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접기개요
자주 비대칭단면을 나타내며 비교적 가파른 사면을 갖는 좁고 긴 심해저의 요지(凹地)이다. 보통 그 사면의 상부는 4~8°로 완만하고 하부는 10~16°로 험준하다. 통가 해구에는 45°에 달하는 사면이 있다. 해구의 횡단면은 보편적으로 V자형이지만, 해구의 바닥은 수백m에서 수㎞의 너비이며, 흔히 길이 수백㎞에 걸쳐 평탄한 지형을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다.
많은 해구들은 사면의 중복에 계단 모양의 지형이 있다. 예를 들면 알류샨 해구에서 너비 20~40㎞, 길이 1,500㎞에 걸쳐 계단 모양 지형이 깊이 4,000m에 이어져 있다.
호상열도(弧狀列島)
해구는 단순한 요지일 뿐만 아니라 반드시 호상열도를 수반한다. 호상열도에는 단호(單弧)와 복호(複弧)가 있는데, 복호의 경우는 외호(해구에 가까운 호)가 비화산열이고 내호가 활화산이다. 단호의 경우는 활화산열이다. 중력의 부이상대(負異常帶)가 해구의 육지 쪽을 따라서 분포하고, 지각열류량은 대양저에서 해구 쪽으로 낮아져서 호상열도의 안쪽에서 급격히 증가한다.
해구에 따르는 지진대는 대양 쪽에서 낮고 대륙 쪽에서 깊으며, 60㎞ 이상의 깊은 진원(震源) 분포는 해구에서 대륙 쪽으로 기울어지는 하나의 면상에 분포한다.
해구의 모양
해구는 3대양에 존재하지만 태평양에 압도적으로 많이 발달해 있다. 해구는 대양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치하며 호상열도 또는 새로 이루어진 해안산맥에 평행한다. 지형은 현저한 비대칭형인데 해구의 바깥쪽에는 전형적인 대양이 펼쳐지고, 안쪽에는 험준한 섬이나 높은 산맥이 존재한다. 육지의 최고지점에서 해구의 최심부까지의 낙차는 최대 17㎞에 이른다.
이와 같은 유형의 해구에는 태평양 주변의 여러 해구, 인도양의 자바 해구, 대서양의 자리브 호상열도에 연해 있는 푸에르토리코 해구, 스코샤 호상열도에 연해 있는 사우스샌드위치 해구가 있다. 똑같이 호상열도에 평행하지만 연해(緣海)에 존재하며 반대방향으로 있는 해구가 있다. 즉 남태평양의 뉴브리튼, 부진빌, 남·북 뉴헤브리디스 해구 등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이들 해구계는 태평양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특이한 해구이다. 여기에는 해구의 대양 쪽에 호상열도와 이것에 수반하는 화산대·지진대가 이어져 있고, 서쪽의 해분은 대양지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