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피사노

다른 표기 언어 Nicola Pisano
요약 테이블
출생 1220경
사망 1278/84
국적 이탈리아

요약 이탈리아의 조각가.

그의 아들 조반니와 그들 작업실에 고용된 다른 미술가들의 작품과 더불어 13세기 후반, 14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새로운 조각 양식을 창안했다.

그의 태생은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1260년(중세 피사의 역법[曆法]으로 고치면 1259년이 될 수도 있음) 피사에 머물고 있었다는 것이 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지만, 1266년 기록에서는 그를 '풀리아(이탈리아 남동부에 있는 지방)에서 온 장인(匠人) 니콜라'라고 2번이나 언급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피사노가 풀리아에서 태어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그가 미술을 배운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도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그가 조각을 배운 것은 아마 중세의 관행에 따라 기존의 작업실에서 도제살이를 거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가 풀리아에서 조각을 배우기 시작했다면 아마 호헨슈타우펜 왕가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2세가 그의 거대한 새 건물을 꾸미기 위해 고용한 장인들 중 한 사람에게 배웠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프리드리히가 고용한 미술가들은 신성 로마 황제로서의 그의 지위를 뚜렷이 부각시키기 위해 의식적으로 고대 로마의 조각 양식을 모방했다.

그와 달리 피사노가 실제로 풀리아를 떠난 후 조각을 배우기 시작했다면 토스카나나 롬바르디아 지방의 작업실에서 도제살이를 했을 수 있다. 그의 작품에는 이 두 지방의 양식이 뚜렷이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피사 대성당의 설교단(1259/60) 이전의 작품은 그의 것으로 확인된 것이 없지만, 그 설교단의 조상들에 내재해 있는 강한 고전주의 정신은 단순한 제작 경험이나 그당시 고대 로마 조각을 보고 느낀 황홀한 심경 이상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피사 설교단의 조상들에 나타나 있는 매우 독특한 양식은 카푸아의 아피아로(路)에 있는 프리드리히 개선문에 새겨져 있던 주피터와 황제의 고문들을 나타내고 있는 조각 파편들(현재 카푸아의 캄파노 주립박물관에 있음)과 거의 비슷하며, 피사노가 프리드리히의 미술작업장에서 조각을 배웠다는 주장을 설득력 있게 뒷받침해준다.

피사는 신성 로마 제국과 가까운 동맹관계를 유지했는데, 피사노가 그 도시로 이주한 것과 그가 새긴 설교단에 갑자기 뚜렷한 고전풍의 양식이 나타나는 것은 모두 이때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사 설교단은 서양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다. 이전의 모든 양식들에 영향을 받았지만 그것들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새로운 양식이 명확히 모습을 드러낸다. 그는 프랑스풍의 고딕 조각과 건축에서 비롯된 독특한 양식과 로마 양식의 부조,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프레스코·모자이크 장식, 전형적인 토스카나·롬바르디아 양식 등 폭넓은 양식들에서 끌어낸 새로운 표현의 예술을 열어놓았다.

그는 이렇게 폭넓은 미술 양식들을 자기 것으로 소화해냈으며, 그것들을 훌륭하게 하나로 통합해 서술적 조각에 새로운 웅장함과 활력을 주고 1260년 이후의 토스카나 미술에 새로운 방향을 보여주었다(고딕 예술).

피사 설교단을 만드는 동안 피사노의 양식은 극적으로 변천했다.

부조 패널인 〈예수의 봉헌 The Presentation of Christ in the Temple〉에서 뚜렷이 볼 수 있는 넉넉한 구성과 율동적이고 부드러운 움직임 대신에 부조의 전체 면적에 비해 조상들이 더 작아지고 서로 겹쳐지도록 공간을 뒤섞어놓는 방식이 나타났다. 조상들은 더욱 활기에 차 있고 극적인 가능성을 충분히 강조하기 위해 비틀어져 있다. 그러나 이 후기 양식은 초기 양식의 부정이라기보다는 그가 처음부터 가졌던 인간적·정서적인 주제에 대한 관심에서 직접적으로 비롯되었다.

특히 피사 설교단 가운데 마지막으로 제작된 부조 2점에 잘 나타나 있는 양식적 변화는 그의 아들 조반니 피사노를 비롯해 그의 작업실에서 일한 다른 조각가들의 영향으로 볼 수도 있다. 조반니 피사노, 프라 굴리엘모, 아르놀포 디 캄비오 등 니콜라 피사노의 작업실에서 일했던 사람들은 그가 새로 의뢰받은 시에나 대성당의 설교단(1265~68)과 페루자의 광장에 있는 마조레 분수대(1278)를 공동 제작했다. 시에나 설교단은 피사 설교단과 거의 비슷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부조에 나타난 인물들도 마찬가지로 풍부한 감정 표현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는 피사노가 그 설교단을 설계했다는 증거와 고대 로마 양식이나 고딕 양식을 사용한 여러 보조 조각가들의 개인적인 성향이 명백히 나타나 있다. 피사노가 피사 설교단에서 그토록 성공적으로 통합한 두 개별적인 전통이 시에나 설교단에서는 다시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전 양식과 고딕 양식 사이의 이러한 불안정한 관계는 페루자 분수대에서 점점 더 뚜렷해지는데, 거기에는 25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분수대에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관한 이야기와 이솝의 우화, 인근에 있는 지방을 고전적으로 상징화한 것, 학문 및 달마다 할 일들, 동시대의 역사적인 인물들과 〈구약성서〉의 등장인물들 및 문장(紋章)동물들이 복합적으로 새겨져 있다.

페루자에서의 이러한 양식적 변화는 그 이전의 작품에서와 같이 복잡한 서술적 군상 대신 각각의 조상들을 개별적으로 다룬 결과이기도 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가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피사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