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자이나 경전

다른 표기 언어 Jaina canon

요약 인도 종교인 자이나교의 경전.

이 경전의 진위성은 자이나교의 두 파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슈베탐바라(Svetambara:白衣派) 경전은 원칙적으로 45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11부는 앙가(Aṅga:'부분'이라는 뜻이며, 12번째 문헌은 14세기 이전에 亡失되었음), 12부는 우팡가(Upāṅga:부수적 경전)이며, 10부는 프라키르나카(Prakῑrṇaka:잡다한 문헌), 6부는 체다수트라(Cheda-sutra:수행규율에 관한 경전)이며, 4부는 물라수트라(Mūla-sutra:잡다한 주제에 관한 것), 2부는 쿨리카수트라(Cūlikā-sutra:인식 작용과 인식론에 관한 경전)이다. 그러나 원래 슈베탐바라는 5세기 발라비 집회에서 유래했다고 하는 71권을 경전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슈베탐바라의 문헌들은 자이나교의 구원자들로서 티르탕카라(Tirthankara)라고도 불리는 지나(승리자)들의 명단, 그들의 위업, 가르침, 교리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망라하고 있다. 몇몇 앙가에는 가장 후대의 티르탕카라인 마하비라와 그의 추종자들 사이의 대화로 추정되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다른 문헌들 가운데에는 원래 구전되어 왔던 것으로 보이는 초기 경전의 일부를 기록한 것도 있다고 한다. 굽타 시대(4~6세기)부터 자이나교 저자들은 더 많은 사람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산스크리트를 사용했지만 위의 경전들은 프라크리트로 씌어졌다.

디감바라파(Digambara:空衣派)는 슈베탐바라 경전 전체의 진위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들은 원본이 이미 없어졌고 오직 수세기에 걸쳐 자이나교 공동체의 여러 지도자들과 학자들이 쓴 다양한 종교 서적과 철학 문헌들 속에 자이나교 교리의 핵심이 담겨 있다고 주장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자이나 경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