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도 남부에서 사용하는 드라비다어족의 언어.
타밀나두(옛 이름은 마드라스) 주의 공용어이다. 이곳 외에 타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스리랑카·미얀마·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베트남·동아프리카·남아프리카·가이아나, 그리고 인도양, 남태평양, 카리브 해의 섬에 살고 있다. 여러 타밀 지역방언과 2가지 사회방언(브라만어와 非브라만어)이 있으며 타밀 문어와 구어는 뚜렷하게 둘로 구분된다(2개 언어 사용).
다른 드라비다어족처럼 타밀어의 특징으로는, 혀의 뿌리를 입천장 쪽으로 말아올려 내는 소리인 권설음 ṭ, ḍ, ṇ과 시제수·인칭·격을 접미사로 가리키는 방법이 있다.
타밀어로 된 기록의 기원은 BC 3세기에 만들어진 비문에서 엿볼 수 있는데, 이 비문은 모든 근대 인도 문자의 조상인 브라흐미 문자를 수정한 문자체계를 사용했던 고대 타밀어의 초기 방언으로 씌어졌다. 현대 타밀어에는 2종류의 문자가 있는데, 산스크리트로 글을 쓰기 위해 타밀나두 주에서 사용되는 그란타 문자와 흔히 쓰이는 바텔루투 문자(둥근 문자)가 그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