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정선군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총 경지면적 75.20㎢ 가운데 논이 2.46㎢, 밭이 72.74㎢이며, 경지율은 6.1%에 불과하다(2013). 주요농산물은 옥수수·콩·감자 등이며, 주요 하천이 만나는 임계면·북면·북평면의 들에서는 쌀이 생산된다. 목축업으로는 임계면을 중심으로 한 군내 전역에서 한우사육과 양돈·양계가 이루어지며, 그밖에 농가부업으로 소규모의 양잠업이 이루어진다.

임야면적은 1,042.54㎢로 전체면적의 85.8%를 차지하고 있으며(2013), 대추·밤·도토리·잣·버섯·산나물·약초 등 임산물이 풍부하다. 대추와 잣의 생산량이 많고 약초인 황기는 정선읍을 중심으로 재배된다. 광산개발로 목재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7개소의 제재소에서는 대부분 광산에서 쓰이는 갱목을 생산하고 있다.

한국 최대의 탄전지대이자 지하자원의 보고로 알려진 이 지역은 본래 금·은 등을 채굴했으며, 1950년 함백광업소를 시작으로 1962년 동원탄좌, 1964년 삼척탄좌가 각각 사북과 고한에서 석탄을 채굴하면서 광업이 군의 주된 경제기반을 이루게 되었다. 2013년 기준 가행광구는 244개 광구로 비금속광이 237개 광구, 금속광이 6개 광구이다. 광업종사자는 월 평균 398명이다. 석회석이 주를 이루며, 규석·철과 함께 고령토도 소량 생산되고 있다.

공업은 평지가 적고 교통이 불편하여 광업과 관련된 제재소와 섬유공장 등 소규모의 지역산업이 입지해 있다. 16개 사업체에서 월 평균 306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비금속광물광업·식료품제조업 등이 주를 이룬다. 상업활동은 1965년 시장 정리에 따라 정선읍 공설시장이 설치되었고, 정선읍·동면·북면·임계면 등에 정기시장이 열려 쌀을 비롯한 식량작물의 거래가 활발하다.

숙박업·음식점·다방 등 서비스 업소가 총 888개소로 인구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이며, 대부분 정선읍·고한읍·사북읍·신동읍을 중심으로 밀집되어 탄광지역의 일반적인 소비성향을 볼 수 있다. 산간오지로 교통이 불편하며 지형상 비행기재·삽당령(揷唐嶺)·백복령(白茯嶺) 등 험준한 고개가 많다. 도로는 주요하천변을 따라 발달해 있으며, 동해-평창, 삼척-영월, 태백-강릉 등을 잇는 국도와 지방도가 군내 읍·면 지역을 연결해준다. 철도는 광산물과 임산물의 수송을 목적으로 부설된 태백선과 정선선이 통과하여 화물수송은 물론 서울과 영동지방 간의 여객수송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도로총길이 520.69km, 도로포장률 76.7%이다(2013).

정선역

ⓒ Lambda/wikipedia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강원도

강원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정선군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