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콩고의 정치와 사회

다른 표기 언어

콩고는 1당체제의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통치권은 콩고 노동당(Parti Congolais du Travail/PCT)이 장악하고 있다.

PCT의 중앙위원회는 민간인과 군장교들로 구성되며, 이들이 선출한 위원장은 대통령이 되어 내각을 구성한다. 중앙위원회는 또한 일반투표에 의해 153명 정원의 전국인민회의 의원으로 선출될 후보자 명단을 작성하며, 혁명재판소의 재판관들을 임명할 권한도 갖는다. 이 나라는 과거에 소련과 동유럽의 다른 나라들로부터 군사 및 안보 원조를 받았으며, 그 대가로 푸앵트누아르에 소련 군사기지의 설치를 허용했다. 1981년 콩고는 소련과 20년 기한의 우호협력조약을 체결했다.

드니 사수 응 게소(Denis Sassou Nguesso)

콩고 공화국 대통령

ⓒ Amanda Lucidon , White House / wikipedia | Public Domain

이 나라의 사회복지제도는 모든 고용자를 대상으로 산업재해·출산·무능력·노령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한다. 또한 16세 미만의 자녀를 가진 고용자들에게 특별 수당도 지급한다. 콩고의 국민보건 상태는 극히 불량하다. 원인은 영양 부족, 비위생적인 식품가공, 오염된 물, 병을 옮기는 벌레와 기생충의 번식, 의료진과 병원시설의 부족 등이다. 상당히 많은 수의 주민들이 백일해·말라리아·임질 등의 병을 앓는다.

이 나라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35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며, 평균수명은 50세 미만이다. 교육은 6∼16세의 어린이들에 대해 무상이며 의무제로 실시된다. 교사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교육제도는 학령 아동들의 문자 해득률을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9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전국적으로는 남자 31%와 여자 56%가 문맹이다. 이 나라의 주요 고등교육기관은 브라자빌의 마리앙응구아비대학교인데, 이 대학교는 1961년에 설립되고 1971년에 종합대학교의 자격을 획득했다. 콩고의 대중전달매체는 정부가 소유하여 운영하고 PCT가 감독한다.

콩고의 교육

콩고 학교 교실에서 수업 받는 어린이들 모습

ⓒ Fondationmarianiste / 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프리카

아프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콩고의 정치와 사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