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도 종교의 하나인 자이나교에서, 윤회라는 삶의 흐름을 건너는 데 성공하고 다른 사람들이 따를 길을 만든 구원자.
지나(Jina:'승리자')라고도 함.
마하비라(BC 6세기)가 현세에서 마지막 티르탕카라였다.
그에 바로 앞선 티르탕카라였던 파르슈바나타는 그보다 250년 전에 생존했다. 자이나교 경전에서 언급되는 다른 티르탕카라들은 역사적 실존 인물로 간주되기 어렵다.
자이나교 신앙에 따르면 각각의 우주적 주기마다 24명의 티르탕카라들이 나타나는데, 청정성이 쇠잔해지는 주기의 티르탕카라들은 초기에는 거인으로 나타나지만 시대가 지남에 따라 체구가 작아지고 점점 더 짧은 시간 간격 뒤에 나타난다. 티르탕카라는 회화나 조각에서는 카요트사르가(kāyotsarga:'육신으로부터의 해탈')라고 알려진 부동의 자세로 서 있거나, 사자좌 위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선정(禪定)에 들어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형상은 종종 대리석 또는 그밖의 매우 반들반들한 돌이나 금속에 새겨지는데, 그 차가운 느낌을 주는 표면은 일상세계에 대한 냉엄한 초연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킨다. 티르탕카라들은 완벽한 존재들이므로 상징적인 색깔이나 표상을 제외하고는 서로 거의 구별할 수 없다.
티르탕카라 24명의 이름은 그 어머니들의 태몽 또는 그들이 세상에 도래할 때의 상황에 따라 지어졌다.
그들의 이름에는 주(主)를 의미하는 나타(nātha)라는 경칭이 붙기도 한다.
현세의 지나들의 이름, 표상과 상징적 색깔을 그 출현 순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아디('최초의')라고도 불리는 리샤바나타('황소')는 표상은 황소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아지타('무적의 존재')는 표상은 코끼리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샴바바('상서로운')는 표상은 말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아비난다나('숭배')는 표상은 원숭이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수마티('지혜로운')는 표상은 왜가리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파드마프라바('연꽃의 광명')는 표상은 연꽃이며 상징적 색깔은 빨간색이다.
수파르슈바('아름다운 허리의')는 표상은 만(卍)자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찬드라프라바('달빛')는 표상은 달이며 상징적 색깔은 흰색이다.
수비디('적절한 방법')라고도 불리는 푸슈파단타('종교적 의무' 또는 '꽃으로 된 치아')는 표상은 돌고래 또는 바다의 용이며 상징적 색깔은 흰색이다.
시탈라('서늘함')는 표상은 만자흉표(卍字胸標)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슈레얌샤('더욱 훌륭한')는 표상은 무소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바수푸지야('재물을 봉헌하여 섬겨야 하는')는 표상은 물소이며 상징적 색깔은 빨간색이다.
비말라('청정한')는 표상은 멧돼지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아난타('무궁한')는 표상은 매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인데, 공의파(空衣派)에서는 양 또는 곰을 표상으로 한다.
다르마('의무')는 표상은 번개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샨티('평화')는 표상은 영양 또는 사슴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쿤투(확실한 의미가 알려져 있지 않음)는 표상은 염소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아라(시대 구분의 하나)는 표상은 난디아바르타(복잡한 형상의 卍字)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인데, 공의파에서는 물고기를 표상으로 한다.
말린('씨름꾼')은 표상은 물항아리이며 상징적 색깔은 파란색이다.
무니수브라타라고도 불리는 수브라타('훌륭한 서원을 지닌')는 표상은 거북이며 상징적 색깔은 흑색이다.
니민('눈짓')이라고도 불리는 나민('절하는')은 표상은 푸른 연꽃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아리슈타네미('안전한 바퀴의 테')는 표상은 소라고둥이며 상징적 색깔은 흑색이다.
파르슈바('허리')는 표상은 뱀이며 상징적 색깔은 초록색이다.
나중에 마하비라('위대한 영웅')로 불리는 바르다마나('增長')는 표상은 사자이며 상징적 색깔은 금색이다.
티르탕카라의 형상은 축복을 주거나 인간사에 간여할 수 있는 인격적 신으로 숭배되지 않는다. 자이나교 신봉자들은 다만 위대한 존재들의 상징으로서 그 형상들에 경의를 표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속세를 떠나 지고의 덕을 향하고자 하는 의지가 굳건해지고 궁극적으로는 해탈을 향한 길로 고무되기를 바랄 뿐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