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구굿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죽은 자가 생전에 풀지 못한 원한이나 욕구를 풀어주고 모든 죄업을 씻어주며 천도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여 서울·경기도·황해도에서는 지노귀굿, 동해안에서는 오구굿, 전라도에서는 씻김굿, 함경도에서는 망묵굿, 평안도에서는 수왕[十王]굿으로 불린다. 오구굿에서의 죽은 자를 위한 의식부분은 지역마다 다른데 서울지방의 지노귀굿에서는 12거리의 기본굿을 다한 후 죽은 사람만을 위한 굿은 바깥에서 따로 진행한다. 어촌이 많은 동해안 지방의 오구굿에서는 물에 빠져 그 시체를 찾을 수 없는 사람을 위로하기 위해 행하는 넋건지기굿과 미혼의 영혼인 경우에는 사후결혼을 시키는 의식이 중요하게 치러진다. 전라도 씻김굿의 핵심적인 거리는 오구풀이·고풀이·씻김·길닦음을 들 수 있다.

죽은 자가 생전에 풀지 못한 원한이나 욕구를 풀어주고 모든 죄업을 씻어주며 천도(薦度)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여 서울·경기도·황해도에서는 지노귀굿, 동해안에서는 오구굿, 전라도에서는 씻김굿, 함경도에서는 망묵굿, 평안도에서는 수왕[十王]굿으로 불린다. 죽은 조상이나 가족을 위해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산오구굿이라 하여 산 사람의 사후를 위해 미리 오구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산오구굿은 생오구굿·생축제(生祝祭)라고도 부르며, 부산지방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불교적 영향이 강하여 영산맞이거리에서는 남자무당이 바라나 꽹과리 반주를 하며 극락춤을 춘다.

오구굿의 진행과정은 굿당의 부정제거와 청신(請神), 가족의 안녕과 재수기원 다음에 죽은 자의 넋을 씻기고 극락으로 천도하는 부분이 따른다는 점에서 재수굿이나 신굿과 구별된다. 죽은 자를 위한 의식부분은 지역마다 다른데 서울지방의 지노귀굿에서는 12거리의 기본굿을 다한 후 죽은 사람만을 위한 굿은 바깥에서 따로 진행한다.

어촌이 많은 동해안 지방의 오구굿에서는 물에 빠져 그 시체를 찾을 수 없는 사람을 위로하기 위해 행하는 넋건지기굿(일명 水亡굿)과 미혼의 영혼인 경우에는 사후결혼을 시키는 의식이 중요하게 치러진다. 전라도 씻김굿의 핵심적인 거리는 오구풀이·고풀이·씻김·길닦음을 들 수 있다. 오구풀이는 저승에 가서 약물을 구해 죽은 아버지를 살려낸 〈바리데기신화〉를 구연하는 의례이고, 고풀이는 죽은 자가 생전에 맺힌 한을 풀고 가라는 뜻으로 기둥에 무명으로 맨 7개의 매듭을 푸는 의식이며, 씻김은 일명 '영돈말'이라고 하여 죽은 사람이 저승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깨끗이 씻기는 의례이고, 길닦음은 죽은 사람이 저승으로 갈 길을 닦는 의미로 안방 다리에 맨 무명천 위에 넋상자를 움직이는 의식이다.

씻김굿에서는 죽은 사람의 옷을 돗자리에 말아서 세우고 주발과 솥뚜껑을 덮어 갓 쓴 인간의 모습으로 만든 후 향물, 쑥물, 맑은 물로 씻기는 씻김거리가 중시되어 경상도굿과 비교된다. 함경도 망묵굿은 22거리나 되는 대규모의 의례로 3일간 밤낮없이 진행된다. 각 거리 중 타성풀이·동갑접기·도량축원·짐가재굿·오기풀이·산천굿·문굿·돈전풀이·천디굿·하직천수는 특히 망자천도굿으로 의례화된 것이다.

함경도의 굿은 촌극이나 희극적인 재담을 연희하는 일은 거의 없고, 신화와 설화를 바탕으로 한 무가를 읊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타성풀이·동갑접기·도량축원·산천굿·돈전풀이에서 각각 불리는 무가는 이 지역에만 전하는 것으로, 지역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평안도 다리굿에서는 기밀굿부터 사자굿, 다릿발 들고 세경돌기, 수왕세턴[十王西天], 죽은 사람의 몸다리가 들어섬, 염불로 죽은 사람을 모시고 마지막 기밀 드림까지가 죽은 사람의 극락천도를 위한 거리로 양식화되어 있다.

이 거리들에서 무녀는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데려가는 저승 사자를 놀고 열시왕을 모시며 다릿발에 죽은 사람을 올라앉게 하여 염불로 극락으로 모시는 과정까지 순수하게 죽은 사람을 위한 굿을 연행한다.

구체적인 진행과정은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오구굿이 죽음의 재체험을 통해 이승과 저승의 질서를 새삼 확인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굿의 진행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한을 못다 풀어 저승과 이승을 헤매는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고이 가게 하는 기능과 살아 있는 사람들이 죽은 사람에 대한 죄의식을 해소하고 죽은 사람과 화해가 이루어졌다는 믿음을 회복하는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렇듯 이승과 저승을 잇고 또한 단절시키는 굿의 기능은 오구굿에 두루 나타나는 '다리'의 의례화이다. 죽은 사람이 처음 굿당에 올 때도 이 다리를 타고 왔고 저승에 갈 때도 이 다리를 건너게 된다. 평안도 다리굿과 전라도 씻김굿에서는 다릿발을 가르거나 태우지 않고 잘 닦아만 주는데, 지노귀굿이나 수왕굿에서는 마지막에 다리의 중간을 무당의 몸으로 갈라나간다. 다리를 닦거나 갈라나가는 것은 죽은 사람을 삶에서 자유롭게 해주면서, 동시에 죽은 사람이 이승으로 오지 못하게 하려는 산 자의 염원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구굿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