쓰거나 그의 방식으로 쓴 기념시.

스테시코로스(BC 7~6세기)의 3각구조, 즉 스토로피(2개 이상의 행을 기본 단위로 반복됨)·안티스트로피(스트로피와 보격상 조화를 이룸)·에포드(다른 운율을 사용한 요약적 시행) 등을 받아들여 썼다. 이 3가지 부분은 연극에서 합창가무단이 무대의 한편에서 다른편으로 갔다가 마지막으로 무대 중앙에 와서 에포드를 전달하는 데 일치한다. 고대 합창곡의 모든 형식으로 된 핀다로스의 시들이 단편적으로 남아 있기는 하지만, 서양의 시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513년 알두스 마누티우스가 출판한 4권의 에피니키온선집이었다(→ 에피니키온). 그 책의 각 권은 그리스 고대 경기인 올림피아·피티아·이스트미아·네메아 경기에 대한 것이다.

우승자의 승리를 합창과 춤 공연으로 축하하는 이 에피니키온 송시는 잘 다듬어진 풍부한 은유와 강한 감동을 주는 언어로 되어 있다. 여기에는 훌륭한 행위와 그것의 높은 가치를 지키고 전달하는 시인 핀다로스의 소명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송시에 들어 있는 은유·신화·격언담은 사고의 급속한 흐름과 시의 맛을 살리기 위한 구문의 삭제 등으로 인해 이해하기가 힘들 때도 있다.

피에르 롱사르가 프랑스어로 된 4권의 〈송가집 Odes〉을 발표한 이래로 자국어로 된 핀다로스풍 송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영어로 된 진정한 핀다로스풍 송시는 토머스 그레이의 〈시가의 진보 The Progress of Poesy〉·〈음유시인 The Bard〉이었다. 그러나 1655년에 나온 에이브러햄 콜리지의 〈핀다로스 송시 Pindarique Odes〉는 덜 엄밀한 핀다로스풍 시를 소개했다.

이것은 불규칙한 압운을 지닌 송시로 그 연과 행의 길이가 불규칙하여 핀다로스의 문체와 방식을 그대로 재생하기보다는 암시하는 정도의 것이다. 의사(擬似) 핀다로스풍 영시 중 뛰어난 작품으로는 존 드라이든의 〈알렉산드로스의 향연 Alexander's Feast〉(1969), 윌리엄 워즈워스의 〈어린시절 회상으로부터의 영혼불멸송 Ode : Intimations of Immortality from Recollections of Early Childhood〉, 퍼시 비시 셸리의 〈서풍부 Ode to the West Wind〉, 앨프레드 로드 테니슨의 〈웰링턴 공작의 죽음에 부치는 송시 Ode on the Death of the Duke of Wellington〉, 존 키츠의 〈그리스 단지에 부치는 송시 Ode on a Grecian Urn〉가 있다.→ 송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핀다로스풍 송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