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탄광

다른 표기 언어 炭鑛

요약 땅속에 묻혀 있는 석탄을 채굴하는 곳. 석탄은 지표 부근이나 지하의 다양한 깊이에서 층상광상으로 산출되는데, 탄층이 비교적 얕게 묻혀 있을 때에는 노천채굴로, 깊이 있을 때에는 갱내채굴로 개발한다. 한국은 강원도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탄전이 형성되어 1980년대까지 활발하게 탄광이 운영되었으나, 이후 석탄산업합리화 정책과 채산성의 악화에 따라 사양길로 접어들었고, 2023년 6월 화순광업소의 폐광에 이어 2024년 장성광업소, 2025년 도계광업소의 폐광이 예정되어 있다.

정의

땅속에 묻혀 있는 석탄을 채굴하는 곳.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갱과 선탄장 등의 시설은 물론 기타 부대시설까지 포함된다.

탄광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성

석탄은 지표 부근이나 지하의 다양한 깊이에서 층상광상으로 산출되는데, 탄층이 비교적 얕게 묻혀 있을 때에는 노천채굴로, 깊이 있을 때에는 갱내채굴로 개발한다. 미국·독일 등에는 노천탄광이 있으나 한국은 대부분 갱내채굴이며, 노천채굴이 기술적·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기본작업은 작업탐사·갱건설·석탄채굴·선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탄광이 발견되면 착암·시추 및 표본 추출이 시행되며, 광상의 채굴방법은 지질적 암석의 메커니즘을 통해 결정된다. 탄광에서 갱은 갱건설·석탄채굴·운반 등의 완결된 생산공정을 갖추고 석탄을 생산하는 곳이다. 지표와 탄층을 연결하는 갱도는 수갱(竪坑)과 사갱(斜坑)이 있는데, 이는 석탄운반, 인원의 승강, 환기, 자재·레일·기계 등 각종 재료의 반입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압축공기 및 전기가 이곳을 통해 배관 및 케이블로 보내져 갱내에 배분되며, 갱내배수도 한다.

한국의 탄광

한국의 석탄은 무연탄이 대부분으로 고생대 평안계에 90%, 중생대 대동계에 그 나머지가 매장되어 있다. 남한의 경우 평안계에 속하는 탄전지역은 태백산지역의 삼척탄전(장성·황지·도계)과 정선탄전(사북·고한·구절)으로, 남한 무연탄 매장량의 약 60%, 가채매장량의 약 55%가 집중되어 있다. 그밖에 강원도 태백·영월·강릉과 충청북도 단양·보은, 경상북도 문경, 전라남도 화순·보성 등지의 탄전이 평안계에 속하며, 충청남도 보령·홍성·서천 일대에는 대동계에 속하는 탄전이 분포한다.

북한의 무연탄은 대성·삼석·승호 구역, 강동군 등의 평양특별시와 평안남도 대동군 등 대동강 연안 일대의 평남남부탄전과 개천시·순천시·덕천시·북창군·맹산군 등의 평남북부탄전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갈탄은 함경북도 온성군·회령군·은덕군·새별군 등 두만강 연안에 주로 분포한다. 한국의 석탄생산량은 1907년 2,500만t, 1909년 5만 3,000t 등으로 점차 증가했으며,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을 계기로 군수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1944년에는 705만t에 달했다.

8·15해방 후 북한에 지하자원이 편재되어 남한의 탄광개발은 크게 위축되었으나 1970년대 중반까지 태백산지역을 중심으로 한 영동선(영주-강릉)·태백선(제천-백산)·문경선(점촌-문경) 등 산업철도의 개통으로 수송시간과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석탄생산은 가속화되었다. 그결과 1982년에는 무연탄 생산량이 처음으로 2,000만t을 넘어섰고, 1986~88년에는 연평균 2,400만 3,000t을 생산했으며, 공업성장에 따른 국내수요가 증가하면서 일부를 수입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무연탄 소비량이 1986년 2,692만 7,000t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1988~2005년 시행된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한국 탄광의 부존상태는 많은 습곡 및 단층작용을 받아 불규칙하여 탄폭의 변화가 많으며, 탄층연장발달도 양호하지 못하고 급경사가 대부분이어서 탄층여건에 적합한 채탄기술 개발과 작업환경개선, 기계화에 주력해왔다.

과거에는 재래식채탄법인 위경사 채탄법을 사용해왔으나 1980년대에 들어서 수평분층식·중단붕락식·계단식·중단위경사식 등의 신채탄법이 장성·도계·삼척·봉명·화순 탄광 등에서 이용되었다. 그러나 광상의 규모가 작은 데다 생산비가 증가하여 생산량이 크게 줄었고 경영규모도 영세적이며, 탄광의 심부화가 진행되어 탄질이 계속 떨어지는 추세에 있어 석탄광업은 사양 산업으로 전환되었다. 2023년 6월 30일 화순광업소가 폐광했으며, 강원도의 장성광업소는 2024년, 도계광업소는 2025년 폐광 예정이다..→ 광산, 석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산업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탄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